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밤낚시에 불빛이 상관이 있다 없다?

말이 너무 많은 부분인데 누군가는 상관없다

누군가는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하는데 저는

관계가 있다고 생각 해서 전자캐미도 최대한

노란색 흰색만 쓰고 대부분 일회용 캐미를

사용 하고있는데 요즘 노지로 나가보면

과도하게 밝은 전자캐미의 불빛이 많이

보이던데 그것도 상관이 있는거 아닐까요?

 


있다에...신중하게 한표....입니다..
있긴 분명히 있죠.
근데 또 없을 때도 있으니까요.
기존의 서식환경을 유지하는게
붕어들의 움직임에 지장이 덜한다고봅니다
렌턴 라디오 부스럭거림 최댄한
나름 자제합니다
과거 캐미라이트 나오기 전 밤낚시할 때는 칸델라 불빛을 야광찌에다 비추고 해도 입질 받고 붕어 잡았습니다. 지속적이고 규칙적 불빛에는 붕어가 익숙해져 큰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다만 달도 별도 없는 칠흙같이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자동차 전조등 같은 밝은
불빛을 비춘다면 영향이 있겠죠.
붕어들이 초록빛을 좋와한다는 내용을 tv에서 봤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밝은빛(후레쉬나 차량불빛은 경험상 쥐약입니다)

갓낚시를 하다보면 매너없는분들 밤에 출조할때에 맞게 입질 할때 불빛에 입질멈추는경우를 여러번 당해봤습니다

굳이 갓낚시가 아니어도 갑자기 켜지는 불빛에 입질안하는경우도 있습니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해야죠.

낚시는

대상어를 잡는 목적도 있지만,

자기만족에 목적을 두기도 합니다.
오래 전 써오던 칸데라 그리고 화학케미들에도 붕어 잡는데 문제 없었습니다
불빛에 문제가 있다면 밤 낚시 안되는게 맞다고 생각하구요 밤에 뚝방이나 수로 길 위에서 후레쉬 비취면
붕어들 그대로 유유히 다닙니다 그러다가 물가로 내려가는 순간 도망가지요
낚시하는데 진동이 제일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격한 몸짓 등등...
예민한 큰붕어들은

관계 있다고 생각되네요

캡라이트에도 반응하고

스마트케미알파 같은 밝게 변하는 전자케미 종류에도

조과 차이 있더라고요 특히 미터 이하 수심은 더요
캐미 정도의 불빛은 조과에 영향이 없다에 한표
저도 별 영향이 없는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제가 주로 친구와 둘이서 다니는데
전 밤에 거의 불을 켜지 않습니다.
미끼 끼울때도, 투척을 할 때도, 낚아 올릴 때도 켜지 않습니다.
지렁이 끼울때만 뒤꽂이에 장착한 미끼등 안쪽으로 켜서 사용하고
나머진 거의 안켜죠

제 친구는 위에 열거한 경우들 다 켜죠
뭐 움직이면 켜는거 같았습니다.
캐미 또한 스마트 캐미를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지요
하지만 포인트 차이에 의한 조과 차이는 있어도 불빛에 의한 조과 차이는 없는거 같았습니다.
크게는 없는것 같습니다
저도 안켜는 수준인데 제 지인은
수초안보인다고 불켜고 투척합니다
그래도 고기는 잡네요ᆢ
있다 에한표유~~옆조사님,케미가 눈이아포유...ㅡㅡ,'
자주가는 강(천)이 있습니다.
거기 옆에 가로등이 쭉 있는데
11시30분이 되어야 소등이 됩니다.
낚시를 해보면 항상 소등이되고
약30분~1시간 이후에 입질이 옵니다.
단 한번도 그전에 입질 받으적이 없네요
그래서 저는 상관있다에 한표
저는 없다에 한표 붕어들은 소리때문에 나는 미세한 진동을 싫어합니다~
캐미불빛 정도는 상관이 없다에 한표.

랜턴을 물에 비추면 고기들이 엄청 놀랍니다.
헤드라이트나 랜텐은 상관있다에 한표.

