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벅차게 기쁨니다...^^

우리 전통민요 아리랑이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등록이 확정적이라는 기사를 보았답니다... 얼마나 기쁘고 감격스럽던지... 업무 보는 중 잠시 소식을 올려드리고자 접속합니다... "우리것이 좋은것이여" 라는 말이 참 멋진말이네요...^^ 1379CA354C83C93A0FBC08 기원 〈아리랑〉의 기원설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체로 여음인 '아리랑'의 어원에서 그 바탕을 찾고 있다. 아리랑'이라는 말을 실사(實詞)로 보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① 아리랑(我離娘):'나는 사랑하는 님을 떠난다'는 뜻을 갖고 있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 ② 아이농설(我耳聾說):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때 고생하던 민중들이 반가운 말은 못듣고 괴로운 말만 듣게 되니 "차라리 귀가 먹었으면 좋겠다"라고 한 말에서 나왔다는 설, ③ 아랑전설(阿娘傳說):밀양 영남루의 아랑낭자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한 노래에서 나왔다는 설, ④ 알영설(閼英說):신라의 박혁거세의 아내 알영부인을 찬미한 말에서 변했다는 설 등이 있다. 이밖에도 여러 발생설이 있으나 어느 것도 확실한 근거가 없으니 그저 구음(口音)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 유래했다고 봄이 바람직하다. 아리랑의 파급 한국의 3대 전통민요 아리랑은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을 말한다. 〈정선아리랑〉은 태백산맥 동서를 따라 설정된 메나리토리권의 민요로 민요적 전통성과 지역성이 강하다. 〈진도아리랑〉은 호남지역의 육자배기토리권에 속하지만 다른 육자배기토리 민요와 약간 차이가 있다. 전라남도 진도와 호남지역, 충청남도 일대, 경상남도 서부지역, 제주도 등에 분포되어 있다. 〈밀양아리랑〉은 영남지역에서 전하지만 영남지역의 정자토리 민요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사실 이것도 중국 아니였음 등제 생각도 안했는거 아닌가요?...제가 잘몰라서요....

제가 어릴때만해도 아리랑은 너무 친숙했었는데..
요즘은....

아무튼 너무좋은 소식입니다!
저도 소식접했습니다!

하나하나 우리나라의유산이 전세계로 퍼졌으면합니다!

좋은오후되십시요~*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질라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든다.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좀 건너주게

싸리골 올동백이 다 떨어진다.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한치 뒷산에 곤드레 딱죽이 임의 맛만 같다면

올같은 흉년에도 봄 살아나네.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명사십리가 아니라면은 해당화는 왜 피나.

모춘 삼월이 아니라면은 두견새는 왜 우나.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정선읍네 물레방아는 사시장철 물을 안고 뱅글뱅글 도는데

우리집에 서방님은 날 안고 돌 줄을 왜 모르나.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학교 다닐때 아리랑제 하면 무쟈게 불렀네요..정선아리랑..
간만의 월척지 나들이에 앗싸 ~ 아니 야호입니다^^
우리 민족의 혼이 담겨져 있는 아리랑,

저도 아침 뉴스를 들으며 왠지 기분이 좋아짐을 느꼈습니다.

외국에 계신 분들은 아리랑을 들으면 고국생각에 눈물 흘리신다고 들었습니다.
노벰버레인님께 물어보려다......

눈물 흘리지 싶어......
민족의 뿌리이자 민초의 노래

우리가 이여가야할 소중한 문화유산 입니다^^
정선에 후배가 있어서 몇번 가본적이 있습니다

정선아리랑의 정선이라서 그런지 참 정겨웠었습니다

가리왕산... 가보고싶네요
아리랑~~아리랑~~!!!나를 버리고 가신 대물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대물아리랑^^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우리네 가슴속엔 부르길도 많다~

외래어종 아리랑^^
역시 아리라 우리민요는 참웅장한듯해요~

잘들듣었어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