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디끼(직사각형멍석)
메빵시기(원형멍석)
삽짝(대문) 딸배기(두래박) 지렁(간장) 해무꾸(반찬)
치깐(화장실) 대지비(국그릇) 웅굴(우물) 우장때기(우비)
홍익아
할배와~요
날씨가 억수로덥제
예 할배
쌉짝닫고 마다 멍디끼피고 웅굴에 딸배기에 물푸고
정제가서 대지비하고 지렁가온나
예 할배
표준어풀어
홍익아
예 할아버지
날씨가 무척덥구나
예 덥습니다
대문닫고 마당에 멍석 깔고 웅굴에 두래박에 물퍼오고
부엌에있는 국그릇하고 간장 가지고 오너라
예 할아버지 준비할께요
눈이오네요 눈길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사라저가는 내고향 사투리
-
- Hit : 279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6
무지 어려운 말입니다
제주도말만 어려운줄 알았는데 ...
본토발음으로 이야기하면 저는 한개도 못 알아듣겠내요
벼륵바 포리들이 와케 많노
울 엄니..
직접 말하면 다 알아 들어요
파리채 가지고오너라
벼룩이 파리가많다
파리채 가져오너라
벽에 파리가 왜 이렇게 많냐
대문옆 두엄(거름) 구덩이 삽으로파서 지렁이 잡아오너라
밖에 거름 구덩이 삽으로 퍼 뒤집어서 지렁이(?) 잡아온나
보탕= 장작패는곳
맨다리= 소나무등 마른가지
물거리=작은 잡목들
소두베이=솥뚜껑
.
.
.
정겨운 사투리들
모도 정슴 잡싼니껴?
저는 아래 뺑나제 나세이 캐니라꼬 복상씨하고 고베이를
못쓰니더...
좁은나라지만 모르는사투리들이 왜이리많은건지^^
옛생각이 새롭습니다
B접점님
경주와 영주는 가까운 거리인데도
~~모도 정슴 잡싼니껴?
저는 아래 뺑나제 나세이 캐니라꼬 복상씨하고 고베이를 못쓰니더..~~~
모두 점심했는지요.
저는 그저깨 낮에 난세이 (봄 들판에 나물종류)케느라고 박씨와 다리가 불편합니다
해석이 적당한지 거리차가 느껴지네요
정확히 알고 계시네요.^^
모도-모두
정슴-점심
잡싼니껴-먹엇습니까
아래-그저께
뺑나제-햇빛짱짱한 대낮에
나세이-냉이
복상씨-복숭아뼈
고베이-무릎
못쓰니더-아프네요
이런~이런~~
오늘 눈도 오고 딱히 할 일도 없고해서
옛날 조부님 계실때 옛 일이 생각나서 몇자올렸습니다
저역시도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왠지 정감이 가드군요
사투리들어보니 정겹네요ㅋㅋㅋ
경북 안동에서는 사투리 경연대회도 합디다~~
출전한번해보세요~~~^^
얼핏 들어도 생각이 나는게
몇개밖에 생각이 안났네요@@
아이다 니러가는거또 이떼이
한 땅에 살면서 같은 언어 같은 글을 사용하면서도
소통이 어렵다는건 사회적 소통이 없었다는걸 보여주는 좋은 예지요
이제는 전 국토가 반나절 생활권이니 자연적인 소통이 잘되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