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32대의 절번을 줄여 30대를 만듭니다.
들어보면 30대나 32대나 거의 비슷한데 앞치기해보면 30대가 훨씬 뻣뻣합니다.
그래서 표준으로 제작된 칸수를 정칸수, 절번을 줄여 만든 칸수를 사잇대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1.6칸부터 0.4칸 간격으로 정칸수를 제작하더군요. 16, 20. 24, 28, 32, 36, 40, 44, 48, 52, 56, 60....
그러면 보통의 경우 18, 22, 26, 30..... 등등의 칸수는 사잇대가 되겠죠.
제조사에 따라 L, S로 표기하기도 하더군요.
* 예외인 낚시대도 있습니다. 해원 제왕S스페셜은 정칸과 사잇칸이 반대입니다.
홀수칸의 경우에도 정칸과 사잇칸이 반대인 것도 있을 수 있으나 기억을 못해서
적지는 않겠습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3.2칸 낚시대의 절번은 예전은 9개, 요즘 장절 형태는 8개 입니다.
정칸의 경우에 3.2칸 낚시대 절번이 8개라고 했을 때, 2.8칸은 7개 입니다.
그럼 3.0칸은 몇 개일까요?
3.0칸의 절번도 8개 입니다.
이게 사잇칸입니다.
절번의 숫자는 같고 대부분은 이 절번들 중 몇 개(보통은 초릿대 ~ 3번대까지) 절번의 길이를
짧게 해서 길이 조절을 한 것입니다.
낚시대 제원을 살펴 보면,
3.2칸 길이는 대략 5.76미터이고 무게는 125그램이면, 3.0칸 길이는 대략 5.4미터에
무게는 120그램 언저리로 표기된 것들을 많이 보실 겁니다.
여기서, 같은 낚시대인데 2.8칸은 100~110그램인데 왜 3.0칸은 3.2칸과 몇 그램 정도밖에 차이가
안날까 의문을 가지셔야 됩니다.
위에 설명드린 앞절번 길이조절 등으로 가벼운 쪽 길이를 조절해서 그렇습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 낚시대들은 사잇칸이 정칸보다 좀 더 빳빳하다는 느낌이 들고
실제로도 그렇기도 합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는 요.
제조업체에서 팔아먹기 위한 수단이 아닌가 합니다.
이해가 어려운 것이 낮잠 잘때 사용하는 낮잠 이불도 있던데요.
정칸.
사이칸?
그냥 뭐 곡사포 방열하는것도 아니고
낚시대를 열 몇대씩 쫘악 펴고 낚시 하시는데
과연 정확하게 찌올림 보시고 챔질은 하룻밤에 몇번 하시는지~~~
보통은 정칸(장절)은 0.4칸 단위로 나갑니다.
사잇칸(단절)은 정칸 사이가 되고요...
정칸수는 설계하면서 나온 절번 그대로 나온 제품이고, 사잇칸은 정칸수의 중간 길이로 제작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정칸 3.2칸은 마디수가 9칸이고, 사잇칸 3.0칸도 마디수는 9칸 입니다.
일부 마디의 길이를 짧게 해서 전체 길이를 짧게 만들었습니다.
사잇칸을 만든 이유는 정칸수 사이의 길이를 요구하는 수요자가 있기 때문이죠.
주로 수초낚시 하시는 분들이 사잇칸을 많이들 사용하세요.
사잇칸은 정칸과 무게는 별로 차이나지 않고, 휨새나 손맛이 조금 다릅니다.
왼족부터 은성사 신수정 3.0칸(사잇칸), 3.2(정칸). 3.6(정칸)
정칸과 사잇칸 낚싯대 어떻게 만드는지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시간 통화 후 누구냐고 물었을 때,
새끼 손가락 들었죠?
왜?
왜 엄지 손가락 대신 새끼 손가락이었을까?
낚시대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왜 그랬을까?
심히 궁금하군요.
예전엔 사이칸이 없었는데
은성 등 여러 브랜드의 낚시대는 1.7, 2.1, 2.5, 2.9, 3.2, 3.6, 4.0... 으로 낚시대가 생산 되었습니다.
이때 생산된 낚시대들은 수릿대들이 거의 호환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대물낚시가 활성화되면서 일반칸수 외에 좀더 정밀하게 넣을 수 있는 칸수가 생산되었고 이때부터는 0.2칸 단위로 생산되는 브랜드가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3.2칸을 기준으로 수릿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칸수를 정칸으로 그외 수릿대가 호환되지 않는 칸수를 사이칸으로 불러왔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낚시대 종류가 많아지면서 그 기준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들어보면 30대나 32대나 거의 비슷한데 앞치기해보면 30대가 훨씬 뻣뻣합니다.
