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하님 뎃글에 동감합니다.
무게 중심 고민 하지 마시구요.
제가 요즘 40센티 단찌를 주로 만드는데
찌톱20센티 찌다리 몸통 20센치 요렇게 만들거든요.
예전부터 잦업했던 방식이구요.
완성하구 눈으로 보기에두 바란스가 딱 맞을겁니다,
완성후 손가락에 올려봤을때 중심이 찌몽통에 가있을겁니다.
개또이님 여기서 또 뵙네요,,^^
대물낚시 찌들은 별로 신경안써도 되지만 떡밥낚시는
발란스 차이에 조과가 차이 남니다 발란스가
잘 맞는 찌의 예민한 마춤과 발란스가 맞지 않는 찌의 예민한 찌마춤과는
헛챔질 횟수에서 차이가 나죠..
케미빼고 작업한 찌는 낮낚시용으로 보시면 될겁니다 케미고무와 케미 끼우면 바로 발란스
깨집니다 반대로 케미(3미리 방울형)끼우고 제작후 물론 무게중심 부력중심 잘 맞추었다는 가정하에
..찌완성후 실전에서 케미 끼우고 하다 케미빼버리면 두매디 정도 올라올겁니다
어차피 낮에도 낮케미 끼워야 시인성이 좋아지니 케미 끼우고 제작하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찌다리는 조금 길다싶게 하시어서 물가에 가셔서 무중 부중 잡으시면 되실겁니다
방법은 아시져..^^
찌 발란스라??
저두 찌쟁이 이지만
그렇케 심각하게 발란스를 잡아야 할까요?
예전에 찌멈춤고무 사용하기전에는
이중부력 몸통의 찌가 획기적 이엿죠.
박통찌 인것 같습니다.
찌멈춤고무를 활용한 체비 직립성때문에
인기가 시들해 졋던것 같 습니다.
문제는 찌가 입수시 비스듬이 입수를 하느냐
아니면 일명 빠닥 서느냐 고차이이지요.^&^
미미한 발란스의 차이는 저는 찌의 기능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 합니다.
개또이님께서는 그 동안 어떤 방법으로 무게중심을 잡았는지 궁금하군요.
저의 경우는 주로 막대찌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무게중심이라 참으로 애매합니다.
찌 전체길이의 대략 찌다리 쪽에서 3분이 1 지점을 가상의 중심점으로 잡습니다.
케미 부착하고 날라리는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슈에 푹 담금니다.
건조후 다시 대략으로 잡은 가상의 중심점을 잡아 봅니다.
이때 날라리를 끼우는것 잊지 마세요.
저의 경우엔 찌고무 부착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 찌고무는 찌의 부속품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요즈음은 날라리 부착안하시는 분이 많으시더군요.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도장을 계속합니다.
카슈를 묽게 10여차례 도장을 하는데 그래도 가상의 중심점에 오지 않을시는
찌톱을 조금씩 잘라 가면서 중심점을 잡으세요.
찌톱을 잘라서 무게 중심점에 맟추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며 도장을 적당히 하기 위한 최선입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막대찌의 무게 중심점이 완성된답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현장에서의 세밀한 찌맞춤이겠죠.
찌맞춤만 잘해도 환상의 2단입수가 되는것 잘아실것입니다.
근데 무게중심점에 목멜 필요가 있을까요.
무게중심 잘잡아도 현장에선 봉돌에의하여 물속으로 입수될텐데....
어쨌든 완성된 찌의 모습을 보면 찌톱의 길이는 몸통 + 찌다리의 길이보다 조금은 잛은것 같네요.
저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무게중심점이 부력중심점보다 위에 있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상의 찌는 부력중심점과 무게중심점이 일치할수록 예민한 찌일것 입니다.
다무시하고 요렇게 하시면 됩니다.
더파고들면 머리아프고 잘이해를 못하게 되요^^.
무게 중심 고민 하지 마시구요.
제가 요즘 40센티 단찌를 주로 만드는데
찌톱20센티 찌다리 몸통 20센치 요렇게 만들거든요.
예전부터 잦업했던 방식이구요.
완성하구 눈으로 보기에두 바란스가 딱 맞을겁니다,
완성후 손가락에 올려봤을때 중심이 찌몽통에 가있을겁니다.
대물낚시 찌들은 별로 신경안써도 되지만 떡밥낚시는
발란스 차이에 조과가 차이 남니다 발란스가
잘 맞는 찌의 예민한 마춤과 발란스가 맞지 않는 찌의 예민한 찌마춤과는
헛챔질 횟수에서 차이가 나죠..
