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불세출의 역작 모나리자 이야기

모나리자’(Mona Lisa)는 르네상스 시대 때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천재화가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da Vinci)'1503~1506년경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가로 53cm x 세로 77cm짜리 유채(油彩) 패널화이다

 

다빈치는 화가(畵家) 화가 이전에 음악가건축가기계 공학자해부학자발명가화학자물리 실험가 이기도 

만능천재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심지어 그의 노트에는 비행기의 날개 모양까지 그려놓았다고 한다

 

 

모나리자는 프랑스 정부와 루브르 박물관의 소유이므로 경매의 대상은 아니지만,

프랑스 정부는 경제적 가치가 최소 약 23,000억 원에서 최대 약 40조 원 정도 될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최대 40조 원이라는 이 엄청난 가격이 붙은 이유는 2018년 기준

연간 루브르 박물관의 방문객 수가 약 1,000만 명 정도인데,

방문객들의 대부분이 바로 이 모나리자를 보기 위해 루브르 박물관을 찾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작품이 최후의 만찬등 다른 역작들을 제치고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대표 작품이 된 가장 큰 이유는

작품성도 대단하지만 다빈치가 죽을 때까지 항상 가지고 있었던 그림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찌보면 그냥 눈썹 없는 여인네에 불과한 이 그림의 주인공이

도대체 무엇 때문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라고 하는지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모나리자는 신비한 웃음과 미완성 작품으로 유명한데  사연은 이렇다

 그림의 모델은 리자 게라르디니(Risa Gherardini)

피렌체의 성공한 사업가 프란체스코  조콘다의 부인이었다고 한다

 

다빈치가 그녀를 그리기 시작한 1503그녀가 24살 때 자식을 잃은 슬픔에 빠져 있었던 직후였다고 한다.

 

그녀의 남편은 그녀를 미소 짓게 하기 위해 광대와 악사들을 고용했다고 하는데,

모나리자의 야릇한 미소는 그렇게 해서 태어났다는 것이다

 

남편과 함께 찾아온 리자의 아름다움에 감동한 다빈치가 초상화를 승낙하였고,

그림에 전력을 다하였으나 리자의 모습에서 살짝 스치는 미소를 

어떻게 표현하기가 어려웠던 이유로 진척이 잘되지 않았다

 

그림이 완성되지 않고 오래 걸리자 다빈치와 그녀 사이가 

야릇한 관계라는 소문까지 돌았는데 하지만 다빈치는 동성애자였다고 한다

 

어느덧 3년이란 세월이 흘러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렀으며

리자는 날마다 같은 시간에 찾아와 그림이 완성되는 것을 보고 즐거워하였다

 

 

그러던 어느  리자는 먼 여행을 떠난다며 다빈치를 찾아갔다.

"선생님제가 남편을 따라 외국 여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요얼마나 걸립니까?" 

"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별로 가고 싶지 않은데 남편이 한사코 가자고해서....." 

"함께 가셔야죠그림의 끝은 다녀오신 뒤에 마무리하죠.

언제 떠나십니까?" 

"오늘 갑니다그런데 그림의 제목을 무엇으로 붙이실 겁니까?" 

 

"'모나리자'라고 할까 합니다." 

  리자 부인은 부끄러운  미소를 지었다.

'모나'마돈나',  성모 마리아라는 의미로 여자를 높임말이다

(모나리자[Monarisa] 단어의 Mona 이탈리아어로 Mrs라는 의미이므로,

모나리자는 Mrs. Risa”, 우리말로 해석하면 리사 부인이라는 설도 있음

 

그러나.....

아쉽게도 리자는 외국 여행  병으로 죽었기 때문에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였다

그래서 미완성의 작품으로 남게  것이라 한다

 

루브르 박물관에서 방탄유리로 보호받고 있는 모나리자는 수수께끼 같은 신비한 미소로 특히 유명하다

 

2005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 연구팀이 인간 감정(感情)을 인식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나리자를 분석한 결과 이 미소에 인간의 복합적인 감정이 섞여 있다고 발표했다.

