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꼭!! 꼭!! 읽어보세요...52

컴퓨터가 계산기라는 건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만, 사실 그건 컴터가 내부적으로 일할 때의 이야기 이고, 정작 우리에게 필요한 건 탁상용 계산기 였잖아요? 그런데 말이지요. 아주 좋은 계산기가 캄터 안에 있어요. 함 찾아보세요. 바탕화면의 좌하귀에 [시작]이란 게 있지요, 거기서부터 찾는 겁니다. 시작>모든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계산기 그랬더니 다음 그림과 같은 계산기가 나왔죠?
꼭 꼭 읽어보세요52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계산기 버튼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설명(W)'이라는 게 나오는데요. 그 '설명'을 클릭하면 그 버튼에 대한 진짜 설명이 나와요. Backspace : 표시된 숫자 중 마지막 자릿수를 삭제합니다. 예) 표시창에 123이 있을 때, 이 버튼을 누르면 3이 삭제되고 12만 남습니다. CE : 표시된 숫자를 지웁니다. 35를 입력해야 하는데 53을 입력했다든지 할 때 입력 정정 수단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C : 표시창에 나타난 계산 결과를 지웁니다. MC : 메모리에 저장된 숫자를 지웁니다. MR : 메모리에 저장된 숫자를 불러옵니다. 숫자는 메모리에 남습니다. MS : 표시창에 표시된 숫자를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M+ : 표시창의 숫자를 메모리에 저장된 수에 더합니다. 그러나 합을 표시창에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 : 덧셈 연산기호 - : 뺄셈 연산기호 * : 곱셈 연산기호 / : 나눗셈 연산기호 = : 이전에 입력한 두 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합니다. 마지막 연산을 반복하려면 =을 다시 클릭합니다. 예)25, +, 3을 차례로 입력하고 =을 누르면 28이 되고, = 를 누르며 31, = 누르면 34, ... sqrt : 표시된 수의 제곱근을 구합니다. 예) 100, sqrt를 차례로 누르면 10이 됩니다. % : 곱셈 결과를 백분률로 나타냅니다. 예1) 50*25%는 50의 25%를 계산합니다. 결과는 12.5 예2) 50+25%= 는 50에 50의 25%를 더합니다. 결과는 62.5 예3) 50-25%= 는 50에서 50의 25%를 뺍니다. 결과는 37.5 예4) 50*25%= 는 50에 50의 25%를 곱합니다. 결과는 625 예5) 50/25%= 는 50을 50의 25%로 나눕니다. 결과는 4 1/x : 표시된 숫자의 역수를 계산합니다. 예) 100, 1/x 의 결과는 0.01 +/- : 표시된 숫자의 부호를 바꿉니다.(이 키는 toggle로 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버튼의 사용법에 대해서 살펴본 것입니다. 좀 지루하셨지요? 사실 각자가 실제로 확인하면 될 것을 제가 대신 해서 기록한 것 뿐이랍니다. 사칙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만 할 것이라면 굳이 이 설명이 없더라도 다들 아실 겁니다. 그러나 계산기를 계산기답게 사용하기 위해서 다음에 제시한 보기를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미 아시는 분은 하지 마시구요. 보기) 44032 + (7*588) + (13*28) + 4 를 계산해 봅니다. 지금까지는 아마 7*588을 계산하여 종이에 적어놓고, 13*28도 계산하여 종이에 적어 놓고, 44032 + 4116 + 364 + 4 를 또 계산했지 않았나요? 위의 식의 중간 계산을 종이에 적지 않고 한꺼번에 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적습니다. 따라해 보세요. MC, C, 44032, MS, 7, *, 588, =, M+, 13, *, 28, =, M+, 4, M+, MR 결과가 48516 인가요? 잘 하셨습니다. (해설) MC는 메모리에 있을지도 모를 내용을 지웠습니다. 그리고 C는 표시창(파인더)을 지웠습니다. 계산의 첫 과정은 이렇게 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44032 , MS 는 44032를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명령이구요, 7, *, 588, = 는 7 곱하기 588을 하여 파인더에 나타내라는 명령이구요, M+ 는 파인더에 표시된 수치를 메모리에 저장된 수에 더하라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메모리에는 48148(=44032+4116)이 저장되게 됩니다. 13, *, 28, =, M+ 는 13과 28을 곱하여 파인더에 나타내고 그 값은 메모리에 더합니다. 메모리에는 48512(=48148+364) 4, M+ 는 4를 메모리에 다합니다. 메모리에는 48516(=48512+4)이 됩니다. 마지막 MR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파인더로 불러냅니다. 당연히 48516이 호출되는 것이지요. 이해가 되셨나요? 그럼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문제) 44032 + (18*588) + (0*28) + 17 를 계산해 보세요. 힌트) MC C 44032 MS 18 * 588 = M+ 17 M+ Answer : 54633 ^^ 계산 다 하셨으면 Answer 오른 쪽을 드래그 해 보세요. 답이 있어요. 수고하셨습니다...싸-__^익

권형님 혹 공학용도 되나유..?
ㅎㅎㅎ

잘보고 갑니다


즐겁고 행복한 연말 보내세요

o(^-^)o o(^-^)o
아이큐 80이 따라하기에는 너무 어렵네요.

매번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권형님.

(선생님으로 불러야 마땅한데도 부를 때마다 형님이라고 해야 하는이 불편한 진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