쿵쿵 거리는 진동에 엄청 민감합니다.
진동이 가장큰영향을받고 불빛은 그다음이라 생각합니다
낮은 수심은 좀 상관있다 봅니다 깊은 수심은 좀 들 하지안을까요? 제 생각임 근대 보름달 떠도 고기는 잡은 경험이 있내요 그것도한방터서 ㅎ 답은 읍내요
가장쉬운방법...
렌턴을 물가에 비춰보세요 왠만한 수서어종들은 다 도망가거나 불빛에 반응합니다..
없어요 부들밭에 하도안들가서 써치켜고보고잇는데 스물스물 찌올라와서 채보니까 44엿습니다 그런경험을 하다보니 상관없는거같네요 근데 불켜는걸 별로 조아하진않어서 캡라이트 거의 안켜고 낚시하긴합니다
단적으로 "있다 vs 없다" 라고 물으신다면..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영향이 크다 vs 작다(미미하다) 라고 물으신다면 "작다(미미하다)" 라고 생각합니다.
가로등불빛이 있는곳에서는 불빛상관없이 나옵니다.
서찬수 갓낚시 할때 본기억이 나네요.
최근에 낚시하는대 건너편 분이 수심60 정도 에서 밤새 후레쉬 키우고 낚시하셔도 조과에 전혀 상관 없었습니다
불빛 때문에 힘들었지만 크게 불편 하지는 않 았습니다 ^^
집어효과가 더러 있더군요. 불빛이 ㅋㅋ 물론 관리지 같은 적응이 된 붕어들에게는 있습니다.
예전에 본 영상이 있었는데요
줄보기케미를 봉돌 바로 위에다 끼우고 물속에 담갔는데 불빛을 보고 붕어가 몰려드는 모습을 보고나서 별로 상관 없다는 걸 알았습니다
제 경험상 그 저수지에서 사는 고기들이 불빛에 익숙해져 있는냐 아니냐가 관건인것 같습니다. ...
보통적으로 상관 읍습니다요 ~ 서로 눈뽕및 후레쉬 비춘다고 뭐라하지마세요
상관읍어요 ㅋ
걍 편하게하세요ㅎ
저는 파라솔 각도기에 미등하나달아놓고 하고싶더만...
낚시써치(블루) 켜고 낚시합니다.... 잘나옵니다~~~토종, 떡, 메기, 잉어..ㅋㅋ
별 상관없다에 한표

그렇치만 어두운데서 자꾸 불빛 비치고 하면 신경이 쓰이죠 ?

주위에 피해를 안주는 범위내에서는 불빛 괜찮은것 같습니다.
붕어는 눈이 안좋은걸루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칠흑같은 어두운밤 그리구 비온뒤 흙탕물 등등 입질하는걸루 보아 불빛은 영향을 안줄거 같습니다
예전에는 간들레 라고 카바이트 약넣고 물부어서 찌에다 직접 불빛춰가면서 낚시 했습니다 조과도 좋았었습니다 지금은 불빛이 영향을 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전자케미 의 불빛은 상관없다 보구요 렌턴이나 써치는 영향 있다고 봅니다 밝으면 기분이 이쁜붕어 안물거 가튼기분이 드네요 헌데 유료터는 밝아도 입질 잘받드라고요 정답은 붕어많이 알거 같아요 지들 맘이니까요...ㅎㅎ
후배 한놈만 눈부시는 밝은ㅇ캐미 사용...
다 못잡을때도 갸만 잡음...수심40...
됐쥬? ㅎㅎ
장소에 따라서 답이 있습니다
가로등이 항상 있는 곳에서는 영향이 없으나 산속 소류지등 밤에 불빛이 없는 곳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낮은 수심에는 전자캐미도 영향을 받습니다 우습게 소리로 담배불도 본다고 합니다 그래서 담배불도 가리고 담배핀다고 하네요
가로등 불빛이 들어왔다가 나가는 곳은 소등후에야 입질온다고 알고 있습니다
고기는 익숙하지 않는 것은 조심하게 됩니다 고기목숨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캐미 불빛이 문제가 아니라,모자에 라이트키고,투척하는사람이 젤 미워요?
꼭 불을 키고 투척을 해야하나요?
이거 예전에 실험한거 봤는데 별영향 없더라구요.
노지에서 수중카메라 넣고 떡밥 뿌리고 나서 고기 모였을때 카메라에서 라이트 키니까, 고기는 아무런 반응 없이 그냥 유유히 떡밥 먹더라구요.
불빛 보다는 물의 진동은 즉시 반응하고요. 예로 발로 쿵하고 구르거나 물건 탁치는 소리는 물속에 파장이 전달 되는지 바로 도망가더라구요.
밤에 갑자기 불켜면...

