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줄 짧게 > 짧은 찌 사용 > 봉돌 증량 > 초리대 10cm 전후 절단(또는 통초리) 순으로 추천 드립니다.
앞치기도 대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방법을 달리해서 많이 던져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앞치기보다 옆/뒤 돌려치기 하는게 더 쉬운 경우도 있으니 병행해 보셔도 좋습니다.
줄을 짧게 맨 상태라면 봉돌 놓는 순간을 조금 늦게 해 보세요. 즉 초리대 펴지면서 날아 가도록.
대를 지면과 수평으로 하지 말고 약 40도 정도 세워서 봉돌이 출발 되고 난 뒤 팔을 뻗어 주시고.
손잡이는 반듯이 팔꿈치에 붙여야 합니다. 엘보 오면 고생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듣고 약간 연습하면 될 것입니다.
앉아서 40대 앞치기혀유
팔아프고 눈아프고 손맛도 들하고..전 아직 32대 이하에 24,28대가 주력대입니다..장대는 아예 생각도 안해요..ㅋ
짧게 하라는 뜻은
10~20 줄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앉아서 채비 회수하실때
손 뻗어서 잡히는 정도로 줄이세요
떡밥 달다가
실수로 놓쳐도
알아서 포인트로 들어갑니다.
장대 앞치기는
경질대 이상 + 줄 짧게... 가 답인듯 합니다..
앞치기만
고집
하지 마시고
경우에
따라서는
뒤....
길어지면 쏠채 사용합니다 편안해요
통초리 사용시 길이가 줄어들는건 으짤수 없구요
잘 날라갑니다.
자주 놀아주심 낚시대가 말 잘 들을거여유...
제경우는 떡밥낚시 이기에 봉돌의 무게가 가벼운 것을 사용합니다.
떡밥 무게가 있어서 부력이 큰 찌를 사용하면 앞치기가 안되어서요.
47대깢 더이상 긴대는 없읍니다
자책하지 마시고 좀만 더 연습하세요~^^
낚시대칸수 한칸씩 늘려가며 하다보니 60대까지 무난하더라구요.
그이상은 아직 필요성은 못느끼고있어서 구입안하고 있습니다ㅎㅎ
앞치기도 대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방법을 달리해서 많이 던져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앞치기보다 옆/뒤 돌려치기 하는게 더 쉬운 경우도 있으니 병행해 보셔도 좋습니다.
예전 새우대물낚시 고집할때도 부들밭 포인트에 또는 맹탕 포인트에서도 자수정드림 정도의 낚시대에 44칸 앞치기 버거웠었습니다
질문자님 말처럼 그때는 36칸 40칸 도 장대에 속할때였습니다
그당시 40칸도 아주자연스럽게 부들밭에 앞치기 미흡했었지요
당연 줄짧게 메고 봉돌 4g이상이였을때인데두 말이죠
지금은 옥내림으로 전환하고 44칸 밑으로는 대편성을 잘할일이없는 아주 장대만 사용한답니다
70칸 밑으로 해서 48대까지 13대씩 편성하면서 60칸도 앞치기 해내고 있습니다
낚시대가 좋아져서 가 아닙니다.
예전 자수정드림44칸은 앉아서 날릴정도 됩니다
이유는 투척방법에 있었습니다
장대 앞치기 방법 보시면 그네태우는 투척법이 아닌 조금 들어 팅겨주는 앞치기 법 이 있습니다
유투브 장대앞치기 자세히 보시고 해보심 금방 익히실꺼에요
6칸의 경우는 배치기로...
대를 지면과 수평으로 하지 말고 약 40도 정도 세워서 봉돌이 출발 되고 난 뒤 팔을 뻗어 주시고.
손잡이는 반듯이 팔꿈치에 붙여야 합니다. 엘보 오면 고생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듣고 약간 연습하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