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낚시할때에 목줄은 합사를 써야 좋은가요?
당줄이라고 있다는데 당줄은 어떤줄입니까?
떡밥낚시도하고 지렁이도 가끔쓰러면 기초채비라던가 특히 목줄과 바늘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떡밥낚시를 많이 안해봤고, 강(수로)낚시도 거의 해본적이 없는데
이번에 떡밥낚시와 더불어 강낚시,수로낚시도 도전해볼까합니다.
(전통바닥낚시 코너에 올렸는데 답변이 없어서 여기 올립니다.)
떡밥낚시 초보의 질문입니다.
-
- Hit : 242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4
도움을 못드려 안타깝습니다.
부드러운게 특징입니다
원줄을 약하게 쓰실때는 데크론을 쓰시는게 찌손실을 막을수 있는 방법이며 떡밥낚시 자체가 대어보단 다어를 노리는 낚시니만큼 쓰셔도 무리는 없습니다
원줄 모노2.5호에 데크론 1호정도의 목줄이면 붕어떡밥낚시로 보편적입니다
원봉돌채비면 합사가 좋고 변형채비-방랑자,해결사등-
에는 모노줄이 좋습니다
이상 허접답변이었습니다
낚시는 왜 일케 복잡한겨 !!
향수님! 걍 잘 하심 됩니다.
도봉산님이 주셨네요!
웬간해선 자게방에선
정답 안갈챠 주는데^^^^^^^^^.
사정상 짬낚위주로 하다보니 한 3년 정도 떡밥낚시로 갈아 탔습니다.
떡밥낚시는 재미있고 하면 할 수록 어려운 낚시더군요.
붕어에게 맞추어 주려 할 수록 어려운 낚시가 되더군요.
당줄은 스위벨채비를 하지 않는 이상 고려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스위벨채비에서 원줄을 보고하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채비는 저의 경우 주로 방랑자 채비를 이용하고 있는데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애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모노라인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채비의 꼬임 손실등이 많아 합사를 애용하고
있습니다. 모노라인과의 조과의 차이는 자알 느끼지 못했습니다.
(뻘층에서 모노라인이 유리하다고 하다 목줄의 길이를 적정 조정하문 됩니다.)
떡밥은
많은 떡밥을 써봤으나 결국 글루텐(딸기),보리,어분 3가지로 압축되더군요.
강계로 가시문 글루텐은 필수 입니다.
지렁이와 떡밥의 조합은 강계나 저수지권에서도 최상의 조합을 보입니다.
단~~ 잔챙이가 지렁이에 덤빌때 적절히 대응해야 되는데..
강계에선 피래미가 지렁이 미끼에 거들떠 보지도 않을때 가 많더군요.
밤낚시엔 특히 지렁이에 씨알 좋은 놈이 덤빌때가 많습니다.
특히 저수온기에는 찰떡궁합이더군요.
지렁이미끼엔 긴 목줄 짧은 목줄에 떡밥을 다시문 됩니다.
강(수로)낚시시에는 처음엔 어렵더군요.
왜냐하면 강(수로)낚시는 붕어들이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회유하므로
포인트마다 특정 입질 시간대가 있습니다.
그리고 한 포인트에서도 낚시대에 따른 특정포인트가 형성됩니다.
그러므로 낚시대를 펴서 입질오는 낚시대를 정확하게 기억해 놓고 다음에도
그 포인트에 던져야 손맛을 보는 경우가 많았었네요.
개인의 의견이오니 참고만 하십시요.
앗~~ 여기는 자게방이네...
