낚시를 오래하신 원로꾼들 중에 의외로 바늘달고 찌를 맞추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분들은 오랜 경험으로 자신의 채비에 대한 침력을 꿰뚫고 있는 분들입니다.
바늘을 달더라고 찌의 하강 속도를 보아가며 적당히 맞춰줄 능력이 되는 것이겠죠.
그러니까 바늘 달고 찌를 맞추고 낚시를 할 때
봉돌이 바닥에 안착된다는 걸 스스로 확인할 수 있으면 달고 맞추셔도 됩니다.
바늘 빼고 맞추면 만사가 편해집니다.
무겁게 맞추든 가볍게 맞추든 얼마든지 원하는대로 조정 가능하고요.
무엇보다 봉돌이 확실히 안착된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굳이 편한 방법을 놔두고 계산이나 어림짐작을 동원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바늘을 달지않고 맞춤하는 이유는 언제 어디서 상황에따라 바늘을 크거나 작은 바늘로 교체할수있다는 이유로 무바늘 찌맞춤을 권해드리기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같은크기의 바늘을 사용하신다면 바늘달고 맞춤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바늘 달고 찌마춤할때 아주 정밀(예민한) 찌마춤을 할 경우, 채비가 내림 낚시 채비가 될수도 있습니다. 물론 내 놓는 찌탑의 목수에 의해 어느 정도 봉돌도 내려가기는 하지만 자칫 슬로프 낚시가 될수도 있습니다.(물론 그걸 노린다면 문제없지만요)
바늘 달고 마춤을 한 후 미끼(떡밥 낚시)를 달아서 던지면 미끼의 무게에 의해 바늘이 바닥에 찍은 상태에서 봉돌은 수중에 떠는 형상이 나오는거죠, 일종의 옥내림 형식이 되는겁니다.
그래서 바늘 달고 마춤할때는 너무 예민하게 딱 마추거나 마이너스 마춤을 하면 좀 피곤해질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 분들은 오랜 경험으로 자신의 채비에 대한 침력을 꿰뚫고 있는 분들입니다.
바늘을 달더라고 찌의 하강 속도를 보아가며 적당히 맞춰줄 능력이 되는 것이겠죠.
그러니까 바늘 달고 찌를 맞추고 낚시를 할 때
봉돌이 바닥에 안착된다는 걸 스스로 확인할 수 있으면 달고 맞추셔도 됩니다.
바늘 빼고 맞추면 만사가 편해집니다.
무겁게 맞추든 가볍게 맞추든 얼마든지 원하는대로 조정 가능하고요.
무엇보다 봉돌이 확실히 안착된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굳이 편한 방법을 놔두고 계산이나 어림짐작을 동원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