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마다 다릅니다.
어떤회사는 전년기준으로 똑같이 세금을 떼고 많이낸 차액이 있으면 연말정산을통해 환급하는식으로 운영을하고,
FM대로하는 회사는 매월급여를 기준으로 정해진 세율로 세금을 뗍니다.
다만 후자의경우 경리와 회계사가 매우, 억수로 바쁘겠지요.
투명한 회사라면 어떤 방식을 쓰더라도 손해는 없습니다.
다만, 그걸 악용하는 사장들이 많다는건 비밀입니다ㅎㅎ
등등국민연금 건보 산보등은 급여액수에 따라 차등저용됩니다.
일정비율로 급여애수에 비례되어 공제됩니다.
일정금액을 공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급여로 들어가는 수당까지 모두 포함되어 공제금애으로 채정되지니 많이 탄달은 많이 적게탄달은 더게 적용됩니다.
단 건보는 매년5월달에 1년치 정산을 해서 더 공제되거나 환급까지 되기도 합니다.
기업에서 일하는 재무팀 담당자인데요 보통 일정하게 공제하는것이 맞습니다 왜냐면 직장가입자의
경우 개개인별로 보수월액이라는(전년도 과세대상총급여 1/12) 정해진 금액있어서 건강보험공단에서 이금액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고지를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매년 3월에 근로소득연말정산처럼
보수총액신고를 통하여 건강보험도 정산을하게 되는것이죠 이때 추가납부 혹은 환급이 발생함과 동시에 향후1년간 건강보험료 고지에 적용될 보수월액도 결정됩니다
매달 다르게 건강보험 공제를 했다는것은 공단의개인별 고지금액을 무시하고 그달그달 변동하는 급여에 건강보험요율표를 적용하여 공제하고 매년정산시 환급 또는 추가납부금액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위해 의도적으로 했던가 아니면 담당자의 업무미스일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 이쪽계통 실무처리할때 고용보험은 전자대로 처리하는 경우도 많으나 건강보험은 거의 없습니다 일단 과정이 어땠던 결과론적으로 봐서 글쓴님의 연간공제된 건보료 합계금액이 실제 급여에맞게 오차없이 공제되었고 납부되었다면 근로자입장에서 문제되거나 손해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영찜찜하시면 연간 급여명세표상의 건보료 공제금액합계와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동일기간 납부내역합계금액을 비교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껍니다
어떤회사는 전년기준으로 똑같이 세금을 떼고 많이낸 차액이 있으면 연말정산을통해 환급하는식으로 운영을하고,
FM대로하는 회사는 매월급여를 기준으로 정해진 세율로 세금을 뗍니다.
다만 후자의경우 경리와 회계사가 매우, 억수로 바쁘겠지요.
투명한 회사라면 어떤 방식을 쓰더라도 손해는 없습니다.
다만, 그걸 악용하는 사장들이 많다는건 비밀입니다ㅎㅎ
변동이 없다가 연금은 년 1회 조정하는것으로
알고 있고, 건강은 년 2번인가...
가물가물 하네요.
일정비율로 급여애수에 비례되어 공제됩니다.
일정금액을 공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급여로 들어가는 수당까지 모두 포함되어 공제금애으로 채정되지니 많이 탄달은 많이 적게탄달은 더게 적용됩니다.
단 건보는 매년5월달에 1년치 정산을 해서 더 공제되거나 환급까지 되기도 합니다.
사람에게
물어보고
해명을 가지고
고민해 봅시다.
그게 가장 정확 합니다.
다만 국민연금은 징수 상한액이 정해져 내가 노후생각해서 많이 납부하고 싶다고 해도 납부가 안됩니다. 또 나이 많으면 미징수 되지요.
건강보험이나 고용보험은 월정 납부하다 1년후 연말정산하여 추징 또는 환급조정합니다. 퇴직시도 연말정산 하구요.
산자보험은 월급받는대로 바로 요율대로 징수합니다.
4대보험납부도중 급여가 상당부부분 인상 또는 인하시 회사는 월정보수 변동신고를 하여 4대보험료를 변경해달라고공단에 요청해서 변동고지분을 새로 징수하게 됩니다.
위에분 회사가 중간에 어떻게 한다는 말은 좀 어패가 있네요
월급이 일정치 않으면 4대보험도 일정치 않습니다.
건강보험료가 올라서 국민연금보다 더많이 나와서 총무한테 물어보니 그렇다네요.
