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봉돌 이야기

/ / Hit : 7732 본문+댓글추천 : 5

민물 봉돌


봉돌 호수 -----> 무게

0.5호 -----> 1.5g

1호 ----->  2.0g

2호 ----->  2.7g

3호 ----->  3.2g

4호 ----->  4.3g

5호 ----->  4.8g

6호 ----->  5.6g

7호 ----->  6.2g

8호 ----->  6.7g

9호 ----->  7.5g

10호 ----->  7.9g

11호 ----->  9.0g

12호 ----->  11.6g

13호 ----->  18.3g





민물 봉돌 호수의 무게는 이렇습니다.
13호 봉돌을 사용해 보신 분들도 드물게 계시겠죠(?)
아마 예전부터 내려오던 부력을 맞추지 않고도 던져 놓으면 물놈은 문다라는~ 전설처럼 회자되던 이야기죠.
 

 

쇠덩어리를 던져 놓아도, 심지어 전봇대를 던져 놓아도 부력만 맞다면 쭉쭉 밀어올린다는 것이 붕어낚시의 허풍 같은 농담이며 진실이었습니다.
 

 

좋은 찌의 선택과 부력맞춤 ( 붕어 마음과 물속 속사정은 모르다보니까) 이 입질빈도와 챔질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은 기정사실처럼 굳어져 있습니다.

요즘 추세가 예민성을 집요하게 강조하다보니 낮은 호수의 봉돌과 찌를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달리 말해 낚시 여건이 그만큼 힘들어졌음을 반영합니다.
 

 

낚시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외래어종의 범람, 토종 물고기의 실종 등이 종합적으로 끼친 영향 때문이고 옥수수 낚시가 전국적인 열풍때문입니다.
구하기 쉽고(마트), 저렴하고(구입비용), 깨끗하고 (지렁이 만지기 싫어하는 분이 의외로 많습니다. 여기에 똥지렁이, 청지렁이면 기겁을 합니다.^^)
 

 

떡밥낚시가 추구하던 빠르고 간결하면서 훌륭한 조과를 옥수수미끼와 내림채비에 빼앗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주말꾼들의 선택은 훨씬 확률적으로 조과를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변했고요.
 

 

기존 바닥 낚시 혹은 대물 낚시를 추구하셨던 분들은 7~8호 봉돌을 기준으로 썼는데 5호나 6호는 너무 가볍게 쓴다라는 말까지 했었죠.
여기에 바늘은 감생이 지누바늘 4~6호 벵에돔 이즈메지나 잉어나 향어용 13~15호
물론 미끼 종류나 대상어종에 따른 차이가 극명했습니다.
일반적인 붕어바늘은 떡밥용은 5~7호, 지렁이 8~9호
새우는 10호까지 사용했고요
대물낚시의 경우 원줄은 대어를 놓치지 않기 위해 카본 그랜드 맥스 5호, 목줄은 합사 4~5호를 사용했지만 연밭이나 부들밭에서 강제 집행하다가 끊어먹기 일쑤였죠.^^


그런데 이 또한 작은 바늘과 미늘이 없는 민바늘, 세미플로팅과 모노 원줄과 목줄로 다변화하였습니다.
대물낚시도 2~4g의 봉돌과 찌로 가벼운 무게, 예민한 채비, 어쨌거나 보장되는 조과로 변한 것입니다.
 

 

부력만 맞으면 못들어 올릴 괴기가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헬멧이 나빠 손발이 고생인 저에게 낚시는 할수록 참으로 쉽지가 않네요.

포인트 선정+인내력+집중력이 조과를 결정하는데 편안 자리만 찾고 편안한 낚시를 추구하니까 채비랑 상관 없이 괴기를 못잡나 봅니다.
뭐 여전히 무식한 채비(?)를 고집하는 탓이죠. 딴게 있겠습니까 ㅡ.,ㅡ
 

 


봉돌의 무게와 낚시의 상관관계를 조금 살펴봤습니다.
고래를 잡는 그날까지 화이팅 하자구요.^^;;

 

 

봉돌 이야기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낚시는

결과론

입니다.
12단 대물조사시군요.
저는 8단 중물조사였는데 8단 펴본지가 언제인지 기억도 가물가물 합니다.

해박한 지식과 조력에 노조사의 향기가 느껴집니다.
다음에는
5짜 잡는법좀 갈챠 주십시요ㅡ.,ㅡ
시리즈로
게시물을 올려주심에 감사드려요
다음편도 기대됩니다.


