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도하고 쌀도 찟고 할겸 시골에 갔었습니다.
가정용 정미기로 쌀을 찟고 난 후 "등겨"를 보고는 언뜻
이런 생각이 !
황토(값이 ?) 대신 보드라운 등겨(등겨에는 2 종류)를 다른것과 섞어서 사용하면
물색과 집어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
구수한 냄새가 집어 효과도 있을것 같은데 사용 해보신 분이나 의견 구합니다.
겨울 철만 아니라면 지금 당장에라도 달려가서.......
***뒹겨. 등겨, 딩기라고도 하며,보리나 벼를 찧을 때 남는 부산물(벼 껍질)로 부스러진
쌀 부스러기 + 벼 껍질=등겨
방앗간에 가면 한 포대에 얼마 하지 않고 말만 잘하면 한 바가지 정도는 그냥.
황토 대신 등겨는?
-
- Hit : 713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5
제가 겉보리가 없어서 황토랑 쌀뜬물 이랑 잘 배합해서 뿌려놓고 2-3시간 지난후에 낚시하니 확실히 입질이 살아나더군요...
불명 효과 있을거 같네요....
연자방아님이 등겨를 모르신다......
연자방아는 개점휴업 상태인가봅니다
본격적인 영업전이라면 모를수도 있지 뭐(농담인지 알지예)
위에서 말하는 등겨는 방아 찌을때
쌀이나 보리 껍질 다음으로 나오는 고운 가루를 말합니다
등겨로 만든 떡이 개떡(?)이라고 했습니다
틀려도 나는 모름
좋은것 다넣어니 고기가 몰리겠죠.
저희집에 자그마한 정미기가 있어서
그때그때 정미를해서 먹기에 등겨가 엄청나게 생겨
텃밭에 뿌려주곤햇는데
낚시할때쓰면되겟군요 ..ㅎㅎ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맑은 옹달샘 같은곳에서 낮에 주먹만하게 던져주면..
효과 좋은듯..
물색도 좋아지고..
집어효과도 있어요.
맑은물에 강추..
등겨 : 벗겨놓은 벼의 껍질=왕겨
쌀겨 : 쌀을 찧을때 나오는 가장 고운 속겨
그래서 위에 용어는 쌀겨가 맞을 듯...
소나 돼지의 사료로 사용 할 수 있는것과 없는것(왕 딩겨)이 있습니다.
사료로 사용 할 수있는 고운 딩겨.
원샷원킬님은 싸레기를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싸레기 말고 고운딩겨를 사용 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미소에서 도정과정중 벼의
겉껍질(왕겨)를벗겨내고
다음 도정과정으로 ( 몇분도)쌀이냐할때 벗겨져나오는 밀가루처럼 고운
쌀껍질입니다
예로(도정과정:등겨를많이벗겨내면 작고 고운쌀은되지만 영양분은 등겨로다나간답니다
해서 현미는 도정과정이짧습니다=그래서 색상도누렇습니다)
이상허접한 소견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