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히나리붕어를 아시나요?.그것도 월척으로 하는지?.토종으로 인정하는건지?

ㅎㅣ나리 붕어를 아시는지요.,? 얼마전에 이붕어가지고 논한적이 있는데 혹여 토종으로 인정하거나 아니면 월척으로 인정 하는지? 아니면 그냥 잉어목 붕어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라입니다,,,,
사실 떡붕어,,희나리,,,,도 월척이라 생각은 합니다,,,
허나,,,,대부분 뭔가 2%로 부족하다고 느끼실겁니다,,,
그래서 전 떡붕어,,희나리도 30.3이 아닌 나름대로의 치수를 정해서,,
어느정도 되면 인정을 해주는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사실 떡붕어 월척은 자주 상면할지 모르나,,,
희나리는 월하기 힘들던데요 ㅎㅎㅎ
재래종으로 알고있습니다..

토종붕어와 떡붕어의 중간정도의 형태로만 알고있답니다..

더 자세한건 고수님들꼐서 답변주실겁니당~~
주로 낙동강계에 오랫동안 있었던 토종으로 알구있습니다 요즈음 이식된지 몰라도
일부 저수지에도 만하이 보입니다 토종에비해서 성장이 좀더 빨라보이더군요 현재3~4짜급 많이 나옵니다
일반 토종에 비해서 떡붕어 처럼 동물성미끼보다 식물성떡밥 계열에 활발히 입질 하더군요 손맛 찌맛 토종에 버금 갑니다
희나리붕어는 토종과 떡붕어의 교잡종입니다.
짜장붕어같이 손맛에 만족...
희니리는 토종붕어와같이 우리의 고유어종이랍니다 인터넷검색하시어 확인해보세요
희나리붕어란?





희나리붕어는 주로 부산,경남 지역의 수로나 강계와 중부권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엄연한 우리 재래종 붕어다.



그러나 서식처가 영남권에 몰려 있다보니 많은 수의 꾼들이 희나리붕어에 대해 생소해 하는 게 사실이다.



일부 낚시꾼들은 희나리붕어도 떡붕어같이 외래종이라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


또 생김새나 습성이 떡붕어의 그것과 유사해 떡붕어의 일종으로 잘못 알고 있는 이도 있다.



하지만 희나리 붕어는 떡붕어와도 분명 다르다.






국내 학계에선 김종만 박사가 지난 1974년 부산 근교의 붕어 2종의 형태에 관한 연구란 제목으로



토종붕어와 희나리붕어를 소개한 바 있다.



떡붕어 유입시기가 1972년이고 보면 74년 당시의 희나리붕어에 대한 보고는 그 이전에도 상당수의 자원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학계 내에선 희나리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여서 앞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출처 : 낚시춘추>



희나리의 체형과 체색



체형
떡붕어는 체장과 체고의 비율이 약 7:3으로 체고가 높다가 꼬리지느러미 쪽으로 급격히 낮아져



언뜻 보면 떡 벌어진 어깨의 운동선수 같다.



하지만 희나리붕어의 체형은 비교적 체고가 낮고 부드럽게 이어져 있는 토종붕어에 가깝다.



체색
붕어 체색은 서식여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절대기준이 될 수 없다.



통상적으로 토종붕어는 황갈색, 혹은 청갈색을 띠는 반면 희나리붕어는 은백색을 띠는 떡붕어에 가깝다.



그러나 떡붕어와 외형상으로 구별되는 것은 떡붕어에 없는 진한 검은색 세로띠 5줄이 희나리붕어에 있다는 것이다.







생김새
붕어는 머리의 생김새에서도 확연한 차이를 알 수 있다.



토종붕어의 경우 머리가 작고 입이 도톰하다.



떡붕어는 머리가 크고 마치 성난 표정인 것처럼 입이 위로 치켜 올라가 있다.



즉 아랫입술이 윗입술보다 많이 튀어 나와 있다. 이는 먹이를 받아 먹는 취이 습성 때문이다.


이에 비해 희나리붕어의 머리 생김새는 마치 토종붕어와 떡붕어를 섞어 놓은 것 같다.