케미빼고 작업한 찌는 낮낚시용으로 보시면 될겁니다 케미고무와 케미 끼우면 바로 발란스
깨집니다 반대로 케미(3미리 방울형)끼우고 제작후 물론 무게중심 부력중심 잘 맞추었다는 가정하에
..찌완성후 실전에서 케미 끼우고 하다 케미빼버리면 두매디 정도 올라올겁니다
어차피 낮에도 낮케미 끼워야 시인성이 좋아지니 케미 끼우고 제작하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찌다리는 조금 길다싶게 하시어서 물가에 가셔서 무중 부중 잡으시면 되실겁니다
방법은 아시져..^^
제가궁금하게 생각하는것은 실제 낚시시는 찌고무,케미장착후 사용하는데 찌제작시 케미부착후 무게중심잡는것은 당연하고,
그렇다면 찌고무도 장착해서 무게중심을 잡는것이 맞지않나 싶어 여러분의 의견을 물어보는겁니다.
저도 과거엔 찌를제작하여 사용했었습니다.
물론 무게중심잡을시에 케미장착후 했구요.
그런데 요즘들어 찌고무까지부착후 무게중심잡는것이 더 정확한게 아닐까 생각되어지는군요.
제일좋은 방법은 물가에서 투척후 조정하는것이 정답이죠.
사실 떡밥낚시를 거의 하지 않는 상황이라
다른 설명은 드리지 못하겠고
조과의 차이 예민성의 차이는 소재 무게,부력중심에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제일중요한건 그날 붕어맘이고
두번째는 찌맞춤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경험에는 찌맞춤으로 여러상황을 해소할수 있지않을까요??
물론 찌의 밸런스는 기본으로 맞춘상황에서의 가정입니다.
저두 찌쟁이 이지만
그렇케 심각하게 발란스를 잡아야 할까요?
예전에 찌멈춤고무 사용하기전에는
이중부력 몸통의 찌가 획기적 이엿죠.
박통찌 인것 같습니다.
찌멈춤고무를 활용한 체비 직립성때문에
인기가 시들해 졋던것 같 습니다.
문제는 찌가 입수시 비스듬이 입수를 하느냐
아니면 일명 빠닥 서느냐 고차이이지요.^&^
미미한 발란스의 차이는 저는 찌의 기능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 합니다.
저의 경우는 주로 막대찌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무게중심이라 참으로 애매합니다.
찌 전체길이의 대략 찌다리 쪽에서 3분이 1 지점을 가상의 중심점으로 잡습니다.
케미 부착하고 날라리는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슈에 푹 담금니다.
건조후 다시 대략으로 잡은 가상의 중심점을 잡아 봅니다.
이때 날라리를 끼우는것 잊지 마세요.
저의 경우엔 찌고무 부착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 찌고무는 찌의 부속품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요즈음은 날라리 부착안하시는 분이 많으시더군요.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도장을 계속합니다.
카슈를 묽게 10여차례 도장을 하는데 그래도 가상의 중심점에 오지 않을시는
찌톱을 조금씩 잘라 가면서 중심점을 잡으세요.
찌톱을 잘라서 무게 중심점에 맟추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며 도장을 적당히 하기 위한 최선입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막대찌의 무게 중심점이 완성된답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현장에서의 세밀한 찌맞춤이겠죠.
찌맞춤만 잘해도 환상의 2단입수가 되는것 잘아실것입니다.
근데 무게중심점에 목멜 필요가 있을까요.
무게중심 잘잡아도 현장에선 봉돌에의하여 물속으로 입수될텐데....
어쨌든 완성된 찌의 모습을 보면 찌톱의 길이는 몸통 + 찌다리의 길이보다 조금은 잛은것 같네요.
저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무게중심점이 부력중심점보다 위에 있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상의 찌는 부력중심점과 무게중심점이 일치할수록 예민한 찌일것 입니다.
개또이님.
어떤 형태의 찌를 만드시는지 모름니다만 막대찌의 경우엔 참고해 주세요~_~
그 다음이 "찌의 무게중심론"이 아닐까요
참고하세요
http://blog.naver.com/icmc2001/40065300581
찌에 대한공부가 많이되었습니다.
물리학이 적용되니 머리가 복잡해지기도하고....
찌의입수모습도 낚시의 즐거움일수있는데 무게중심이 하단으로 치우쳐있으면 일어서는모습이 이쁘지않을것이며, 찌의상단으로 무게중심이 잡혀있다면 기울면서 입수가되겠죠.
낚시시 좁은양어장부터 넓은댐까지 여러장소에서 하는데 문제는 대류,물속조류, 유속,바람의영향등 이런문제들이 발생하는데,
무게중심이 제대로 않잡혀있다면 위의문제들로인하여 안착상태에서 찌머리의 흔들림,약한유속이나 대류에서의 떠밀림등
이런문제들이 발생할거라 생각됩니다.
단지 찌올림의 문제만 생각한다면 무게중심이 중요치않다는걸 윤석아빠님의 글을통해 공부가 되었습니다.
저의 짧은견해로는 무게중심이 잘잡혀있으면 어느정도의 유속이나 바람의영향에도 견뎌주리라 생각됩니다.
이런문제들로 인하여 찌몸통의 생김새도 중요하고 무게중심도 중요하다생각합니다.
좋은공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