그래서 표준으로 제작된 칸수를 정칸수, 절번을 줄여 만든 칸수를 사잇대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1.6칸부터 0.4칸 간격으로 정칸수를 제작하더군요. 16, 20. 24, 28, 32, 36, 40, 44, 48, 52, 56, 60....
그러면 보통의 경우 18, 22, 26, 30..... 등등의 칸수는 사잇대가 되겠죠.
제조사에 따라 L, S로 표기하기도 하더군요.
정칸은 보통 0.4칸 단위입니다.
1.6 - 2.0 - 2.4 - 2.8 - 3.2 - 3.6 - 4.0 ......
홀수로는 1.9 - 2.3 - 2.7 - 3.1 - 3.5 - 3.9 - 4.3 .....
사잇칸은 저 위 숫자들 사이인
1.8 - 2.2 - 2.6 - 3.0 - 3.4 - 3.8.......
홀수로는 2.1 - 2.5 - 2.9 - 3.3 - 3.7.....
* 예외인 낚시대도 있습니다. 해원 제왕S스페셜은 정칸과 사잇칸이 반대입니다.
홀수칸의 경우에도 정칸과 사잇칸이 반대인 것도 있을 수 있으나 기억을 못해서
적지는 않겠습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3.2칸 낚시대의 절번은 예전은 9개, 요즘 장절 형태는 8개 입니다.
정칸의 경우에 3.2칸 낚시대 절번이 8개라고 했을 때, 2.8칸은 7개 입니다.
그럼 3.0칸은 몇 개일까요?
3.0칸의 절번도 8개 입니다.
이게 사잇칸입니다.
절번의 숫자는 같고 대부분은 이 절번들 중 몇 개(보통은 초릿대 ~ 3번대까지) 절번의 길이를
짧게 해서 길이 조절을 한 것입니다.
낚시대 제원을 살펴 보면,
3.2칸 길이는 대략 5.76미터이고 무게는 125그램이면, 3.0칸 길이는 대략 5.4미터에
무게는 120그램 언저리로 표기된 것들을 많이 보실 겁니다.
여기서, 같은 낚시대인데 2.8칸은 100~110그램인데 왜 3.0칸은 3.2칸과 몇 그램 정도밖에 차이가
안날까 의문을 가지셔야 됩니다.
위에 설명드린 앞절번 길이조절 등으로 가벼운 쪽 길이를 조절해서 그렇습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 낚시대들은 사잇칸이 정칸보다 좀 더 빳빳하다는 느낌이 들고
실제로도 그렇기도 합니다.
제왕대물의 경우에는 사잇칸은 바톤대부터 길이가 짧기도 합니다.
개념 이해 정도로만 보시면 됩니다.
사잇칸.
정칸 사이에 들어가는 칸.
그것이 사잇칸.
정칸수를
22 26 30 34 38로 만들기도 합니다.
고로
숫자보다는
제원을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윗 분께서 언급하셨듯이,
32칸 의 절번이 9절이라면
30칸 또는 34칸의 절번갯수를 비교해보세요.
9절 짜리가 34칸이라면 32칸은 사잇칸 입니다.
30칸은 8절이 되겠지요.
만약 30칸이 9절이라면 32칸은 정칸이됩니다.
제조업체에서 팔아먹기 위한 수단이 아닌가 합니다.
이해가 어려운 것이 낮잠 잘때 사용하는 낮잠 이불도 있던데요.
정칸.
사이칸?
그냥 뭐 곡사포 방열하는것도 아니고
낚시대를 열 몇대씩 쫘악 펴고 낚시 하시는데
과연 정확하게 찌올림 보시고 챔질은 하룻밤에 몇번 하시는지~~~
그래도 돈주고 사이칸도 다 사긴 했네요 ㅋㅋㅋㅋ
22대는 길고 20대는 짧고 열받죠. 그래서 21대를 사고마는~~~~ㅠㅠ
홀이냐 짝이냐
0.2냐 0.4냐
요즘은 즈그들 꼴리는데로 ㅡㅡ
사잇칸(단절)은 정칸 사이가 되고요...
정칸수는 설계하면서 나온 절번 그대로 나온 제품이고, 사잇칸은 정칸수의 중간 길이로 제작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정칸 3.2칸은 마디수가 9칸이고, 사잇칸 3.0칸도 마디수는 9칸 입니다.
일부 마디의 길이를 짧게 해서 전체 길이를 짧게 만들었습니다.
사잇칸을 만든 이유는 정칸수 사이의 길이를 요구하는 수요자가 있기 때문이죠.
주로 수초낚시 하시는 분들이 사잇칸을 많이들 사용하세요.
사잇칸은 정칸과 무게는 별로 차이나지 않고, 휨새나 손맛이 조금 다릅니다.
왼족부터 은성사 신수정 3.0칸(사잇칸), 3.2(정칸). 3.6(정칸)
정칸과 사잇칸 낚싯대 어떻게 만드는지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15, 19, 23, 26..30. 33..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