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라면~
규정된 모양은 없지싶네요. 단지 예민성을 따진다면 일자형이 가까운 긴 유선형이 좋을 뜻 하군요.
되도록 찌 모양은 물의 저항을 적게 받는 모양으로 디자인 하구요.
빨릴때 물에저항과 떡밥 풀릴때 저항 즉 다리쪽 조임각과 어깨쪽 조임각의 각도에 따라
찌놀림이 틀리겠지요.
몇가지를 만들어서 본인의 낚시 컨셉에 맞는찌를 찾으시는게 좋을 뜻하군요.
또 한가지 부력이 좋은재질로 찌를 만들면 다른 재질의 같은 부력의 찌를 비교해보면
찌몸통의 "체면적"이 작다는걸 알수 있답니다.
찌몸통의 "체면적"이 작으면 그많큼 물에 저항을 덜 받겠지요. 그러니 예민할수 있지요.
다시 말씀들여 같은 부력에 찌를 비교할때 찌자중이 덜나오고 찌몸통이 작은찌가 예민성이 좋습니다.
정확이 끊어주는 빨림입질을 보는 찌표현은 내림낚시의 묘미이지요^^*
규정된 모양은 없지싶네요. 단지 예민성을 따진다면 일자형이 가까운 긴 유선형이 좋을 뜻 하군요.
되도록 찌 모양은 물의 저항을 적게 받는 모양으로 디자인 하구요.
빨릴때 물에저항과 떡밥 풀릴때 저항 즉 다리쪽 조임각과 어깨쪽 조임각의 각도에 따라
찌놀림이 틀리겠지요.
몇가지를 만들어서 본인의 낚시 컨셉에 맞는찌를 찾으시는게 좋을 뜻하군요.
또 한가지 부력이 좋은재질로 찌를 만들면 다른 재질의 같은 부력의 찌를 비교해보면
찌몸통의 "체면적"이 작다는걸 알수 있답니다.
찌몸통의 "체면적"이 작으면 그많큼 물에 저항을 덜 받겠지요. 그러니 예민할수 있지요.
다시 말씀들여 같은 부력에 찌를 비교할때 찌자중이 덜나오고 찌몸통이 작은찌가 예민성이 좋습니다.
정확이 끊어주는 빨림입질을 보는 찌표현은 내림낚시의 묘미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