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KBS 이래도 됩니까?

참붕어 ㅡ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큰 비늘을 가지고 있다. 입은 작고 앞에서 보면 'ㅡ'자형의 형태를 띠며, 위턱의 뒤끝 부분은 콧구멍의 앞도 미치지 못한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길며, 입수염은 없다. 몸의 색은 전체가 은색을 띠지만 등 쪽은 암갈색을 띤다. 몸통 옆면의 비늘은 뒤쪽 끝 부분이 초승달 모양으로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작은 반점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양처럼 보인다.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몸 전체가 검은빛을 띠고, 암컷은 밝은 노란색을 띤다. 참붕어는 저수지와 하천의 얕은 곳 표면 가까이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잡식성이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경으로 바닥의 돌 표면에 알을 붙여 알을 낳는다. 알을 낳고 나서는 수컷이 알을 보호하며 접근하는 적을 공격하여 쫓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붕어 (국립중앙과학관 - 어류정보,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조금전 방영된 KBS 내고향스페셜에 풍산개 보양식으로 붕어 잡아다 먹입니다. 문제는 붕어 잡아 개 먹이는 것이 아니고 ㅡ 붕어를 참붕어라고 칭하는 점입니다. 붕어를 잡는 주민분은 붕어를 잡아 참붕어다! 소리칠 수도 있다지만 내레이션까지 참붕어로 나옵니다. 회원님들도 보신분 계시겠지만 가끔 방송에서 붕어를 참붕어로 칭하는데 이걸 보는 시청자 중 모르는 이들은 참붕어를 붕어로 알 것 아니겠습니까? 심지어 월척붕어를 들고 참붕어 월척이다 하기도 하더군요. 명색 대한민국 대표 공영방송인 KBS의 이런 안일하고 무지한 방송 태도에 기가막힙니다. 가끔 방송에서 턱없이 무식한 단어의 오류를 보는데 이럴 땐 정발이지 시청료가 아깝습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토종을 "참" 이라고 표현들 하더군요.

붕어의 경우에

토종붕어를 참붕어로 부르는 사람들이 꽤 됩니다.

좋게 보면.. 그 지역 사람들이 부르는 그 이름을 살려서

방송한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네요.

피디가 좀더 붕어에 대해서 잘 알았다면

좋았겠습니다만...여러모로 아쉬움은 있네요.
주로 떡붕어와 구별 하기 위해
예전 부터 많이들 참붕어로 불러 왔습니다
우리 낚시인들이나
참붕어가 무엇인지 알지
일반인들은 전혀 모를겁니다

공영방송에서 참붕어뿐만이 아니고
월척이란 말도 잉어든, 바닷 고기든 막갔다 붙이죠 ㅎ

나레이션이나 대본은 못고치더라도
자막이라도 간략 하게 보내주면 좋겠지요

개인적으론
참붕어 학명을 누가 갔다 붙혔는지
그 대가리나 저의가 궁금 합니다
꼭 이름을 지어야 한다면 참피리 정도가 딱 좋겠는데....ㅎ
그러게요
방송 내보내기전 팩트에만 연연했지 자연생태계부분 체크가 엉성했군요..

우리 조사님들이
방송국PD들에게
한수 가르쳐야 하겠습니다.그려...
숭어,가숭어 반대로 이야기하는 리포터들 일년에 몇번 나옵니다.
양식하는 가숭어를 `참숭어`로 부르는 분들도..
참숭어라는 물고기는 원래 없는데..키위를 `참다래`라고 상품화하는 거랑 같죠.
문제입니다.
잘알지도못하고 서로들 특종만잡으려하니ㅠ
방송의힘은 대단한데ㅠ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