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오늘의 궁금증2

산삼과 장뇌삼과 인삼이 원래는 같은겁니까? 인삼을 산에서 자연스레 키우면 장뇌삼? 산삼을 산에서 자연스레 키우면 장뇌삼? 산삼과 인삼은 식물 자체가 다른것? 궁금합니다 ~

오늘의 궁금증 투~~~~!!!


침 튀겼어요!!!!
어릴때 시골에 동네할아버지가 말하길
산삼은 새가 인삼씨앗먹고 배변활동할때 그씨가 자라는게 산삼이라고..
장뇌삼은 인위적으로 키우는거라 하시던데

맞을지는 모르겠네요ㅋ
너무 궁금해 하지 마시길...


머리 자랍니다.
그러니까 최초에

산삼인것을 사람들이 밭에서 재배하면서 인삼이 된것이고

인삼을 산에 가져가서 산삼인것처럼 자연스레 재배하면

장뇌삼이고 산삼은 새들이 인삼의 씨를 먹고

높은 산 어딘가에 배변을 봐서 자란것이 맞습니까?


여기서 2차 질문

인삼,장뇌삼,산삼중에 어느것이든 새가 물고가서

높은 산에다가 배변을 보면 산삼이 되는겁니까?
새똥삼
향수님이 싸셔서 삼씨가 자라면
외계인 삼
삼 씨앗은 꿩들이 아주 좋아 합니다

야들이 줏어 먹고 배설한것이 장뇌 삼 이라고 들은것 같은데 오래되서 . . . .

인삼씨앗 이나 장뇌삼 씨았을 인위적으로 사람이 뿌려 재배하는것은 산양삼(?)이라 카던데 . .

저도 햇갈립니다
지나가는꾼님~

우리같이 인삼을 오리지날 산삼으로 만드는 방법을 연구해봅시다 ^^
낚수꾼이 인삼씨앗을 먹고


낚수노리 갔다가 익일 새벽에 모종삽 들고 뒷산에 올라가서 거름(?)주고 파묻었는데


이듬해 봄날 새싹이 나면 무슨삼 일까요? 켁!
인삼을 오리지날 산삼으로 만드는 방법은 없을것 같습니다

산삼씨앗이 주위에 떨어져 난것은 산삼인줄 아는데

그러면 산삼 씨앗을 사람이 인위적으로 심어서 관리 수확하는것도 산삼으로 쳐주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울 동네는 산삼중에서 좋은 유전자 가진 것들을 조직 배양 해서 산삼 버금가는 효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있습니다

타지역 출타 하였다 마을근쳐에 오면 인삼향기가 진동하는곳에 삽니다
문제는 장소가 문제인데 하루에 반나절은 해가들고
반나절은 그늘속에 적한당 습도와 온도가 맞는곳에
가 응가를 해야 합니다 주로 바위와 숲의 경계선
경사도가 심한곳이 적당 한 곳이 많타 라 들었습니다

믿거나 말거나...
일반적으로 산삼은 산에서 자연적으로 자생하는 삼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장뇌삼은 예전에 꿩과 같은 조류들이 인삼 밭에서 씨앗을 먹고 산에서 배변하므로 자란 삼이라고 부르기도하고, 또한 사람들이 인삼 씨앗을 발아시켜 산에 이식해서 기른 것도 장뇌삼이라고 부른다는 소릴 들었습니다.

그리고 산양삼이라는 것은 산삼의 씨를 발아시켜 산에 옮겨 심어 키운 것이 산양삼이라고 알고 있는데 정확한 것인지는 알길이 없네요.

우리 앞 건물주님께서 심마니를 하시는데,, 그분 말씀에 의하면 인삼 씨앗을 조류등이 옮겨 싹이 난 경우는 산삼이라고 부르지 않는다던데요.. 함 물어봐야겠네요.. ㅎㅎ 제 허접한 지식 죄송합니다.
산삼은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이 5:5로 섞여 있는 곳에 주로 많다고 합니다. 이유는 통풍과 햇빛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하던데요.. 한참 전에 대화한 내용이라 정확해야 할텐데,,,흠!!! ㅋㅋㅋ
인삼집 아들입니다..
복사없이 씁니다
인삼
인위적으로 키운삼..

장뇌삼
인위적 키운 인삼씨를 받아서 산에서 키운 삼..

산삼
인위적으로 키운 인삼씨를 새가 먹고 배설한후 성장한삼..(값어치 별로없음)

산삼
값어치 별로 없는 산삼이 성장해서 씨를 떨구고 그것이새싹을 돛아 성장한 삼(값어치 있음)

산삼
값어치 있는것이 또 씨를 뿌려난 삼(더 값어치 있음)

그다음 부터는 오래된것이 값어치 엄청 많음

산양삼
산삼씨 받아서 인위적으로 키운 삼..
무학님 감사합니다 ~

머릿속에 속속 잘 들어옵니다 ^^

확실한 답이 나옵니다 ^^


"산삼
인위적으로 키운 인삼씨를 새가 먹고 배설한후 성장한삼..(값어치 별로없음) "


인삼을 재배하면서 새들을 불러모아야 겠습니다 ㅎㅎ
무학님 말씀이 맞는것같네요
아버님이 취미생활로 심을보러다니시는데
산삼도 천종과지종으로나눈다고는들었습니다
인삼씨를 새들이 물고가 산에 자연적으로 이식되서 싹이낳아 산에서 크면 산삼이라고들하는데 이싹이 또자라서 자식을나으면 모양이나 형태가 원래의산삼처럼 닮아간다고하더군요
인위적으로키운인삼은 잎수도크고 인삼이라고부르는뿌리부분도 크지만 산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아해서 큰산삼은 잎줄기가 삼구에서 사구에지나지않더군요
우스갯소리로 공주 모 산에 아버지따라갔다가 제가 우연치않게 채심을하게됬었는데 삼구짜리삼이였는데엄청작드라구요
근데 뇌두감정결과35년된삼이였습니다
운이좋았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