떡붕어와 혼통하는 것이 이때문이다.



희나리의 머리 크기는 떡붕어보다는 작고 토종붕어에 가깝지만 입 모양은 떡붕어에 가깝다.


눈의 위치는 토종붕어가 몸 중앙선 약간 위쪽에 위치해 있는 반면, 떡붕어와 희나리붕어는 약간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꼬리지느러미
통상적으로 토종붕어는 꼬리지느러미가 부드럽게 벌어지는 형태를 띠나, 떡붕어는 제비꼬리 처럼 날카롭게 찢어져 있다.



희나리붕어는 꼬리지느러미 형태는 부드럽게 벌어진 형태로 토종붕어에 가깝다.



단지, 토종붕어와 희나리붕어는 꼬리지느머리와 비늘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비늘 한두개가 빠진 것처럼 엉성한 반면,



떡붕어는 면도를 한 것 처럼 그 경계가 뚜렷하다.



측선 수
토종붕어는 28~30개, 떡붕어와 희나리붕어는 30~33개. 따라서 희나리붕어의 측선 수는 떡붕어와 같다.



비늘의 강도
토종붕어의 비늘은 강하고 웬만해서는 잘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희나리붕어는 비늘이 약한 탓에 잘 떨어지며 색상 또한 연하다.



비늘을 뽑아놓고 10분을 기다리면 토종붕어는 원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떡붕어나 희나리붕어 비늘은 둘둘 말리는 등 약한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떡붕어나 희나리붕어는 살림망에 넣어두면 배 쪽이 금새 빨갛게 변하는 것이다.



세파 수
기타 세파수로도 구별이 가능하다. 파는 물고기가 물을 들여 마실 때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토종붕어는 32~42개, 떡붕어는 92~120개, 희나리붕어는 70~91개.



창자 길이
토종붕어는 체장의 2.7~3배, 떡붕어는 체장의 5.7~6배, 희나리붕어는 4.1~8.3배.
고유 어종 입니다.
당연히 월척으로 인정합니다.
그리고 떡붕어와 붕어의 잡종의 붕어를 ‘희나리’라고 한다. 토종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지만 붕어와 다른 점이 배 부분이 붉은 색을 띄고 새파의 수도 90-100여개 정도이다.

1972년 식용을 위해 들여와 양식장과 대형댐에 방류해서 낚시를 위해 많은 곳에 무분별하게 방류되었다. 전국적으로 크게 확산되어 있다. 그리고 두 종의 잡종이 번져나가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붕어보전지역을 설정하고 떡붕어와 희나리가 들어올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무엇보다 토착종 붕어와 떡붕어, 희나리를 구분하는 것 또한 필요하겠다.

[출처] 떡붕어, 희나리붕어에 대한 이야기.|작성자 ysoks

http://blog.naver.com/ysoks?Redirect=Log&logNo=150084629656
이제 좀 굼굼증이 풀리는듯 합니다..

그런데 히나리가 체고가 날씬 하고,.,길이는길지만 체고는작고 이쁘고 흰색계열입니다.
연밭에서 잡았는데 흰색 계열인데요..
체고는 안되는데 재보니 월척이구요,.
경상도 지방 ..
특히 밀양덕곡지에서 출몰하는 5짜붕어도 제가 보니 히나리 종일것 같은데요..

한수이북에서 보는 토종5짜가 민통선 부근 토교지 붕어 인데요.,
그크기와 체고는 덕곡지 붕어는 비교도 안되는사이즈로.,

놀랍다는 그자체입니다..
덕곡지 5짜는그렇 않트만요..
이점은 어떻게 생각 하는지요..
어느분 말씀이 맞는지 좀 헷갈립니다

하지만 히나리붕어도 월척으로 인정하고 싶습니다

월님들 안출 하시고....방한 단디이 하이소....
와 똘이아부지님 진짜유식하십니다.그런지식은 전문가들수준이라생각됩니다. 많이배우고갑니다.
저도 헷갈리는군요
재래종(토종) 이면 붕어와 떡붕어 와의 교잡종 이란 설은?
유전학적 연구가 필요 하겠군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