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이든 중층이든 원리는 같습니다
붕어가 흡입하는 시점을 캐치해서 빠르게 낚는 낚시죠
근데 왜 내림이 있고 증층이 있는가?
그건 붕어종에 따른 습성 때문입니다
대만이나 중국권은 양식산 짜장붕어....
일본은 떡붕어....
짜장은 주로 바닥권.....
떡붕어는 증층권.....
많이 노니는 곳을 공략하다보니 명칭이 그렇게 나뉜것 뿐입니다
중층채비를 가지고 바닥권을 노리면 그게 내림이랑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단, 내림에선 튜브찌탑을 잘 쓰진 않습니다
주로 솔리드 타입이죠
굳이 쓴다면 시인성 때문일겁니다
중층에서 튜브부터 솔리드 다양하게 쓰고요
찌의 부력이 떡밥이 풀리는걸 잡아주고 표현해주기 위해서죠
전층낚시에 하위로 표층 중층 바닥권낚시로 나누어집니다 보통 수면1미터내외
를 표층 그아래부터 바닥층 바로 위까지
노리는 중층 바닥권을 노리는 내림낚시로 구분되며 노리는 수심층에따라
사용되는 찌가 다르며 채비는 크게 차이
없습니다ᆢ 다만 전통올림바닥과
다른점은 미끼를 흡입하는 순간 캐치
하는점입니다ᆢ
그래서 활성도가 최저인 겨울에 조과
차이가 납니다ᆢ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왜 이런 낚시를
하는가 인데요 대상어종이 대부분
떡붕어인 이 낚시는 떡붕어의 먹이활동
과 연관이 있고 토종붕어와는 다르게
먹이활동을 수온과 계절에따라 다른
수심층에서 하기때문이라 생각됩니다
토종붕어는 수심 중간에서도 먹기도
하지만 계절에 따라 수심깊은곳의 바닥권ᆢ 수심낮은곳의 바닥권에서 약45도의 기울기로 먹이를 취하고 몸을 돌리는
과정에서 오름의 입질이 표현 된다고
알고있습니다ᆢ
중층. 바늘이 말그대로 수심의 중간에위치.
내림. 바늘이 바닥에 살짝 다아있음
올림. 봉돌이 바닥에 다아있음.
그럼 내림 하다가 같은 채비로 그냥 바늘을 띄우면 중층이 되는 건가요?
찌부터 달라요
입질시 찌가 내려감.
중층
바늘이 중간에 떠 있음.
위 둘의 낚시는
같은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죠.
중층ㅡ바늘이바닥에서떠있슴
둘다 봉돌은바닥에서떠있슴
올림ㅡ봉돌이바닥에닿아있슴
붕어가 흡입하는 시점을 캐치해서 빠르게 낚는 낚시죠
근데 왜 내림이 있고 증층이 있는가?
그건 붕어종에 따른 습성 때문입니다
대만이나 중국권은 양식산 짜장붕어....
일본은 떡붕어....
짜장은 주로 바닥권.....
떡붕어는 증층권.....
많이 노니는 곳을 공략하다보니 명칭이 그렇게 나뉜것 뿐입니다
중층채비를 가지고 바닥권을 노리면 그게 내림이랑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단, 내림에선 튜브찌탑을 잘 쓰진 않습니다
주로 솔리드 타입이죠
굳이 쓴다면 시인성 때문일겁니다
중층에서 튜브부터 솔리드 다양하게 쓰고요
찌의 부력이 떡밥이 풀리는걸 잡아주고 표현해주기 위해서죠
공략한다고..전층낚시라고 하기도
하더군요.
를 표층 그아래부터 바닥층 바로 위까지
노리는 중층 바닥권을 노리는 내림낚시로 구분되며 노리는 수심층에따라
사용되는 찌가 다르며 채비는 크게 차이
없습니다ᆢ 다만 전통올림바닥과
다른점은 미끼를 흡입하는 순간 캐치
하는점입니다ᆢ
그래서 활성도가 최저인 겨울에 조과
차이가 납니다ᆢ
하는가 인데요 대상어종이 대부분
떡붕어인 이 낚시는 떡붕어의 먹이활동
과 연관이 있고 토종붕어와는 다르게
먹이활동을 수온과 계절에따라 다른
수심층에서 하기때문이라 생각됩니다
토종붕어는 수심 중간에서도 먹기도
하지만 계절에 따라 수심깊은곳의 바닥권ᆢ 수심낮은곳의 바닥권에서 약45도의 기울기로 먹이를 취하고 몸을 돌리는
과정에서 오름의 입질이 표현 된다고
알고있습니다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