사람도 싫어 합니다..
케미 불빛은 상관없다에 한표

렌턴 불빛은 상관있다에 한표
불빛은 전혀 상관없다에
묻고 따블로~
소음은 완전있다에 손모가지~
잠깐씩 켜지는 불빛은 사람도 놀라는데 붕어도 잠깐 놀랄꺼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로등, 캐미처럼 밤되며 계속 켜있는건 상관없다 생각합니다
저도빛보단 소리와진동에 한표던져봅니다
꼭 붕어는 아니지만 티브이에 나오는 정글의 법칙 이라는 프로그램에서 김병만씨가 (바다&민물) 물속에서 밤사냥 할때 써치 비추고
그래도 물고기는 도망을 안가드라고요.. 붕어나잉어도 같은 어류니깐 불빛에는 민감하지 않은듯 보입니다.
하지만 겸험상 소리에는 민감합니다..
지리적 환경무시하고 "있다" 한표임니다
가로등밑도 붕어나오는거보면
붕어마음이겠지유
저수지 주위에 언제나
가로등이 켜진곳은 괜찮다
하지만 가로등이 없는곳은
분명있다 생각 합니다
오래전에는 라이터 불빛에도
붕어놀라 도망간다 해서
담배불 붙칠때에는
불빛이 안세어 나가게
빈틈없이 손으로 가리고
라이터 키고 그랬네요
지금은 담배를 끊어 모르것네요 ㅎㅎ
붉은 탑 2점등 전자찌 쓰는데 조과랑은 상관없는걸로 봅니다.
지능 없는 붕어가 굳이 위에 있는 케미 불빛까지 경계 한다면 낚시에 잡힐 붕어는 거의 없다고 봐야 될듯 싶네요
옛날 간드라처럼 고정된 불빛은 덜하지만
간헐적으로 불규칙한 랜턴불빛은 크게 영향을 줍니다
허리급이상은 본능적인 감각도 대단하지만 산전수전 다 겪은 구신입니다
구신을 잡을려면 구신할애비가 되야지여
저수지엔 내가 없는듯 해야~~~~~~~~~~~~~~~~~~~~~~
화학케미 밑둥에 검정매직 칠해서 최대한 수면에 안 비치도록 사용합니다
특히 수심이 낮은 수초대에선 케미불빛이 나이트클럽 수준이면 재수로 덜컥수 아닌담에야 구신인 대물상면은 힘들겠지요
자리이탈하거나 잠잘때~~~~~~~~~~~~~~~~~~~~~~경험있을테지요?
많은 분들이 의견이 갈리는데 내가 알기론 불빛 자체로는 영향이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밤에 하천을 가로지르는 다리위에서 조용히 움직이지 말고 서치나 랜턴 비춰보세요
대부분 자기하던 그대로 계속 움직일뿐 놀래서 급히 이동하는것은 보기힘듭니다
그러다가 움직이면 그때 대부분 놀래서 도망가는것을 흔히 보는데 이것은 그만큼 진동에 더 민감하다는 겁니다
불빛자체는 붕어한테는 그렇게 위협적이지 않은 것을 알수가 있지만 붕어가 노는곳으로 불빛을 비춘후 손가락등을 이용해서 그림자지게 해보세요
그러면 깜짝 놀라서 달아나는것을 또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하늘에서 새들이 내려오면서 사냥할때 그림자가 지는데 그러한 현상으로 비춰질때 반응하는것입니다
즉 불빛은 영향이 없지만 빛을 비춘후 손가락으로 그림자지게 하면 영향을 받는 겁니다
불빛에 따른 그림자생기는 것이 영향을 준다라고 보시면 가장 정확한 표현이지요
그러니 캡라이트나 랜턴등을 사용하실때 고기가 있다라고 생각되는곳에 빛을 비추는것은 상관없지만 사람이 지나가거나 손가락이 스치면서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에는 영향을 받는다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가로등이 있는곳이 일정시간되면 꺼지는 장소에서는 지금 말한바와같이 계속 사람이 왓다갓다 하면서 진동이나 그림자가 생기니 고기들이 당연히 경계심으로 말미암아 입질받기 힘든겁니다
불빛자체로 고기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으로 봅니다
보름달같은 때 물안쪽 고기있는 곳으로 사람의 그림자가 지는 때는 입질이 상당히 뜸해지는것으로 유추해볼수도 있을듯 합니다
보트낚시때도 더욱 더 주의해야 할 사항중의 하나입니다
그림자로 자꾸 고기를 쫒는 우를 범하지 마시길...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