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다리쪽에 중심을 더 주었을때는 비교적 빠르게 직립을 합니다.
내려가기전에 약간 툭툭 걸리면서 (봉돌이 내려가는 표현) 내려가고
입질과는 별 차이 없습니다.
강좌란에 올라온 글을 보니 물속에서 떠 올라오려는 힘이 부력체가
물속에 더 깊이 있을때 힘이 더 좋다고 써잇네요... 당연히 맞는 말씀입니다.
그럼점에서 같은 몸통이었다면 좀 더 부력이 덜 먹히는 찌가 만들어 질것입니다.
그차이는 미세 합니다.
다음은 찌톱쪽이 무거울 경우에는 수면장력의 영향으로 찌가 직립이 안되고
사선입수가 나타나며 심할경우에는 봉돌에 의해 끌려 내려 갔다가 올라왔다가 다시 내려가는
놀림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참고로 어리버리나 중층 같은경우에는 약한 채비로 인해 의도적으로 찌를 직립시키려고 중심을
아래로 하고
받아 먹는 입질을 보기 위한다면 최대하 늦게 일어나고 최대한 늦게 내려가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단순이 물고기를 잡는 도구 이전에 의도성 과학성 형태 등등 무수한 실험에서 탄생하는것이
찌인 것 같습니다.
먼저 다리쪽에 중심을 더 주었을때는 비교적 빠르게 직립을 합니다.
내려가기전에 약간 툭툭 걸리면서 (봉돌이 내려가는 표현) 내려가고
입질과는 별 차이 없습니다.
강좌란에 올라온 글을 보니 물속에서 떠 올라오려는 힘이 부력체가
물속에 더 깊이 있을때 힘이 더 좋다고 써잇네요... 당연히 맞는 말씀입니다.
그럼점에서 같은 몸통이었다면 좀 더 부력이 덜 먹히는 찌가 만들어 질것입니다.
그차이는 미세 합니다.
다음은 찌톱쪽이 무거울 경우에는 수면장력의 영향으로 찌가 직립이 안되고
사선입수가 나타나며 심할경우에는 봉돌에 의해 끌려 내려 갔다가 올라왔다가 다시 내려가는
놀림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참고로 어리버리나 중층 같은경우에는 약한 채비로 인해 의도적으로 찌를 직립시키려고 중심을
아래로 하고
받아 먹는 입질을 보기 위한다면 최대하 늦게 일어나고 최대한 늦게 내려가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단순이 물고기를 잡는 도구 이전에 의도성 과학성 형태 등등 무수한 실험에서 탄생하는것이
찌인 것 같습니다.
굿! 입니다. 추천 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