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여인의 서원(誓 맹세할 서, 願 원할 원)
친정에 가면 어머니는 꼭 밥을 먹여 보내려 하셨다.
어머니는 내가 친정에 가면 부엌에도 못 들어오게 하셨고
오남매의 맏이라 그러셨는지 남동생이나 당신 보다
항상 내 밥을 먼저 퍼주셨다.
어느 날 오랜만에 친정에 밥을 먹으려는데
여느 때처럼 제일 먼저 푼 밥을 내 앞에 놓자
어머니가 "얘 그거 내 밥이다" 하시는 것이었다.
민망한 마음에 "엄마 웬일이유? 늘 내 밥을 먼저 퍼주시더니..."하며 얼굴을 붉혔다.
"그게 아니고, 누가 그러더라 밥 푸는 순서대로 죽는다고
아무래도 내가먼저 죽어야 안 되겠나."
그 뒤로 어머니는 늘 당신 밥부터 푸셨다.
그리고 그 이듬해 어머니는 돌아가셨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그 얘기를 생각하며 많은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남편과 나 중에 누구의 밥을 먼저 풀 것인가를 많이 생각 했다.
그러다 남편 밥을 먼저 푸기로 했다.
홀아비 삼년에 이가 서 말이고, 과부 삼년에는 깨가 서 말이라는
옛말도 있듯이 뒷바라지 해주는 아내 없는 남편은 한없이 처량할 것 같아서이다.
더구나 달랑 딸 하나 있는데
딸아이가 친정아버지를 모시려면 무척 힘들 것이다.
만에 하나 남편이 아프면 어찌하겠는가?
더더욱 내가 옆에 있어야 할 것 같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고통스럽더라도 내가 더 오래 살아서
남편을 끝가지 보살펴주고 뒤따라가는 게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때부터 줄곧 남편 밥을 먼저 푸고있다.
남편은 물론 모른다.
혹, 알게 되면 남편은 내 밥부터 푸라고 할까?
남편도 내 생각과 같을까?
원하건대 우리 두 사람, 늙도록 의좋게 살다가 남편을 먼저 보내고
나중에 내가 죽었으면 좋겠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 진솔한 부부사랑 이야기 이기도 하지만
어머니의 자식사랑, 자식의 부모사랑이 겹겹이 표현되고 있는 글입니다.
요즈음 사랑은 표현해야 하는 시대로 알고있습니다만
이 글처럼 푹 익힌 "누룽지"같은 사랑의 포근하고 넘치는 맛을 너무 잊어버리고
표면적 표현으로만 변해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아침입니다.
(옮긴 글)
깊은글 감사 합니다,
나는 어떻게 마음을 낼까
많은 사람들은 죽음을 목전에 두고도
탐진치를 버리지 못한다
나 또한 무명인가
어느 큰스님의 법문이 생각이 난다
해는 지고 저문날에
몸단장하고 어딜가오
가는 곳은 꽃밭이요
나의 집은 연못이라
꽃과 나비는 봄 한철인데
물과 고기는 사시사철 이라
나는 한 눈팔지 않으렴니다
마눌님 혀고 오손도손 살다가 가리~~~~~~~
고민이 되네요.
아! 새장가 갈라는건 아니고요~~
오늘도 삶의 반추를 하게끔 해주신
담여수 선배님. 감사드립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이 세상에 온 순서대로
순서대로 간다면
그나마 행복한거 아닌가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