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 의식(懲 징계할 징. 毖 삼가할 비)
‘역사의 연구’를 집필해서 순식간에 세계의 지식인으로 평가받은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를 연구해 보면 민족의 유형이 크게 세 가지 있다고 주장했다.
첫 번째는 재난(災難)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
두 번째는 재난을 당해야만 준비(準備)하는 민족,
세 번째는 재난을 당하지 않고도 미리 대비(對備)하는 민족들이라 했다.
대한민국은 어디에 해당 될 것인가. 스스로 자문(諮問)해 보기 바란다.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 선조 때 영의정과 전쟁 수행의 총 책임자를 지낸 유성룡柳成龍(1542~ 1607)이 집필한 임진왜란 전란사(戰亂史)로서,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7년에 걸친 전란의 원인, 전황 등을 기록한 책이다.
징비록(懲毖錄)은 저자인 유성룡이 자리에서 물러나 낙향(落鄕)해서 집필한 것으로,
제목인 '징비'는 ‘시경(詩經)’ 소비편(小毖篇)의 "여기징이비후환(予其懲而毖後患)",
즉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징비록’에서 유성룡은 수많은 人命을 앗아가고 비옥한 강토(疆土)를 피폐하게 만든 참혹했던 전화(戰禍)를 회고하면서,
다시는 같은 전란을 겪지 않도록 지난 날 있었던 조정의 여러 실책들을 반성하고
앞날을 대비하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온 山川이 피로 물들고, 계곡마다 하얀 시체가 산더미처럼 쌓였고,
시체 썩은 물과 핏물이 계곡을 흐르고,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그 참혹한 전란이
다시는 조선에서 반복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라고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썼다.
이렇게 목적의식을 가지고 전쟁의 최고 책임자가 집필하여 썼지만
정말 아이러니 하게도 이 책은 조선에서 편찬되지 못하고 1695년(숙종 21) 침략국 日本에서 편찬되었다는 것 또한 슬픈 일 중의 하나다.
17세기에 대마도(對馬島)에서 먼저 읽히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어느 역사학자가 조선의 역사가 5,000년이라고 하나 그동안 조선이 외침(外侵)을 받은 횟수는 무려 931번이라고 한다.
평균으로 5.3년마다 한 번씩 외침을 받았다는 결론이다. 조선은 왜 이렇게 외침을 많이 받았을까?
참으로 불행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토인비가 말한 첫 번째 민족유형이기 때문이다.
재난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이다.
참혹한 임진왜란이 끝나고 38년 후 조선은 또 다른 치욕의 참혹한 전란에 휩싸이게 되었고 강산이 초토화되었던,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이다.
징비록에서 그렇게 미리 준비하고, 준비해서 또 그런 비극이 없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 데도
준비하고 대비하지 못한 지도자와 리더들의 無能과 無氣力을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로부터 한참 뒤에는 아예 나라가 통째로 없어졌다.
그래서 우리는 참혹한 비극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리더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왜 이렇게 당해야만 하는가를 분석하고 연구하고
다시는 이런 역사를 반복해서 당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되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바로 징비(懲毖)다.
日帝 강점기(強占期) 비극을 보더라도 왜 강점을 당했는가?
강점한 자들도 문제가 있지만 강점 당한 자들은 문제가 없었는가?
오죽이나 못났으면 맨날 당하고 울고만 있었는가?
외교 분야에서 40년을 지낸 퇴역 외교관은 국제관계는 80%가 힘(power)이고, 20% 정도가 법(law)이라 했다.
그걸 모르는가?
나라를 고스란히 상납(上納)한 자가 君主였고,
강탈 당한 것이 아니라 항복(降伏)한 것 아닌가?
왜 항복해야 했는가? 힘이 없어서다.
왜 힘이 없는가? 준비하지 않았으니 그렇다.
75년이 지난 지금도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어설픈 감성적 말로 국민들을 선전, 선동하고 표를 위해 편가르기를 하고 있다.
그런 어리석은 짓거리를 할 것이 아니라 역사에 대해 뼈저린 반성을 하고,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다시는 반복해 당하지 않기 위해 징비(懲毖)를 해야 될 역할이 리더의 역할이다.
그걸 企業이 해냈다.
