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24-05-01 08:58:41 화보조행기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음~~
토종이라 생각하고 축하 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
토종으로 보기엔 좀 아쉽네요 ~~
잡은 고기가 토종인지 긴가민가하고~
자문을 구한다면~
그건 토종이 아니라고~^^;
한눈에 딱봐도 ~
* 잘생겼으면 토종
* 못생겼으면 희나리(떡붕어)
* 애매하다싶으면 잉붕어(또는 향붕어)
라고
보시면 ^^
5짜 축하 드립니다.
떡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사는데가 희나리가 없고 본적이 없어서...
보기에 붕어네요!,ㅋㅋ
그래도 부럽습니다
저런거는 누가 어디서 낚는대요?
그져 부럽다는 1인 입니다.
축하합니다.5짜.
그런데 5자는 안되네요
ㄸ ㅓ ㄱ 붕어..떡붕어로 보입니다,
암튼 추카드립니다....
떡붕어,희나리 측선 수는 30~33개 정도 나옵니다.
30개 이하면 토종이라 보시면 되구요.
사진의 붕어는 눈의 형태로 보아 떡붕어나 희나리 같네요(입모양과 눈이 중앙보다 처져 있는걸로 보아...)
그리고 희나리와 떡붕어는 엄연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히 보시면 희나리는 몸에는 떡붕어에는 없는 희미한 다섯줄의 세로줄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희나리의 학명이 정해지진 않았지만 희나리는 분명 우리 고유의 토종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희나리를 토종붕어와 일본의 떡붕어의 교잡종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떡붕어가 유입된 1972년 이전에 희나리가 분명 있었다는 문헌
의 기록이나 잡혔었다는 선배 조사님들과 어부들이 많습니다.
한국의 어류학자들이 하루빨리 희나리붕어의 학명을 만들어 어엿한 한국의 고유어종으로 일본의 떡붕어와 명백히 구분을 지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