 

입술의 굴곡과 눈가의 주름 등 얼굴 주요 부위의 움직임을 수치화해 분석한 결과,

전체표정의 83%는 행복함, 9%는 불쾌함, 6% 두려움, 3%는 분노 등이 섞여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1506년에 완성된 이 그림은 1518년 프랑스 국왕이 구입하여 프랑스의 소유가 되었고,

1789년 프랑스 혁명 후인 1797년에 루브르 박물관(Musée du Louvre)으로 옮겨져 영구 소장하게 되었다.

 

기네스북(Guinness Book)은 모나리자를 1962년에 보험가격을 1억 달러로 산정한 바 있는데,

이는 세계에서 보험가격이 가장 비싼 그림으로 기록되었다고 한다.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시가로는 9 달러가 되며 한화로는 1 2천억 원이 넘는다

 

모두가 알고 있듯 모나리자 그림에는 눈썹이 없다

다빈치의 전기작가 조르조 바사리(Georgio Vasari) 

눈썹이 없는 점이 바로  그림의 백미라고 극찬한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거장인 라파엘로(Raffaello Sanzio, 1483-1520)

모나리자의 구성과 형식을 그의 그림에 자주 도입하였는데,

그 이후 500년 동안 모나리자의 구성과 형식은 하나의 장르가 되었으며,

근대에 들어와서도 많은 화가가 이를 원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나리자 그림이 문학음악영화방송광고  예술과 문화 분야에 미친영향은 대단하다

 

미국의 흑인 가수 냇 킹 콜이 부른 “Mona Lisa”

1950년에 빌보드 차트 1위를 5번 차지하고, 영화 주제가로서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모나리자는 그림의 모델부터 표정의 해석, 탄생 비화 등등에 관해 아직도 이견이 분분하지만

세계에서 제일 비싼 그림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한, 모나리자는 우리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가지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눈썹이 없는  가지 흠이 있어서 오히려  가치가 높다는 것이다

 

페르시아의 (Persian flaw)”이라는 말이 있다

페르시아의 카페트 장인들은 카페트를 만들 눈에  뜨이지 않는 한쪽 구석에 

일부러 작은 흠을 하나씩 낸다는 것이다

 

인디언들도 구슬 목걸이를 만들  흠이 있는 

구슬 하나를 일부러 넣는데   있는 구슬을 영혼의 구술이라고 한단다

 

완벽함은 인간의 본성이 아니다

 없는 사람은 없다

 

 

자연계를 보아도 대형 태풍대형 산불대형 폭우 같은 자연 재앙이 없는 해가 없다

자연계도 이처럼 한두 가지 흠결을 지니고 있다

 

인간이 되라는 말은 만능의 신이 되라는 말이 아니다

한두 가지 흠이 있다고 해서 조금도 기죽을 이유가 없다

 

기억하시라

눈썹 없는 모나리자가 증명하고 있듯 

개인이든 국가든 최고의 가치는 자신의 특성을 최고로 살리는  있다

(옮긴 글)

 

 

 

우리나라에는

여백의미.

그리고

가수

조용필이 있다.
조용필의 10집앨범 수록곡인
모나리자는 골든디스크 수상작이죠.
하기야 당시 매년 최고상은 다 받았으니...

저 고등학교때 어선생님중
박희자라는 조금 까칠하신 분이 계셨는데
그분이 지나가면 애들이 모나리자 노래를
조용히 불러습니다.
못난희자~~

유익한 정보 잘 읽었습니다.
어인님은 학교에서도
어선생님께 배우셨군요. ㅡ.,ㅡ'
예전 학교 다닐때 선생님께서,
"모나리자는 다빈치의 장난이다"
라고 한 말이 문득 생각나네요?^^
그게 엇그제 같은데, 벌써 40년이 지났으니,
세월 참 빠릅니다~~ㅎ
옛날 서양에서도 재판할때 배심원단이 100% 유죄라하면 받아들여지지 않았답니다.
인간이 100% 완벽하게 결론을 낼수없다 해서...
난 흠이 너무 많아서리~~~~~~~~~~~~~

잘 보고 갑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