그건 글쿠 포경을 하시려구요
누구나 대물과 대어를 손꼽아 기다리지만 가끔 주변을 둘러보면서 즐기고 간다는 설레임으로 낚시를 하신다면 더욱 즐겁지 않을 까합니다.

대물도 많은 마리수도 좋지만

느낌이 있는곳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 그리고 좋은 추억을 만드는 낚시를 즐기신다면

인자는 요산요수라는 성현의 가르침에 더욱 느껴지지않을까합니다.
하드락님

저는 오히려 과정론 같습니다.
낚시의 끝은 새로운 시작이라고요.
우리네 인생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늘 새로운 시작을 잘하는 분들이 어디든 잘 적응하고 건강하게 사시는게 아닌가 요즘은 느껴집니다.
물론 이러한 순환과정이 잘 지켜져야 자연 또한 늘 그자리에 존재하고 있겠죠. 훗날에도



노지사랑님

오대일침에서 12단까지 는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네요^^;;

해박한 지식은 절대 아니고요.
노조사 또한 아니고 새파랗게 젊은 x가리에 피도 안 마른 한밑천일 뿐이죠.




부처핸섬님

그건 극비덴 ㅡㅡ;;
난리나는데 ㅡㅡ;;

암튼 낼 이시간에 올려 볼까요. ㅋ




콩나물해장님

3초 극복하는 비결이 포경 아닌가요???????

어 ㅡㅡ;;
잘못 알았나 봅니다.^^



과연육자님

좋으신 말씀에 공감하면서 ........
대명을 보곤 무릎을 탁 칩니다.

저도 아름다운 곳에서 598하는 그날까지 끝까지 버틸거예요 ㅋㅋ
예전 연밭메주콩 낚시할때가
그립습니다.
9호~10호봉돌에 숨막히는
찌올림.
낚시에대한 해박한 지식과
열정이 넘치시는것 같네요

원봉돌 풍덩채비로
8연속꽝 9연속꽝을 치더라도
낚시라는 그행위와 그고집을
지키기 위해
누구하나 알아주지 않더라도...
오늘도 집을나섭니다
1호 = 1그램
2호는 2그램
8호는 8그램
.....



인줄 알고있었어요. ㅠ ㅜ

老조사님 덕분에 또 많은걸 배워갑니다.
앞으로 계속 연재해 주세효 꾸벅~
대꼬쟁이님


와아 아시는군요
연밭입질
한마디에 5분 걸리지만 하늘 끝까지 솟을 때
챔질의 쾌감을요^^


붕어와 춤을님


그래서 아직 고래를 못 잡아봤네요^^;;

10분의 1조차 되지 않는 봉돌만 사용하니까요.^^;;




대물도사님

역시 꾼은 꾼이십니다.
사실 10연속 꽝이면 지치죠.
그래도 거기 물가가 있으니 위안을 얻죠.
그러다 또 꽝치면 다시 안온다고 군소리하다가
집에 씻고 누우면 벌써 물가에 도착해 있고요 ㅋㅋ
일산뜰보이님


일산뜰걸님으로 막 만들어드릴까요 ㅡㅡ;;

老조사 아니라구요. ㅠㅠ
No조사는 맞지 싶어요^^

필히 연재할께요 ㅋㅋㅋ
제원표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해동고리봉돌의 경우는 조금더 가볍더군요.
암튼 좋은정보 공유~~ 좋습니다^^
정성과 열정이 대단하십니다.

글구 셋팅해놓으신 사진을 보니
정말 깔끔하게... ㅋ그림같이 해놓으셨네요.

봉돌 이야기~ 잘보고 갑니다^^
1푼-0,375g
5푼-1,875g
10푼-3,75g
붕어를 잡으려면 붕어가 노는 바닥층까지 미끼를 내려야하는데...
맹탕이면 아무 문제가 없지만....
수초가 빼곡한 곳은 엄청난 스트레스입니다
특히나 예민한 영점이나 마이너스찌맞춤, 긴목줄은 채비투척하다 낚시인의 진을 다 빼놓죠
그리고 역사?는 밤에 이뤄지는데...^^;
수초구멍에 조금만 빗나가도 바닥이 찍히지 않는 상황은 정말 낚시대를 던지고 싶은 심정....ㅜㅜ
거기에 4.0칸 이상의 장대면 팔에 무리가 쌓이고....ㅠㅠ