삼성전자가 일본의 소니를 넘어서는 전략을 준비하고 펼쳐서 일본 전자업계를 제친 것이다.
역사를 보면 이 나라 리더들은 세상과 주변 나라들의 변화를 읽지도 못하고 미리 준비도 못한 무책임한 지도자의 모습들이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러한 무능의 역사와 무능한 자들이 지금도 지배자가 되니
더욱 가혹한 안타까움과 자괴감(自愧感)을 떨쳐버릴 수 없다.
무능과 무책임, 그러고도 사익(私益)만을 추구하는 리더들의 DNA 성향이 그리 쉽게 달라지겠는가.
기원 전 로마시대의 철학자 ‘세네카’는 “평화를 얻으려고 하면 전쟁을 준비하라”고 역설했다.
평화는 결코 구걸(求乞)해서 얻는 것이 아니다.
어설픈 상념(想念)이나 말장난으로는 나라와 국민들을 지킬 수 없다.
또 나라 경영의 책임을 진 리더가 ‘애완 비즈니스(Pet Business)’처럼
자기가 좋아하는 짐승을 키우듯이 좋아하는 것만을 하면 결코 리더가 아니다.
그건 어린 아이들이나 하는 짓이다.
지금은 AI가 세상을 지배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다.
정말 예측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오늘 징비하고 준비하는 것에 의해 바로 미래가 결정된다.
미래를 구하는 것은 미래가 아니고 현재다.
대한민국에는 미래를 말하는 자가 없다.
그런데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고르게 퍼져있지 않을 뿐이다.
지금부터라도 미래를 징비하는 지혜로운 리더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옮긴 글 )
개인, 가정, 모임, 단체, 회사, 지자체, 정부, 국가
모두 미래를 대비하는 징비심을 가져야 합니다.
민족의 이익 보다는 자신의 영달과 이익을 위해 살아가는 일군의 무리들이 상층에 또아리를 틀고 있지요.
현재는 과거의 축적된 결과이고 미래는 현재의 축적된 결과이거늘 현재의 우리나라 지도자는 어떠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네요.
우리가 대단한 민족인 것은
제가 5.20.일 옮긴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분명 자부심을 가져도 될만한 부분이 많습니다.
다만, 오늘 옮긴 글의 객체인 리더(지도자)의 징비에 대한 것입니다.
미중 갈등, 러우 전쟁 등 위태로운 국제정세, 핵을 손에 쥔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 장기 경제침체에 따른 힘겨운 민생.....
기업과 국민의 역량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구심점이 되어야 할 정부와 지도자가 무능하면
모래알에 불과합니다.
받은 글을 옮겼지만 '징비'는 민중보다는 리더가 새겨야 할 부분이라 옮긴 것입니다.
진심으로 사회지도층들이 리더다운 리더가 되기를 바랍니다.
22대 국회 개원하고도 민생은 뒷전이고
밥그릇 싸움만 하는 국개의원들도 좀 봤으면 합니다
좋은글 많이 올려주세요
우리 민주주의가 일본보다 낫다고 누가 그러는지, 우리만 그렇게 생각하는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우물안 개구리 시각과 사고.
국제적인 사고와 시각, 객관적인 판단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절입니다.
징비의식이라하니 이 나라가 더 위태위태해 보이는게 간첩잡는 국정원이 올해부터는 간첩수사를 할 수 없읍니다, 대공수사권이 국회입법에 의해 사라졌읍니다, 경찰로 이관됨, 간첩잡는 부처가 대공수사권이 없으니 간첩들 신났죠,
또 큰 도둑잡는 검찰이 수사권을 대부분 경찰로 넘겼읍니다, 이 또한 국회입법에 따라.
예비 큰도둑인 정치인, 고위관료, 기타등등이 신났읍니다.
위 두가지만 보더라도 징비의식을 가져야 할 시대라 생각이 되서 개인적으로...
일본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에 찍 소리 못하고 자위대는 언제든 남한에 들어올수 있고.. 일본기업 강제 노동에 대한 보상은 어떤지요?
한 나라의 리더의 덕목이 뭔지는 아시는지 ...
학생들중 예습을 한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의 이해력은 차이가 나죠
그나저나 조선의 역사5000년 오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