건강보험 한정하여 말씀드리자면(직장가입자)
통상적으로 입사하고 4대보험 신고하면 신고한 급여 기준으로 부과 고지 되기에, 급여에서 부과 고지된 금액만큼 공제하는 것 입니다.
국민연금과 다르게 건강보험은 "정산" 이라는 개념이 있기에 20년도 근로분 소득을 21.02월 까지 신고하게 되어 있고
21.02 확정 신고분으로 21.04 가감 정산 및 21년 납부하게 매월 고정 금액을 처리 하게 됩니다. ( 일시납으로 신고하였다면.. )
단, 위 처리시 예외적으로 소득의 급격한 변동 및 개인사유로 인한 감면등 사항 발생하게 된다면 그 그액만큼 급여 가감 합니다.
이외 국민연금도 정산의 개념은 없지만..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7월? 부터인가 변동 처리 됩니다.
고용 / 소득세 / 지방소득세의 경우 과세 급여에 따라 변경되는게 맞구요.
실무적으로 직원 몇명 안되는 회사는 사장이 내주는 경우도 있고,, 매월 동일 금액으로 징수하는 경우도 있고..
실질하고는 맞진 않지만 그렇게 처리도 합니다. (불합리하다고 판단될시 관련 증명으로 노동청 가시면 되고요)
그리고 위분중에.. 사장이 악용하는게 많다는.. 분이 계시는데 전 실무적으로 불리하게 적용하는 회사는 많이 보진 않았습니다.
받는 급여가 수당이 있어서 들쭉 날쭉하면 건보료는 변동이생깁니다, 고용보험도요
국민연금은 보수총액 신고전엔 계속 같은금액으로 1년 나올겁니다.
매월 400씩 고정급인데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료는 변동이 생길수 없구요
받는금액이 수당이 들어갓다 빠져서 건보 3.43% 장기요양은 건보의 11.42%를 근로자한테 원천징수 합니다.
당연히 소득세 , 주민세도 변동이 생기겠죠.
이상한게 아니라 지극히 정상으로 보입니다.
계산해보셔요~~ 건보 / 장기요양 보험료가 3.43% // 11.42%를 공제하는지~~
개인의 재량으로 악용할 수 없습니다.
콩밥 먹어야 됩니다.
괜한 추측으로 어지럽게 하지 마십시다.
악용한 실제 사례를 여럿 들어주시던가...
월급 계산때 그 달의 급여가 변동이 있다면 그 표에 따라 차감후 지급합니다.
공단에 급여에 따른 건강보험납부등급을 신고하는데 그 신고금액을 1년간 적용합니다.
급여액이 변동이 있으면 있는 만큼 차등이 발생하겟죠.
차등액은 다음해에 돌려 받습니다. 집이나 직장으로 환급받으라고 연락옵니다.
반대로 적게 납부했다면 더 내게 되겟죠.
병원비 환급은 또 다른 기준이 있을 겁니다. 정부에서 고시해서 일정 금액 이상 지출시 요건이 충족되면 납부된 병원비중 얼마를 돌려줍니다.
해당되신다면 병원비를 되돌받는 좋은 경험을 하게될겁니다.
경우 개개인별로 보수월액이라는(전년도 과세대상총급여 1/12) 정해진 금액있어서 건강보험공단에서 이금액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고지를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매년 3월에 근로소득연말정산처럼
보수총액신고를 통하여 건강보험도 정산을하게 되는것이죠 이때 추가납부 혹은 환급이 발생함과 동시에 향후1년간 건강보험료 고지에 적용될 보수월액도 결정됩니다
매달 다르게 건강보험 공제를 했다는것은 공단의개인별 고지금액을 무시하고 그달그달 변동하는 급여에 건강보험요율표를 적용하여 공제하고 매년정산시 환급 또는 추가납부금액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위해 의도적으로 했던가 아니면 담당자의 업무미스일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 이쪽계통 실무처리할때 고용보험은 전자대로 처리하는 경우도 많으나 건강보험은 거의 없습니다 일단 과정이 어땠던 결과론적으로 봐서 글쓴님의 연간공제된 건보료 합계금액이 실제 급여에맞게 오차없이 공제되었고 납부되었다면 근로자입장에서 문제되거나 손해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영찜찜하시면 연간 급여명세표상의 건보료 공제금액합계와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동일기간 납부내역합계금액을 비교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