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늘별 측점위치 보면 잉붕어입니다. 어종을 정확히 구분하셔야 개인기록을 할것인지 또는 방생,처리할 것을 결정할
수 있겠지요. 해당 고기는 교잡종이므로 토종생태계를 위해서 손맛 본걸로 위안삼고 처분하시는게 맞을듯 합니다.
언뜻 위해어종이 아니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저 정도 덩치면 배스만 못하더라도 토종치어들 꽤 잡아먹을 것이며
개체수 많이 풀리면 토종어류의 경쟁(위해)어종이 됩니다. 배스가 풀어진 30~40년전 초반엔 지금의 배스가 이렇게
토종어류를 위협할지 몰랐겠지요. "손맛보심을 축하합니다"라고만 할게 아니라 처치에 대해서도 조언해 주실때입니다.
여러분들 토종어류들 사랑하시잖아요? 그럼 교잡종이 아산호같은 자연지에 풀어져 있는거 싫으실 겁니다.
이에 대해 할말은 많지만 간단히 답글올립니다.
그동안 많은 유료터를 다니면서 수많은 붕어(중국붕어, 잉붕어, 향붕어, 토종붕어)들을 접해보았습니다.
1세대 토종붕어와 1세대 수입붕어들의 구분은 쉽습니다.
(잉붕어, 향붕어도 마찬가지입니다. )
하지만 이게 2세대 3세대로가면서 토종인지 교잡인지 뭔지 헷갈릴때가 많습니다.
교잡들을 많이 보면서 판별을 하다보니 토종붕어들도 교잡으로 보일때가 있고 ㅠㅠ
(저는 측선은 세지않습니다.)
- 일단 체색자체가 거무튀튀와는 거리가 멉니다.
- 머리(대가리)가 뭉툭하지가 않고 뾰죽(삼각형)합니다.
- 토종의 비늘은 동글동글합니다. (교잡종은 그반대겠지요.)
- 꼬리가 하얗습니다. (토종은 하얗지가 않습니다.)
- 날씬(?)합니다. (체고가 낮은토종붕어들도 많긴합니다.)
저는 위에 바늘펴저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어종을 정확히 구분하셔야 개인기록을 할것인지 또는 방생,처리할 것을 결정할수가 있겠지요. ^^
저는 뭐 판별은 못하겠고 저도 글쓴분처럼 아리송 합니다~
잉붕어는 측선이 비늘의 앞쪽에 있습니다.
잉붕어로 보입니다~
그래도 5짜 하심을 매우 매우 감축 드리옵니다~^^
손맛이 중하지요~^^
잡조사왈~
축하드립니다.
손맛보심 축하드립니다^^
측선 점이 앞쪽은 잉붕어
토종은 측선 점이 중간에 있거든요
잉붕어 측선 35개 전후
토종 28~30개
손맛은 충분히 보셨겠네요
축하드립니다!
등 지러너미가s자네요
토종은 사선으로 알고있어요
그래도 손맛이 좋으셧겟읍니다
축하드립니다
수 있겠지요. 해당 고기는 교잡종이므로 토종생태계를 위해서 손맛 본걸로 위안삼고 처분하시는게 맞을듯 합니다.
언뜻 위해어종이 아니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저 정도 덩치면 배스만 못하더라도 토종치어들 꽤 잡아먹을 것이며
개체수 많이 풀리면 토종어류의 경쟁(위해)어종이 됩니다. 배스가 풀어진 30~40년전 초반엔 지금의 배스가 이렇게
토종어류를 위협할지 몰랐겠지요. "손맛보심을 축하합니다"라고만 할게 아니라 처치에 대해서도 조언해 주실때입니다.
여러분들 토종어류들 사랑하시잖아요? 그럼 교잡종이 아산호같은 자연지에 풀어져 있는거 싫으실 겁니다.
이에 대해 할말은 많지만 간단히 답글올립니다.
자연지니까요.^^
잉붕어 구별법 이라네요!
잉붕어가 맞는듯 합니다,
대물 축하드립니다~
그동안 잉붕어를 볼 기회가 많지 않아서 긴가민가 했는데, 역시 잉붕어 였네요.
그리고 잉붕어가 유해 어종으로 분류 되는지는 몰랐네요, 앞으로는 다시 만나게되면 처분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다시 만나면 붕어와 닮아서 처분 할 수 있을지는,,, 고민 될거 같습니다.)
소중한 답글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늘 행복 하시길 기원 합니다.
답글주신 모든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그동안 잉붕어를 볼 기회가 많지 않아서 긴가민가 했는데, 역시 잉붕어 였네요.
그리고 잉붕어가 유해 어종으로 분류 되는지는 몰랐네요, 앞으로는 다시 만나게되면 처분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다시 만나면 붕어와 닮아서 처분 할 수 있을지는,,, 고민 될거 같습니다.)
소중한 답글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늘 행복 하시길 기원 합니다.
오짜 추카 추카~~~ 드립니다.
1세대 토종붕어와 1세대 수입붕어들의 구분은 쉽습니다.
(잉붕어, 향붕어도 마찬가지입니다. )
하지만 이게 2세대 3세대로가면서 토종인지 교잡인지 뭔지 헷갈릴때가 많습니다.
교잡들을 많이 보면서 판별을 하다보니 토종붕어들도 교잡으로 보일때가 있고 ㅠㅠ
(저는 측선은 세지않습니다.)
- 일단 체색자체가 거무튀튀와는 거리가 멉니다.
- 머리(대가리)가 뭉툭하지가 않고 뾰죽(삼각형)합니다.
- 토종의 비늘은 동글동글합니다. (교잡종은 그반대겠지요.)
- 꼬리가 하얗습니다. (토종은 하얗지가 않습니다.)
- 날씬(?)합니다. (체고가 낮은토종붕어들도 많긴합니다.)
저는 위에 바늘펴저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어종을 정확히 구분하셔야 개인기록을 할것인지 또는 방생,처리할 것을 결정할수가 있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