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배스 잡아먹는 가물치...

안녕하세요. 어제 MBC에서 배스관련 프로그램이 있었던 모양이네요. 미국은 가물치가 생태계파괴 외래종으로 지정 되어있죠. 일본도 가물치가 많아요. 근데 가물치가 배스까지 먹어 치우는데 왜 배스보다 개체수가 적은건가요? 몸 보신용으로 사람들이 많이 잡아 먹어서 그런건지... 산란수가 적어서 그런건지.... 아래 링크는 가물치가 3짜 배스 잡아먹는 동영상입니다. http://youtu.be/WPGmvemG6fk

배스가 불쌍해보이긴 처음입니다..
가물치는 붕어도 묵고 다른것도묵고 그래서 배스가 많이 살아 남을듯싶은데요?

잔칫상에 음식이 많은데 울 사람들은 다 못먹잔아요...

가물치에게는 물속의 도드종류가 잔칫상의 음식일듯 싶네여.ㅎㅎㅎㅎ
가물치의 산란양이 배스보다 적은것이 제일 큰 문제점이며

가물치는 저수온기에 움직임이 적고 적정 수온시에도

주 수심층이 수초밭 저 수심층에만 많이 머므르기에

전층을 누비는 배스를 타켓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배스는 가물치의 적은 산란양에 치어를 다량으로 섭치해 버리기에

가물치에 비해 배스가 많이 번식되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가물치 치어뿐 아니고 토종 개구리 올챙이, 참붕어, 각종 어종의 치어들을 무자비 하게 공격합니다.

수심10센티도 안되는 저수심층 토종 개구리 올챙이 수 천마리를 배스가 등 지느러미가 나오는 상태에서

공격, 섭취하는것을 얼마전 보면서 안타까운 맘 간절했었습니다.

또한 배스의 활동 범위가 가물치의 활동 범위보다 커서

국내 먹이사슬 상위에 있는 가물치외 토종 어종들이 있다 해도

뱀장어,메기,빠가사리= 야행성어류이기에 상대적으로 배스가 유리하여

번식이 유리하기도 하고요.
가물치도 배스치어를 먹을텐데 인간의 의한 남획보단 결국 산란수의 차이군요.
비슷한 등치끼린 어떻게 될까 궁금하네요. 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