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바다, 저수지 조황의 첫째 조건은 ?

읽으시기 전에 조력이 채 몇년 되지도 않은 초보꾼의 견해임을 생각하시고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붕어건 감성돔,벵에, 참돔, 놀래미 할것 없이 조황의 조건은 첫째 : 미끼를 단 바늘이 물속에 있는 시간이 길어야 한다. 부력, 자로 잰듯한 찌높이, 낚시대의 간격, 낚싯대와 찌를 일치 시킨다고 시간을 허비하고 물때를 놓친 경험이 없습니까 ? 둘째 : 꼭 필요도 없는 장비에 대한 고집을 버려야 한다. 받침대를 꽂아도 될 장소에서 굳이 받침틀을 고집하여 대의 방향을 제한 받으신 적은 없습니까 ? 셋째 : "뽀대"를 버려야 한다. 포인트에 따라서 대 편성의 모양이 달라져야 합니다. "부채살"처럼 모양이나 간격을 고집하여 포인트를 놓치는 실수를 범하지 않습니까? 한가지 미끼에만 집착하지는 않습니까? 붕어도 밥이 싫고 라면이 먹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네째 : 고정 관념을 버려야 한다. - 열거할 내용이 너무 많고 상기 내용과 중복 되는 내용이 많아서 생략합니다-. 다섯째 : 남의 조황이나 채비에 "팔랑귀"가 되어선 안된다. 캐스팅 후에는 자신의 채비가 "왕채비"라는 믿음을 가지고 바늘을 물밖으로 건져내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물 속에서건, 물 밖에서 건 아무리 똑똑한 붕어도 인간 보다는 못하다." 점수(포인트)를 위한 글이니 가볍게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물안개와해장"님

안녕하시죠?

무더위 건강에 유의하세요*^__^*

조과엔 관심이 없으므로(사실 아는게 없어서)

인사만하고 갑니다...
물안개와해장님 반갑습니다

첫째 : 미끼를 단 바늘이 물속에 있는 시간이 길어야 한다.

(낚시장르에 따라다르니...예 내림이나 콩알떡밥낚시 벵어피었을때부력,)

부력 자로 잰듯한 찌높이, 낚시대의 간격, 낚싯대와 찌를 일치 시킨다고 시간을 허비하고 물때를 놓친 경험이 없습니까 ?

(성격상 미리 준비해 둡니다)

둘째 : 꼭 필요도 없는 장비에 대한 고집을 버려야 한다.

(맞는말씀입니다 하지만 있어면 편한것은 사실입니다)

받침대를 꽂아도 될 장소에서 굳이 받침틀을 고집하여 대의 방향을 제한 받으신 적은 없습니까 ?

(제한받은적 없습니다)

셋째 : "뽀대"를 버려야 한다.

포인트에 따라서 대 편성의 모양이 달라져야 합니다.

"부채살"처럼 모양이나 간격을 고집하여 포인트를 놓치는 실수를 범하지 않습니까?

(저는 아직도 버럿이 부채살 모양입니다 다음날 대편성 다시하여 대박 터진적도 있습니다)

한가지 미끼에만 집착하지는 않습니까? (잡식성으로...)

붕어도 밥이 싫고 라면이 먹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잡식성입니다 ㅎ)

네째 : 고정 관념을 버려야 한다.
- 열거할 내용이 너무 많고 상기 내용과 중복 되는 내용이 많아서 생략합니다-.



(상황대처)

다섯째 : 남의 조황이나 채비에 "팔랑귀"가 되어선 안된다.
캐스팅 후에는 자신의 채비가 "왕채비"라는 믿음을 가지고 바늘을 물밖으로 건져내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장르에따라...)


물 속에서건, 물 밖에서 건 아무리 똑똑한 붕어도 인간 보다는 못하다 (맞는말씀입니다)

좀조용하여 월척지에 대깔었다가 접었다가 합니다^^
다 좋은데요........^^*

"물 속에서건, 물 밖에서 건 아무리 똑똑한 붕어도 인간 보다는 못하다."

이건 저한테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물밖에서는 몰라도 물속에서는 붕어가 저보다 더 똑똑한것 같습니다

우야꼬............^^*
좋은 글입니다.

바다.민물에서 조황의 첫째 조건은?

"물때"입니다.

물때란 음력에서 기준하는 밀물과 썰물의 바뀌어 가는 시간대를 물때라고 합니다만,
낚시꾼의 입장에서 물때란 입질을 하는 시간대로 통용되기도 합니다.

특히 바다 낚시에 있어서는 조류의 흐름(물때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데,
민물에도 대류에 의한 물의 바뀜(표층과 속물의...)을 물때라고 본다면 분명히 입질하는 시간대가 있습니다.
저수지의 지역, 위치(계곡.평지)크기에 따라서 그 시간대가 다르고,
계절적으로도 다른데 이를 우리는 자연현상으로 생각합니다.

바다 민물 할것없이 낚시꾼들은 이 물때를 잘 파악하고 집중해야
상대적으로 조과가 보장되는데,
자주가는 저수지,오랜 낚시경험.....을 통하여
쉬는 시간과 집중하는 시간을 유효 적절히 활용해야 편하고 줄기는 낚시를 할 수 있습니다.

A는 초저녁부터 설치더니 밥먹는 시간에도 낚시에 정신이 팔려있고
B는 준비가 끝나고 밥짖고 A먹이려고 애쓰고 천천히 낚시에 임하는데

A는 입질 시간대(물때)가 되는 22시에 배고파 밥먹고 딴전 부리는 사이에
B는 몇번의 입질에 만족한 조과를 올립니다.

그 후 B는 00시부터 새벽까지 휴식하고 04시 부터 집중하여 덩어리도 올리는데,
A는 지쳐서 잠에 빠져 있습니다.

입질없는 시간대에 눈이 빠져라 열심히 하고 입질시간대에 잠자는 A와
쉬어가며 입질시간대에 집중하는 B의 낚시 방법중
어떤쪽을 택하시겠습니까?
그리나 중요한 것은 물때(입질 시간대)를 잘 알기 어렵다는 겁니다.
계절,음력날짜,날씨,저수량,포인트 위치.....수많은 변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입질을 기대하며
더위에 모기에 한여름 밤을 하얗게 지새웁니다.
고수님에 오랜 경험에서 묻어나는 주의 상황을 잘 읽고갑니다.

많이 덥습니다 보양식 잡수어 가면서 출조하이소~^)^*
혹 오해 하실까봐서
받침틀이 필요 없다는게 아니라 받침대로 해도 될 장소에서.......
요즘 받침틀 없는 분은 거의 안 계시는 걸로 압니다.
다시 읽어볼 수록 느낌이 강하게 옵니다.

이것만 제대로 실천하고 응용해도 곧 고수반열에 오를것 같습니다.ㅎㅎ
반가버요 물안개와해장님!

해장술 드시다가 입질 놓치신적은 없습니까? ㅎㅎ

전 그런적 있습니다. ㅋㅋ

좋은 지적 잘 세기고 갑니다.
이야 저같은 초보조사님들이 숙지해야할 내용이네욤 ^^
이늠에 낚시 넘 어렵습니다 ㅎㅎ
내하고는 전혀 무관한 말씀이네요.^^*
덥은데 건강 유념 하이소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