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터 자유게시판

· 유료터홍보와 Q&A, 이용후기 게시판이 이 게시판으로 통합되었습니다(24.6.3)
· 홍보 게시물은 유료터점주조황 게시판에 조황정보와 함께 올리시기 바랍니다

양어장 찌맞춤 이렇케 한번 해보는것도...

두가지 찌 맞춥법에 관해서만 간단히 기술을 하겠습니다. 일단 막대형과 다루마형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씁니다. 일반 양어장에서는 막대령보다는 다루마형을 많이 사용을 합니다. 그 이유는 몇가지루 나뉠수 있지만. 저는 한가지에 대해서만 말씀을 드리겠씁니다. 양어장에서는 집어가 가장 중요한 관점이라 말할수 있씁니다. 집어가 정확하게 되기위해선 정확한 투척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바람이 없는 날엔 두가지가 다 투척에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바람이 부는 날에는 막대형찌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타고 다루마는 바람의 영향을 덜 타기에 일반적으로 양방에서는 다루마형태를 많이 사용합니다. 가장 바람직한 찌 맞춤은 무엇일까요? 한동안 0점 찌맞춤이 유행을 했씁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점찌맞춤은 현장에서 봉돌이 바닥에 다 있는 형태입니다. 그럼 어떻케 해여 하는가??? 양방에서는 고기의 활성도에 따라 찌 맞춤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 되지만.. 저의 찌 맞춤에 대해서만 말씀을 드리고자 하오니. 부디 의견이 있는 분이 있을수도 있으나. 그냥 참고만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루마. 1. 찌 맞춤은 항상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2. 약간 무거운 봉돌로 현장의 수심을 제어본다. 이때 주의할점은 봉돌이 무겁기때문에 투척후 낚시대를 뒤로 빼었다가 다시 앞으로 네어주는 즉. 찌와 동돌이 일자가 되게 해준다. 3. 그상태에서 가장 바람직한것은 5cm 정도 찌를 내린후 찌맞춤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0cm 정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찌 맞춤에서는 물과 찌톱이 수평이 되느냐를 보지 말고 찌의 입수 속도를 보아라. 5. 영점찌 맞춤은 찌가 입수된후 올라오는 것을 맞춰잡는데. 그것은 모순입니다. 6. 찌의 입수속도는 당연히 2단 입수가 된다. 봉돌이 내려간후 원줄이 내려가니 찌가 잠시 멈추었다가 내려간다. 이때 주의할점은 금방 내려가는 것은 조금 무서운 상태고 가장 조심해야할것은 물흐름이 있느냐는 것이다. 물흐름이 있는 곳에서는 원줄이 이동하기에 찌가 빨리 들어갈수 있고. 그것때문에 속도를 느리게 내리고자 할때에는 가벼운 찌 맞춤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7. 그럼 찌톱은 얼마를 내어놓아야 할것이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캐미꽃이 바루 아래 까지 라고 생각하나. 그것또한 모순이다. 캐미꽃이와 캐미두개를 합하면 찌 몸통부터 일반적으로 찌톱의 비중과 같은 것이다. 그렇키에 찌톱 끝부분에서 1cm 가량 내어놓쿠 맞춤을 하는 것이 좋타. 8. 그럼 일반 낚시에선 그 찌톱을 내어놓쿠 하면 봉돌과 바늘이 90도를 이루는 형태이다. 그러면 입질이 조금 빠를 수가 있다. 조금 부드러운 입질을 보기 위해선 45도로 맞추는 것이 좋타. 그렇키에 목줄의 반 정도 되는 길이많큼 더 내어놓쿠 하는 것이 좋타!. 에구 일단 이것이 일반적인 다루마의 형태입니다. 막대찌.(헤라형) 1. 기본 방법은 똑같다. 단. 찌의 입수의 문제가 있다. 헤라형태의 찌는 물에 드러가는 속도가 빠르다. 그래서 정확하게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맞추시기는 거의 불가능 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같은경우는 사포로 봉돌을 깎어서 맞추니깐요. (헤라형 에서) 그럼 가장 편한 찌맞춤. 일반적인 찌 맞춤은 2단 입수가 되게끔 맞추는 것은 같지만 내어놓는 찌톱에 관해섭니다. 따악 케미 아래까지만 맞추시면 될뜻합니다. 예전엔 헤라형태가 찌를 눕히는 입질이 이루어지기에 많이 사용하였으나. 오히려 요즘은 다루마 찌에서 다루마가 동동 뜨는 것도 밤에는 멋있더라구요. 그럼. 간단히 제가 사용하는 찌맞춤에 관해서. 설명을 드렸씁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