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농담이건 진담이건 그 뱉는 말의 행간을 살펴보면 사람간의 대화는 작든 크든 어떤 가치를 품는 삶의 한 방편이라는것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정심 정언 정행이란것이 있는것도 대부분 다아시리라 믿습니다.
그런데 근래들어 사람간의 대화를 보면 융합을 어렵게 만들고 스트레스만 양산해내는 자기합리화에만 지나치게 의존한 대화의 오류가 급속하게 난무하는걸 많이 느낍니다.
너무나 많은 지식이 들어가서 그런걸 까요?
아니면 각자의 인품이나 자아의식이 월등히 높아져서 그러는 것일까요?
필이 어떤 이유나 원인이 존재하리 봅니다.
그래서 문득 아리스토텔레스가 궤변론자들의 오류를 지적해낸 <소피스트적 논박>-[한길사, 김재홍 옮김]에서 언급한 주요내용을 일부 옮겨봅니다.
---------------------------------------------------------------------------------------------------------------------------------
우리사회는 궤변이 넘치는 사회이다.지상파,케이블,종편 등 다양한 TV채널들이 생기면서부터 이 현상은 더욱 심해졌다.다양한 매체에서 숱한 말과 영상이 쏱아지고 있다.
그러나 합리적 근거와 논리에서 벗어난 억측과 오류로 점철된 말의 성찬이 벌어지기 일쑤다.
방송사들이 마련하는 자리는 다양한 해석과 논의가 펼쳐지는 자유담론이 아니라, 대부분 찬반토론으로 설정된 틀속에서 두편으로 나뉘어 날카로운 논박으로 흘러가는게 일반적 양태다. 이런상황에서 토론자들은 어떤방법으로 상대방을 이겨야만 하는 압박감을 느낄 것이다. 그러다 보니 토론에서의 승리를 위해 궤변적 오류가 난무한다.~
~중략~
아리스토텔레스는 올바른 쟁론을 위한 변증론을 전개했다. 그는 궤변이 넘치던 당시 아테네의 사회상황에서 합리적 대화의 쟁론을 펼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소피스트적 논박>은 올바른 추론에 의한 참된 논박과 잘못된 추론에 의한 궤변적 논박을 식별하는 방법을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궤변에 속지않고 올바른 논박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가이드북인 셈이다.
~중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쟁론적 논의를 전개하다보면 여러가지 오류가 발생한다.논박을 하기위해 근거가 박약한 애매한 말,모호한 문장의 오류가 발생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말ㅆ;에 기인하는 오류6가지를, 그리고 말씨에 기인하지 않는 오류 7가지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만일 코리스코스가 소크라테스와 다르고, 소크라테스가 인간이라고 한다면,코라스코스는 인간과 다르다'에 사람들이 동의한다면 이는 본질적 대상이 아닌 본질에 속하는 것에 대한 오류, 즉 '부대하는 것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 된다.
소크라테스의 속성을 규정하는 것은 많을수 있고, 그가 인간임은 그 가운데 하나의 속성일 뿐이다. 코리스코스가 소크라테스와 다르다고 말한 속성도 부대하는 여러것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각각이 대조한 속성이 모두 부대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코리스코스가 인간과 다르다고 말하는 것은 궤변이 되는 것이다.
특정한 사안에 따라 공통적 원리를 고찰하는 사람은 변증론자다.
반면 궤변론자들은 외견상으로만 이것을 행사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궤변론자들은 돈을 벌고 명성을 얻기위해 외견상 논증을 목표로한다.
"외견상의 승리에 있는한 그 논의는 쟁론적이고,외견상의 지혜에 있는 한 그 논의는 궤변적이다.왜냐하면 궤변술은 실재가 없는 어떤 외견상의 지혜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아리스토텔레스는 표면적인 지혜로 보이게 하는 궤변술을 변증론과 분별할 것을 경고하고 있다.
유사지혜로 분식하는 궤변술을 분쇄하는 게 진정한 지혜를 추구하는 변증론자의 의무일테다.
변증론자의 책무는 "어던 특정한 지식에도 포섭되지 않는 공통의 원리에서 생기는 논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하 추론에 관한 부분은 생략합니다...
월님들, 더위에 건강하시길...
궤변론자의 오류
-
- Hit : 230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0
어려운 단어들이 넘 많아서리 ㅡㅡ
암튼 안싸우고 사이좋게 잘 놀겠슴다
시원한 여름 보내시개 바랍니다~
원글을 읽었는데 이해안되고 머리아파서
한번 더 읽었습니다
시원한 여름 보내시기 바랍니다.
유수불부...
유수불부2
건강 무탈한 여름 지내시기 바랍니다.
정심. 정행. 정언. 묵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