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돌의 한구희입니다.
일산제품 일반 매장의 마진율 알고계시는분 있을까요?
일산 제품을 일반 매장에서 구매하실 일도 없겠지만....마진15%이상을 챙기면 도둑놈된다는것 아실까요?
15% 마진에 카드수수료 + 부가세 12%정도 떼고나면 3%의 마진인데....
원래는 약 22%정도의 마진이 책정되어 있으나....과열경쟁으로 현금가3%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그것도 비싸다 하시면 그냥 받은 값에 드리게 되지요[손님 놓치지 않으려고]
글루텐을 예로 들어볼까요?
몇년 전 일이지만 글루텐5 입점가가 2.500원인데 2.300원에 판매되기도 했습니다.
지금도 낚시점에 가면 일산 떡밥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는데....
이 제품 팔고 싶어 하는 점주는 한분도 없을것입니다.
사입가는 비싸고....마진은 없고....없으면 장사 못하고.....미칠일이지요
마진도 없는 일산 제품을 취급하지 않으면 손님이 오지를 않으니......울며겨자먹기로 취급을 하지요
국산제품 일산보다 좋은것 정말 많습니다.
그런데....일산과 경쟁을 못해요.....똑같은 품질의 국산품이 출시가 되면 입점을 할수가 없습니다.
일산은 노마진으로 팔아야 하고....
국산은 마진이 있어야 하고....
국산이 일산과 품질경쟁은 얼마든지 자신이 있다는데... 가격경쟁 자체가 불가능하지요
사실이 이런데.....
소비자는 국산제품 나뿌다고만 합니다.
입점을 위하여 판매가격을 맞춰야 하므로 제품의 질을 떨어트리는 방법 말고는 없는데도 말이죠
유명 메이커의 이런 판매방식의 피해는 모두 소비자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소비자의 유명 메이커 선호와 유명메이커의 시장 지배력 결과는 판매점이 망한뒤 소비자의 참패로 끝나게 됩니다.
견제할 세력이 모두 제거되는 결과 때문이지요
일제가 얼만데...국산이 왜이리 비싸?
했던적은 없으신가요?
대형 유통업계의 장난으로 일산은 노마진으로 판매를 강요 당하고 있다는 사실 소비자가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저히 한돌은 유통업[도매상/나까마]에 단 한개도 출고하지 않습니다.
가격을 정가화 하고 소매점의 마진을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천만 다행하게도
저히 한돌제품은 일산제품과 경쟁을 피하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대부분의 제품을 특허로 등록하는 것과 상표등록도 그 방법의 하나입니다.
저히같은 영세기업이 특허가 20개가 넘습니다.
개당 200만원만 잡아도 4000만원이 등록비로 들어 갔고.....
등록에 실패한 100여가지를 합치면.....사업 안해도 될뻔했습니다.
지금 국산품 경쟁력은 일본에 밀리고 중국에 떠받처 경쟁율0%입니다.
국산품에 조금만 더 애정을 가저 주시기를 머리숙여 부탁드립니다.
저히 한돌의 국산품이래야 뜰채와 파라솔등 몇 종 안되어 그다지 어렵다 하긴 그렇습니다만.....
동종업계에 영세 제조사의 한탄이 안타까워서 글을 씁니다.
두서 없는 긴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국산품의 경쟁력은??
-
- Hit : 346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지금은 장비를 다 처분해서..)
다시 낚시하면 한돌묶음바늘 삽니다.
힘내세요.
개인적인생각입니다..
국내 조구업체 낚시관련업체..
개인적으로는 믿음이안갑니다...
오해는마세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라고말씀드렸습니다..
조구업체 낚시 관련업체 제가보기엔 거품 엄청난거같습니다..
조심스럽게 한마디건내고갑니다...
그 방법밖엔 없습니다
장인이되세요
그것만이 살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돌제품 몇가지 써봤지만 마진률과 시장질서를 논하기에는 많이 부족합니다
받아드리기 아프겠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응원합니다.
응원 드립니다.
힘내시길...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품질도 믿음이 안가고요,,,,
이유야 많겠지만 참 안타깝습니다.
돌파구가 보이지 않아서 어려우실거지만 힘내세요~
대부분이 낚시와 관련되면 유사제품보다 가격이 3~4배 비싼 것은 기본입니다.
이런 시각을 바꾸려면 조구업체들의 반성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힘내셔요~
타사 제품이든
국내산을 이용 하여 5짜 잦아 올릴게요
화이팅~/♥
고객무서운줄 알아야합니다
예전엔 조구제품에 거품이 있어도 잘몰랐죠
누가 이야기해주기까진 알수가 없습니다
지금은 스마트폰의 발달과 집단지성의 도움으로 금방 알수가 있습니다
국내조구업체, 소매상, 유통업체의 마진율을 논하기 이전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 결점이 적은 제품이 우선입니다
일본이라는 나라가 우리 과거사로 인해 부정적이긴 하나 공산품에 관한 장인정신은 배워야합니다
한돌과 같은 업체는 기술개발과 특허로 나름 경쟁력은 확보하기 노력을 하나 대부분의 다른 업체들은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오죽하면 국내브랜드제품을 카피해서 중국에 OEM줘 판매를 하니 말입니다
특히 제조사가 가장 많은 이익을 봐야되는 산업구조가 되야하는데 대형 유통업체가 배불리는 구조도 문제이지요
조구업체는 단기간에 이익을 내고 빠지는 정책이 아니라 오랜기간 장인정신을 발휘해 보다 완성도 높은 제품을 만들고 유통업체의 농간?을 타파하기 위한 이익단체를 만들어 스스로의 권익을 위해 투쟁하셔야합니다
특정 낚시대 가격이 판매업체마다 다 다른데 누가 신뢰할 수 있겠습니까
소비자에게 읍소하기 전에 상기의 언급한 내용들이 먼저 올바르게 정착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되네요
힘든 여건에서도 노력하시는 한돌 사장님께 응원을 보내드리고 국산품을 먼저 믿고 살수 있는 그런 날이 오면 좋겠네요
선택의 여지가 없습이다...
몇가지 나온거 서보면 한번쓰고는 다 버리게 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