향수님! 걍 잘 하심 됩니다 2 ㅎㅎ ^^;
보통 목줄은 케블러합사, > 카본줄, > 모노줄이 많이 쓰입니다 인장강도는 목줄의 길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길어질수록 더 세지겠죠^^
목줄에 길이는 올림 기본 채비시에 (쌍봉) 7~9 또는 10센치 정도 하시걸로 알고 있구요
원줄에 굵기에 비해 목줄은 한 호수 낮은걸 쓰는건 아실테죠 요즘은 0.2호 단위로 잘 나온답니다
바닥이 뻘층일 때는 부드러운 케블러 보다는 카본이나 모노줄이 입질 받기에 유리합니다
바늘은 작은 바늘이라고 해서 큰고기가 낙이지 않는것은 아니에요 정확히 후킹만 된다면요
하지만 현장 상황 등에 이유로 입질이 약하거나 하다면 작은 바늘을 사용하는 것도 좋겠죠
보통 떡밥낚시에는 붕어바늘 5호 ~ 7호를 많이들 사용하십니다
바늘을 구매할 때는 겉 봉투에 보시면 HHHHH 표시가 있을거에요 강도 정도를 나타내는 거구요 H가 많으면 더 강한거에요
젤 강한걸 쓰는것도 좋겠지만 모든 상황에 좋은건 아닙니다 부러질수 있는 상황도 있어요
바늘에 모양은 뭐라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낚시방 가셔서 찬찬히 보시길..ㅎㅎ 의외로 종류가 많습니다
음.. 그리고 수로 낚시는...
유속이 있는경우 한 대 또는 두 대 정도 펴시고 하시는게 좋습니다
유속에 원줄이 너무 흘러가서 낚시가 불편하다면 흐르는 방향쪽으로 대를 드리우는 것이 좋습니다
채비는 유속이 세거나 수심이 낮을경우 끝보기라고 찌없이 초릿대가 휘어져 물속으로 꺾여 들어가는 것을 보고 챔질하는 식이 있구요
중통 채비라고 해서 원줄이 봉돌 속을 통과 할수 있게 구멍이 있는것을 사용하구요(중층 용품중에도 좋은게 있습니다)
이경우 찌 맞춤이란게 의미가 없어요 봉돌이 찌 부력 보다 더 무거워 투척하면 그냥 바닥에 닿아버리는... 찌는 수면에 여러목 나오도록 맞추시면 보기에 편합니다
찌는 옥내림용 저부력 찌가 유리하겠네요
봉돌과 미끼가 바닥에 닿아 있다가 입질을 하면 봉돌은 그대로 바닥에 닿아 있는 채로 또는 조금씩 끌려가며 ... 붕어가 먹이를 가져가는데로 목줄 따라 원줄이 봉돌을 통과해서 딸려 가면 찌는 물속으로 들어가겟죠 또는 옆으로 끌려가거나 그때 챔질
중통 채비에 변형은 여러가지가 있어요 월척에서 자료 찾아보시면 도움 되실거에요
수로라고 해서 꼭 채비에 변형을 주어야만 입질 받는것은 아니에요 기본 채비로도 얼마든지 낚시 가능해요
유속을 덜 타는 곳에서 낚시를 하시면 입질 받기 좀 더 유리 할 수도 있구요
잘 아시겟지만 요즘 근래들어서 다양한 채비와 용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채비로 도전을 하시던 그 채비에 믿음이 없으면 낚시하는 내내 불편한 낚시가 되실거에요 ^^
부족하지만 간단한 기본채비 설명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어!! 근데 회원 점수가 8천점이 넘네요 진짜 초보 맞아요? 허허 ~
몇번을 다시 읽어보고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아셨죠??..
7080세대들 정도되야 떡밥맛을알지요 ㅎ
2봉+2대+2종류 이상의 떡밥배합
반경20cm이내투척
20분에2회이상투척
2상한 줄쓰지말고 케브라2호사용
20마리이상못잡으면
2틀안에 낚시은퇴
※ 2상끝
유미아빠님 잘 ~ 하고 열심히도 해야죠 ^^
당줄은 당근으로 만든줄입니다
ㅎㅎ 이자 놀십당..
터미박님 땜시 저 은퇴해야 되겠시유~~ 전 그래 못잡아유~~
소박사님 정답!!!! ㅎㅎㅎ
로데오님 켁~~
자게방은 역시 놀아야 제 맛이지유~~!! ^^;
어딜가야 하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