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를 만드(검사하)는 피러의 나름 전문적인 소견 하나. 자체 중량으로 물 위에 떠 있기에는 배는 불안정한 구조물입니다. 오뚝이 원리이지만 좌우 롤링이 심하겠지요. 해서, 배의 양쪽 하단부에는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라는 게 있습니다. 좌우에 선수ᆞ선미 방향으로 이 발라스트 탱크가 여러 개 있지요. 각각 독립적입니다. 여기에 Ballast Water(해수)를 일정량 넣거나 빼서 좌우 평형을 맞춥니다. 요즘 여러분께서 자주 듣고 있는 '복원력'에 관계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자살하지 않겠다면 당연히 Ballast Water를 채우겠지요? 물론, 세월호도 Ballast Water를 채웠습니다. 그런데 왜 세월호는 복원력에 문제가 있었을까요? 졸속 구조변경이 복원력의 부실을 가져왔겠지만, 가장 큰 요인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Ballast Water의 양이 부족했습니다. 그들은 왜 Ballast Water를 적게 채웠을까요? 아래의 이유 때문입니다. 발라스트 탱크는 배의 추진력에 상관합니다. 배가 너무 가벼워 선미의 스크루가 수면에서 노출되면, 캐비테이션이란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여 추진력은 감소합니다. 이때에는 Ballast Water를 일정량 채워 추진력을 확보합니다. 연비를 좋게 만든다는 얘깁니다. 세월호는 사람과 화물을 싣습니다. 한 번에 많은 양을 적재할수록 많은 수익이 발생합니다. 배의 자체 중량을 줄이면 더 많은 양을 적재하겠지요? 그들은 Ballast Water를 적게 채우는 치명적인 악수를 둔 겁니다. 이번만이 아니라, 그동안 쭉! 물론 화물도 정량보다 훨씬 많이 말입니다. 복원력 대신 연비를, 안전 대신 수익을 택한 거지요. 단언하건대, 이 사고는 돌발이 아니라 필연적이었습니다. 가슴 아프게도 너무 많은 사람을 죽여버린... 저는 순결하게도 이 세월호 사고에서 교훈 한 가지를 발췌합니다. "잔대가리는 순간은 모면할지 모르나 더 큰 사건을 만든다."
순결한 교훈
-
- Hit : 171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5
배를 만드(검사하)는 피러의 나름 전문적인 소견 하나. 자체 중량으로 물 위에 떠 있기에는 배는 불안정한 구조물입니다. 오뚝이 원리이지만 좌우 롤링이 심하겠지요. 해서, 배의 양쪽 하단부에는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라는 게 있습니다. 좌우에 선수ᆞ선미 방향으로 이 발라스트 탱크가 여러 개 있지요. 각각 독립적입니다. 여기에 Ballast Water(해수)를 일정량 넣거나 빼서 좌우 평형을 맞춥니다. 요즘 여러분께서 자주 듣고 있는 '복원력'에 관계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자살하지 않겠다면 당연히 Ballast Water를 채우겠지요? 물론, 세월호도 Ballast Water를 채웠습니다. 그런데 왜 세월호는 복원력에 문제가 있었을까요? 졸속 구조변경이 복원력의 부실을 가져왔겠지만, 가장 큰 요인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Ballast Water의 양이 부족했습니다. 그들은 왜 Ballast Water를 적게 채웠을까요? 아래의 이유 때문입니다. 발라스트 탱크는 배의 추진력에 상관합니다. 배가 너무 가벼워 선미의 스크루가 수면에서 노출되면, 캐비테이션이란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여 추진력은 감소합니다. 이때에는 Ballast Water를 일정량 채워 추진력을 확보합니다. 연비를 좋게 만든다는 얘깁니다. 세월호는 사람과 화물을 싣습니다. 한 번에 많은 양을 적재할수록 많은 수익이 발생합니다. 배의 자체 중량을 줄이면 더 많은 양을 적재하겠지요? 그들은 Ballast Water를 적게 채우는 치명적인 악수를 둔 겁니다. 이번만이 아니라, 그동안 쭉! 물론 화물도 정량보다 훨씬 많이 말입니다. 복원력 대신 연비를, 안전 대신 수익을 택한 거지요. 단언하건대, 이 사고는 돌발이 아니라 필연적이었습니다. 가슴 아프게도 너무 많은 사람을 죽여버린... 저는 순결하게도 이 세월호 사고에서 교훈 한 가지를 발췌합니다. "잔대가리는 순간은 모면할지 모르나 더 큰 사건을 만든다."
다행입니다.
같이 아파 하고 위로 하고...
이제 차분하게 다시는 그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허가 관련, 구조 변경 관련 등등 모든게 밝혀져야 되겠지요.
또 어느 순간
보이지 않는 검은 커넥션의 벽에 부딪힐지는 모르지만
이번 한번 만큼이라도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오길 염원 합니다.
걍 두면 안되겠죠 ,,세월호에 다 집어넣어서 바다 한가운데로 ,,,
멋진 문구네요.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발라스트워터,발란스웨이트,자이로스코프등 분명 어떤중심장치가 있을건데
배가 도대체 왜넘어질까하는 의문이 들었네요.
제트스키를 탈때에 일부러 넘어뜨려보려고 급회전을 해도 넘어지질 않던데
그 큰배가 어떻게 넘어지는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였습니다.
잘배우고 갑니다
사람 목숨을 담보로 돈을 벌려하다니~
산란후의 물고기가 가끔 떠올라 뒤집히는건......
알을 엄청스리 넘 많이 낳아서 그런가벼요?
이런 씨알도 안 맥히는 말씀을 하시는 싸님과,
또 그 말에 감탄하시는 붕춤님은 도대체가~.
ㅡ;;ㅡ"
붕어는 몬 잡았어요. 힝~
제 딸들이 타던, 연식 10년정도 된 튜브가 있습니다만.
안전보다 수익을 생각하는 찢어죽일넘
다시는 일어나선 안 되는 사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