많은분들이 예민한걸 추구하고 싶어도...
이론적으론 그게 더 확률이 높다는걸 이해하면서도 선뜻 하지 못하는 이유가 아닐까싶네요
경험적, 확률적으로 큰붕어는 맹탕보다는 수초 등의 장애물이 있는 곳에서 많이 회유하고...
그곳에 안정적으로 채비를 안착시키려면 고부력의 풍덩채비가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맹탕보다는 장애물 지역의 붕어가 훨씬 덜 예민하기에 먹이활동도 시원하고...
그렇기에 풍덩채비에 짧은 목줄, 큰바늘에도 큰붕어 잡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고 많은 분들이 애용하시는거겠지요

예전 가끔씩 동출하는 지인형님이 계십니다
토종터에 새우미끼낚시만을 고집하시는 분이죠
카본 3~4호 원줄, 감성돔 3~5호, 합사2호 목줄, 봉돌 5~6호 풍덩채비(플러스)...
무조건 상류 수초대를 선호하시고 여차하면 바지장화입고 들어감에 주저함이 없습니다 ㅋ

반대로 전 최소한 영점은 맞추고 긴목줄에 작은 바늘, 어느정도 맹탕과 수초가 혼재된 수심이 어느정도 나오는 편안한? 곳을 선호하죠
그리고 물에 들어가는건 지양합니다
수초제거기 사용을 지향하죠ㅋㅋ

둘이서 큰거 한마리, 아침밥 내기를 종종 합니다
토종터의 경우 저의 90프로 패배~~
외래어종터는 제가 80프로 승리~~^^;;
근데 왠만하면 토종터 위주로 가기에 제가 거진 국밥을 삽니다ㅋㅋ
어인님

맞습니다.

성동 해동, 동명, 영남 다 고리추, 고리봉돌 무게가 약간씩 차이가 나죠
호수로 기억하기가 편해서 대략적으로 적어봤습니댜


제리님

전 한깔끄미거든요.
그러나 낚시터 이외엔 닦지 않습니다.
차트렁크에 고이 모셔두지요.
낚시를 못해 이론이 빠삭한 거죠 ㅎㅎㅎ


산천유곡님

넵 푼이 익숙한 분들에겐 가장 명확한 표인 건 같네요.
13~20푼 사이가 7호~9호 봉돌이 되겠죠.



한마리만물어봐라님

ㅎㅎ
국밥내기에 일부러 져 주신거죠^^

그래서 다들 바닥채비나 내림채비 세트로 가지고 다니면서 상황에 맞게 대를 편성하는 것 같습니다.
뚝심과 고집도 있지만 일종의 귀차니즘이 발동하기도 하죠.
수초지대에서 한번 던져 넣으면 미끼 이탈 이외엔 신경 쓸일이 없는 것이 원봉돌, 고부력, 바닥채비니까요.^^
예전에는 푼수고 무게고 뭐고 그냥 저렴한 찌에 떡밥 사러 가면 가게 바닥에 나무 상자에 널부러진
봉돌 몇 개 집어다가 니퍼로 깎아서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환경을 생각하여 납 봉돌은 사용하지 않게 되고 가게에서 무게 보고 사사 이것 저것 끼우고 빼고
대충 맞춰서 던지고 있습니다.

예민하게 하면 저처럼 대충(풍덩 아님) 하는 것보다 입질 볼 확률은 아무래도 높아지겠죠.

그냥 아무리 전봇대라도 뽑아 올릴 사이즈만 와라 해도 가끔씩 빈손으로 돌아올 때는 아쉬움도
생기더라구요.
아무 생각 없이 물고기 밥 주러 다닌다고 낚시를 해야 하는데 소인배라 잘 안 되네요^^
5짜좀보자님

물가에 나가 앉은 모든 분들이 인지상정의 같은 마음일 겁니다.
잡은 붕어를 취하지 않지만 얼굴은 보고 싶다가 모두의 마음이죠^^
저도 그러습니다 ㅎㅎㅎ
예전에는 월척만 잡아도 와~~ 했는데, 지금은 4짜가 돼야 큰놈 잡았다 하니...
오동나무 수초찌가 그리울때가 있더라구요.ㅎㅎ

봉돌 호수 -----> 무게

0.5호 -----> 1.5g

1호 -----> 2.0g

2호 -----> 2.7g

3호 -----> 3.2g

4호 -----> 4.3g

5호 -----> 4.8g

6호 -----> 5.6g

7호 -----> 6.2g

8호 -----> 6.7g

9호 -----> 7.5g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