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게나말입니다
생각해보면 그리 복잡하고 어려운 것도 아닌데...
맞춤법을 바꿔서 기성세대를 지적질 당하게 하는지 원.. 쩝.
예전엔 두가지 모두 인정해 줬으나 1988년 이후로는 '~습니다' 로 획일화 되었죠
맞춤법이 바뀌기 전에도 올바른 표기는
ㅆ ~읍니다 (했읍니다) 'ㅆ' 뒤에 쓸 때에는 '~읍니다'
ㅂ ~습니다 (봽습니다) 'ㅆ 이외의 자음' 뒤에 쓸 때에는 '~습니다'
발음상 "습(씁)니다" 로 발음 되어야 했기 때문에 '~읍니다' 앞에서 어떤 자음으로 연음 되는가에 따라 표기를 달리 했던거죠
더 깊이 들어가면 공손과 최대 공손의 의미도 있지만 각설하고,
그럼에도 '먹었음', '맞았음' 할 때 '~음'은 올바른 맞춤법으로 인정 되고 있지요
그렇다면 "~했읍니다"의 표기도 바른 표기로 병행 인정해줘도 무리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은 그렇답니다 ^^)
그렇게 배웠으니까요.
저도 읍니다 교과서로
공부를 했습니다만,
부단히 노력하여 이제는 고쳤습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많이 변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띄워 쓰기나 맞춤법이 틀릴 때가 가끔 있습니다.
오타는 늘 범하는 실수 이고요...
어느순간 ' **습니다' 로 바뀌었더군요
아~! 이런걸 아은 저도 아재 ㅜㅜ
생각해보면 그리 복잡하고 어려운 것도 아닌데...
맞춤법을 바꿔서 기성세대를 지적질 당하게 하는지 원.. 쩝.
예전엔 두가지 모두 인정해 줬으나 1988년 이후로는 '~습니다' 로 획일화 되었죠
맞춤법이 바뀌기 전에도 올바른 표기는
ㅆ ~읍니다 (했읍니다) 'ㅆ' 뒤에 쓸 때에는 '~읍니다'
ㅂ ~습니다 (봽습니다) 'ㅆ 이외의 자음' 뒤에 쓸 때에는 '~습니다'
발음상 "습(씁)니다" 로 발음 되어야 했기 때문에 '~읍니다' 앞에서 어떤 자음으로 연음 되는가에 따라 표기를 달리 했던거죠
더 깊이 들어가면 공손과 최대 공손의 의미도 있지만 각설하고,
그럼에도 '먹었음', '맞았음' 할 때 '~음'은 올바른 맞춤법으로 인정 되고 있지요
그렇다면 "~했읍니다"의 표기도 바른 표기로 병행 인정해줘도 무리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은 그렇답니다 ^^)
마음을 밖으로 나타내는 것이 말이고 글인데 마음을 제대로 알 수 있는 글이면 족하지요.
왜 그러는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