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취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꽃말 : 장승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역 산지에 자생합니다.
둥근꽃봉오리가 우뚝서서 겨울을 보내는 모습이 '장승'같이 보입니다.
중국에서는 '산우방'이라 부른답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우엉이 우방이니
산에나는 우엉이란 뜻이랍니다.
수리취떡을 '차륜방'이라고도 부르는데
수레모양의 절편을 만들어 먹는다는데서 유래 되었다는'수리취'
단오날 먹는 대표적 떡이랍니다.
가장 기근이 심할때 보릿고개를 이겨내게 해준
고마운 떡이랍니다.
단오를 '수릿날'이라 부르는것을 보면
단오날 먹는 떡이란 '수리취떡'에서 유래된 것처럼도
보이는군요.
수리취 잎은 손바닥모양을 하고 줄기없이 여러장의 잎이 봄에 나오는데
잎뒷면이
하얗게 솜털이 자리하고 있지요.
봄에 어린잎을 삶아 나물로도 먹고
묵나물로도 쓰이고
말려서 쌀과함께 떡을 만들면 쑥떡보다 더 파란
수리취떡이 된답니다.
동의학 사전에는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풍열을 없애고 해독,억균작용,소염,이뇨등에 약재로
쓰인답니다.
감기로인한 기침,발열,홍역,두드러기등에도 쓰이고
폐렴,기관지염에도 약재로 쓴답니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입니다. 보온 단디 하시고 불금 되십시오.
꽃말이 특이하네요
좋은 가을 맞으십시요"
라고 하면....
맛점하십시요~
동작들 빠르셔요 들~~~~^
정신일취면 인사불성이라....@@^^
묵나물로 아주 좋은 제료이기도 하지요.
붕춤님 건강하시지요.
50여년이 지난간 아련한 추억이네요.
수리취떡 먹어보고 싶어요~^^
야싸님이 취가 싫으면 그럼 누가~~~~~~~~~~~~~~ㅠㅠ
피터님 대구에 치과병원이 많은 이유 입니다. ㅎ
팔공산님 반갑습니다. 묵나물 하러 봄에 함 오십시오. ㅎ 잘계시죠
뽀붕님 내년봄에 함 뜯어봅시다
보릿고개를 넘겼다니 참 귀한 식물입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이번 주말 뜨시게 해서 몸 상하지 않게 히시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