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이 길어질 것 같아 넘어가려다 몇마디 적습니다.
찌톱이 가늘면 찌오름폭이 커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찌톱의 무게를 얘기하시는 분들이 있던데 무게와는 상관이 없는 일이구요, 두께와 관련이 있습니다.
부력은 부피에 비례합니다. 물 속에 잠겨 있던 찌톱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순간 그 부피만큼의 부력을 잃습니다. 그 말은 부피가 적을수록 부력의 상실이 적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찌톱이 무겁고 가볍고는 아무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오직 두께의 문제입니다.
찌가 올라올 때 흔히 붕어가 들어준 만큼만 올라온다고 얘기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정상적인 찌라면 무조건 붕어가 들어준 것보다 많이 올라옵니다.
바로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인데요. 관성은 힘이 클수록, 봉돌이 무거울수록, 몸ㅈ통이
찌몸통이 작을수록, 찌톱이 가늘수록 커집니다.
위에 말한 힘은 붕어가 전달하는 힘입니다.
찌톱이 굵으면 마찰력이 커지는 것과 같아서 오름폭이 작아지겠죠.
찌톱 굵기에 따른 오름폭의 차이가 생각보다 작을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이 작은 차이가 여러 곳에서 발생합니다.
목줄 길이와 바늘 크기, 찌맞춤, 찌몸통의 형태, 분할 여부 등등...
작은 차이가 모이면 결코 작지 않은 차이가 되겠죠.
노지건 하우스건 마찬가지입니다.
어쨌든 올릴 놈은 올리니ㄷ
찌를 올리는 높이는 붕어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찌톱의 굵기가 붕어의 움직임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는 계산이 불가합니다.
그러므로 가능성만을 얘기할 수 있는 상황이니 만큼 찌톱의 굵기 차이가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낚시인이 체감할 만한 차이는 아니라고 봅니다.
노지낚시에서는 체감하기 힘듭니다
저수온기에는 체감할수도 있겠네요
찌톱이 가늘수록 예민한것은 맞습니다
찌톱이 가늘면 찌오름폭이 커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찌톱의 무게를 얘기하시는 분들이 있던데 무게와는 상관이 없는 일이구요, 두께와 관련이 있습니다.
부력은 부피에 비례합니다. 물 속에 잠겨 있던 찌톱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순간 그 부피만큼의 부력을 잃습니다. 그 말은 부피가 적을수록 부력의 상실이 적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찌톱이 무겁고 가볍고는 아무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오직 두께의 문제입니다.
찌가 올라올 때 흔히 붕어가 들어준 만큼만 올라온다고 얘기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정상적인 찌라면 무조건 붕어가 들어준 것보다 많이 올라옵니다.
바로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인데요. 관성은 힘이 클수록, 봉돌이 무거울수록, 몸ㅈ통이
위에 말한 힘은 붕어가 전달하는 힘입니다.
찌톱이 굵으면 마찰력이 커지는 것과 같아서 오름폭이 작아지겠죠.
찌톱 굵기에 따른 오름폭의 차이가 생각보다 작을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이 작은 차이가 여러 곳에서 발생합니다.
목줄 길이와 바늘 크기, 찌맞춤, 찌몸통의 형태, 분할 여부 등등...
작은 차이가 모이면 결코 작지 않은 차이가 되겠죠.
노지건 하우스건 마찬가지입니다.
어쨌든 올릴 놈은 올리니ㄷ
올릴 놈은 올린다고 생각한다면 할 말은 없습니다만, 내 찌가 꿈벅거릴 때 다른 사람의 찌가 한마디라도 솟는다면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선택은 꾼의 마음에 달렸습니다.ㅎㅎ
뱉아도 관성으로 오를테니
일장일단이 있습니다.
채비로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보다는 찌몸통의 형태가 더 많이 좌우합니다.
화무님이 말씀하신 관성
유선형이 제일 많이 작용하고 다루마형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그리고 역다루마 형은 관성이 전혀 없고 실제 붕어가 들어올린 만큼만 찌가 상승합니다.
정직한 찌 상승 이외에도
무게중심이 찌다리 쪽에 있으므로
찌톱이 거의 드러난 저수심에서도 찌가 똑바로 서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쓰고 보니 약간 삼천포로 빠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