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금시기 포인트질문을 드리고저 합니다.
어종은, 붕어가 아닌 민물장어 입니다.
부모님께서 계시는 본가에, 계곡형저수지 (약8천평)이 있습니다.
장어가 있다는 조건하에, (마을주민들 말로는 군에서 방생한 장어가 있다고 합니다)
저수지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계곡지 전체 경사가 있는 전형적인 계곡지 지형, 바닥마사토 모래..
상류 아주 약간의 수초지역 제외한 95%이상 맹탕
하류 뚝방 수심15M예상.
상류 수심 1미터 내외.
중류 완경사로 인하여 수심편차가 있음.
확인된 어종은 붕어 잉어 메기 빙어 이며, 자생새우가 존재합니다.
추가적으로, 지금현재 상류에서 붕어들의 산란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본가앞에 위치한 계곡형저수지 말고는, 원정다닐만한 낚시여건이 제한적입니다.
본가에 부모님 뵈러가서, 원투대를 던져놓고저 합니다.
모친께서 투병생활중이시라, 잡히면 바로손질해서 취할 목적입니다. (이것이 팩트입니다)
선배님들의 조언을 여쭙고저 합니다.
포인트에대한 여러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__)
우천으로 인한 건강관리들 유의하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기타) 장어낚시 포인트에 대한 질문.
-
- Hit : 305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2.제방부근
3.산과 수면이접하는 급경사 부근
뭐 대충 이정도 ^^
상류는 승산없나요?
노는자리가 있는것 같아요 장어도 먹이 취할때 가장자리로 나오는것 같습니다 제경험엔요
미끼는 뭐였나요?
땅강아지 미끼가 한강에서 인기가 있던적이 있구요
산지렁이도 추천 드립니다.
대낯에도 입질해요 주입질시간대는 해지기 전후 한두시간 내에 제일많이 봤어요
7월이라 지금은 해보질않아서 산지렁이 구하기 힘들고 저도가볼려구 까막지렁이랑 청지렁이 구매는 해놓구 비가와 대기중입니다
수초가 없으면 물골 자리나 뚝방 바위 틈새 자리..가 좋은것 같습니다..
미끼는 산지렁이, 새우가 구하기 쉽지요..
물골자리라는게 정확히 어떤것인지 잘모르겠습니다..
물골자리가 정확히 어떤곳인가요?
뚝방쪽이 좋을것같습니다
들어오지싶은데..
한개만 놓아도 불법이겠죠?
저녁시간엔 상류쪽 얕은곳으로 먹이활동하나 봐요.
그 저수지엔 새우랑,납자루가 있거든요.
낮엔 장어가 안잡히는데,밤에는 상류쪽 수심얕은데에서
새우나 참붕어에 가끔씩 잡히더라구요.
장어는 챔질시 째는 방향이 특히하더군요.
자꾸 후진기어?를 넣터군요.그래서 장어는 꼬리,꼬리 하나봅니다.
암튼 야간엔 먹이활동하러 얕은수심대로 오는것 같아요.
꼭 목표달성 하시길 바래봅니다.
상류 약간의 수초지역에서 3명이서 대낚으로 5마리 정도 새우 미끼로 잡았네요.
아주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