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척컵 토종붕어 챔피언십

· 기존의 ‘월척 신고합니다‘ 게시판은 이 게시판과 통합되어 운영됩니다,(18년 3월 23일 적용)
· 18년 4월 부터 정식버전으로 운영되며 매년 1등에서 3등까지 월척에서 제작한 소정의 기념품을 드립니다

· 아래의 사유로 공식기록으로 불인정된 투표수가 많을 땐 순위 산정에서 제외 됩니다.(불인정 투표수가 10개 이상이고, 추천보다 불인정 투표수가 많을 때)

*토종붕어라고 보기 어려운 경우
*크기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자연지가 아니거나, 붕어를 방류하는 낚시터에서 잡은 조과인 경우
*최근 일 주일 이내의 조과가 아닌 경우
*대리 등록

마릿수 조과의 경우 한 마리씩 따로 등록하셔야 각각의 순위에 반영됩니다
특파원이나 낚시점주께서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특파원이나 낚시점에서 올린 조황의 사진이라도 본인의 조과라면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지의 조과만 인정하지만, 입어료를 지급하더라도 붕어를 방류하지 않는 낚시터의 조과라면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영암소류지수초치기

월척을 잘못하는데 올해는 어복이 있으려나 봅니다 회원의 조언으로 찌맞춤을 가볍게맞추고 수심체크후에 바닥에서 5~10cm 가량 뛰워서 해보니 확실한 입질로 7치부터 36까지 30여수 헀읍니다 제가 이싸이트에 어제가입하여 아직 활동이 미숙하지만 좋은 정보 많이 올리겠읍니다
영암소류지수초치기 (조황조행기 - 월척컵토종붕어챔피언십)
영암소류지수초치기 (조황조행기 - 월척컵토종붕어챔피언십)

전장 일시 장소 미끼 채비
32~36 7수 2014.01.27 영암소류지 지렁이 원줄5호, 목줄합사3호, 바늘감성돔5호
추천 1 공식기록으로 불인정

전남권 조황정보 많이 올려주세요.
대박조황 축하합니다.
해남.영암 낚시가고 싶네요ㅜㅜ
깡가리님, 스머프할배님, 히마라야시다님,부들좌대님 감사합니다
해남,강진,영암등 전남남부권에 있는 소류지만을 찾아다니는 꾼입니다.
앞으로 정보를 공유할수 있도록 하겠읍니다
대박조황이네요^^*
월이 축하드려요~~
저도 영암에 거주하는대 항상 꽝조사이내요

너무 부럽내요 안출 하시고

어복 충만 하시길...
5-10센치는 어케 띄우셨는지요 가지바늘채비 아님 뜰낚인지요?
저도 궁금하네요 채비법이요

좀 알려주세요 담주에 진도가서 써먹어보게요ㅎㅎ

대박 축하드립니다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지체비가 아니고 뛰울낚시입니다
저는 관통수초찌로 찌맞춤을 내림낚시 찌맞춤 처럼하고 현지에서 수신측청용 봉돌로 수심측정후에
5~10cm정도 뛰워고 지렁이는 머리꿰기로 4~5마리정도 사용합니다
수심측정용봉돌은 바다낚시용 8-10호정도 구멍봉돌에 질긴노란고무줄 밴드로 구멍을 몇번 통과시켜 자작합니다
한개 만드는데 고무줄을 3-4개정도 사용하여 1개가 끊어져도 사용할수 있도록합니다
저는 이것으로 감생이 찌낚시할때 수심측정으로도 잘 사용합니다
참고가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제가 수질좋고, 땟장이 잘형성되어있고, 면적은2-3천평 되는 소류지로 2-3일 사이에 출조합니다.
결과를 본싸이트를 통해서 알려드리겠읍니다
올리겠읍니다
그러게요 낚시는 죽을때까지 배워야하니 그러면 지렁이4-5마리 끼우면 바늘은 바닥에 닿을것 같은데요.고부력찌가 아니면요. 몸통 찌맞춤해도 지렁이다섯마리면 5센치를 바닥에서띄울려면 더더욱 고부력찌가 필요하리라 생각되구요. 한수 배우길 원합니다 지렁이달고 찌는 캐미만 보여야 되는건지?
지렁이무게 물의 온도등을 감안하면 찌톱 몇마디를 수면에 뛰우는 것이 애로가 있읍니다
케미정도 보이면 됩니다
5-10cm는 감으로 하시고 지렁이가 길면 조금더주시고 바닥에 뻘이 있으면 조금더 주시고
바닥뻘은 수심체크하실때 봉돌에 묻어나오는것을 보고 참조하시기 바람니다
보기드문 대박조항이네요..축하드립니다
대에박~~~ 부럽습니다~~비결좀 알려주세요~
대단하네요~^^
붕어조과~채비~모두
잘보고 배우고갑니다
엄청난 대박을 하셨네요
엄청 축하드립니다
까미와똥여님 대박 축하!축하!드립니다.궁금증 질문입니다.
1.수조통에서 찌맞춤법 가르처 주시면 고맙겠습니다.(예:바늘달고,케미꽂고,어느정도인지?)
2.찌형태나 찌부럭정도 어느정도 인지?(예:막대형,고추형기타 여러가지)
3.입질형태는 어떤형태로 표현되는지요.
4.결국 바닥에5~10cm가령 띄우면 찌가 흘러가지 않나요?그때 대처방법 부탁드립니다.
설명 잘 보고 갑니다
앞으로 대박 나세요~~
멋진 조황사진과 채비정보 등 많이 배우고 갑니다. 앞으로도 보고 많이 배울듯 하네요^^
제가 잘 써먹는 방법이네요.
입질 무지하게 빠릅니다. 찌맞춤은 수초찌기준 바늘달고 세마디정도 맞추고
편납이나 지우개를 달아서 케미만 나오게 바닥을 찍고 다시 빈바늘에 세목을
맞췄으니 찌를 봉돌쪽으로 내려 10센치정도, 그 전후로 맞춰지게 하고 미끼를
달면 한 두마디가 나옵니다. 입질은 올리기도 내리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묵직하게 올립니다. 수초 구멍에 넣는거라 흐르는건 별 신경 안쓰구요.
봄에 수초근처에서 쪽쪽거리며 떠다닐때 부들 구멍속에 살그머니 넣어보세요. ㅎㅎ
수심은 꼭 정확치 않아도 되고 대충 맞춰서 새구멍 작은거에 넣으면 됩니다.
바닥에 내려놓은것 보다는 빠를겁니다.
제가 설명할것을 너무 명쾌하게 해주셔서 감사드림니다.
우리 동네 불루길은 지렁이를 그냥 두지 않습니다.누가 좀 말려주세요.
붕어 멋지게 생겼네요^^ 부럽습니다.
죽을때까지 배우는 낚시 정말 좋은 정보 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