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한 후로 낚시는 가고 싶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가지 못하고 틈틈히 탐사만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마을 저수지에 낚시금지 주민일동
이라는 팻말을 가끔 봅니다..
마을 수입원이라는 팻말도 보이고요...
지자체에서 정한 팻말은 아닌거 같은데
정말 포인트가 좋은 곳에서는 싹 무시하고
대를 담글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개인 소유나 마을 소유의 저수지는 아닐텐데
낚금을 지켜주려니 포인트가 너무 아깝고
대를 드리우자니 실랑이는 불보듯
뻔한거 같고.....님들은 우째 하시나요?
낚시금지.....
-
- Hit : 865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7
마을 수입원이라면 아마도 장어를 키우거나 할것같습니다
아니면 똥꾼들 때문에 한번 망가졌던지요
이사가셨으니 동네분들과 친해지면서 알아가는것도 방법인듯 합니다
합법적인 인허가 양식기간은 길어야 3년!
근데 그 보다 더 길게 동네에서 낚시를 못하게 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허가증 보자며 싸울 것인가 피할 것인가는 각자 판단해야겠죠.
백발 어르신과 실랑이하시면 많이 곤란해지실 겁니다.^^;
손맛만 보고 놓아줄테니 허락해달라고요^^
현명하신방법을 알려주셨네요ㅡ
대신 한사발이 아니라 한말을들고가서
완전뿅가게하면 이장님이 이러실겁니다ㅡ
"해ㅡ괜찮여ㅡ내가 이장이여ㅡ내가하랬는데
언넘이 뭐라고혀ㅡㅡㅡㅡㅡㅡㅡㅡ"
ㅎㅎㅎ
진짜로 맘에 드는곳이 있습니다..
과수원 사이에 있는 150평은 안되어
보이는 작디 작은 소류지인데 좌측 연안은
부들.. 우측 연안은 갈대...중간에는 옥잠화
같은 수초가 분포되어 있고 포인트가 부들쪽으로
두군데가 나오더군요...
아..분위기 정말 좋은데 담글수가 없네요...
이장님하고 다리를 놔주실분을 찾아야겠네요..
주인오면 모르고 그냥 앉아봤다 하시고, 고기는 절대 안가져간다하면서
커피 한잔 권해 드리고 친해져 보세요. ㅎ
양식업 허가나 수질검사도 받지 않은 양식어류를 판매한다면 당연히 문제가 되겠지요.
오염된 어류를 유통하면 그 어류를 누가 먹겠습니까?
이 문제는 낚시를 할수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라 봅니다.
그런 욕심때문에 낚시인들이 피해를 보고 욕을먹을지도 모르지요.
나 하나 쯤이 모든이들을 힘들게 합니다..
아마 님께는 낚시를 허용할지도 모릅니다.
낚금의 주요 요인은 낚시인의 뒤처리 문제가 대부분이지 싶습니다.
붙였을 수도있습니다.
제가 사는 동네는 낚시한다고 아예 물을 다빼는놈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