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외통채비 질문드립니다.

내림전자찌에 찌톱만 나오게 편납감고 이제 밑에 봉돌 달면되는데 외통채비가 잉어 육봉던지듯 그냥 무겁게 던지고 원줄에 유동주는 원리뿐이니 밑에 유동 봉돌은 풀스윙가능한 최대한 무거운봉돌 달면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여기서 최대한 무거운 봉돌로 칭한건 손맛 그런거 다 차치하고 그냥 채비의 완성이 되는게 맞는지요?


무작정 무거운거 다시믄 앞치기 힘들어요
찌도 저푼이어야쉽구요
찌무게 세배정도만 해보세요
바닥이 안좋으면
풀스윙후
낚숫대 앞로
조금씩 밀고당기면
찌높이 틀려질겁니다
유투브에서 붕어낚시TV 를 검색해 보시든지 아니면 외통낚시라고 검색해 보시면
외통낚시에 대한 자세한 정보 잘 나와 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찌에 편납 감아서 자립찌를 만들고 낚시찌 무게에 3배 정도 되는 유동봉돌(추)들 다는 이유는 채비의 투척을 쉽게 하기기 위함입니다.
반드시 3배 무게의 유동봉돌을 달지 않고 4배 5배 정도의 유동봉돌을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일반적으로 1g의 자립찌에 3g의 유동봉돌을 사용해도
채비 투척에 큰 무리가 없는 비율이기에 찌 무게 대비 주로 3배 정도의 유동추를 사용합니다.

바닥이 깨끗한 곳에서 주로 사용하면 바닥이 지저분하거나 부유물 또는 장애물이 많은 곳에서는 사선 유지가 어려워서 외통낚시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겨울 하우스나 양어장 낚시에서 그 어떤 채비에 비해 월등한 조과를 보이는 채비입니다.

자연지에서도 바닥이 깨끗하거나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도 타의 추종의 불허하는 조과를 보이나 올림이 아니라 내림형 낚시이기에 찌맛을 좋아하시는 꾼들에게는 외면받는 낚시입니다. 그리고 거의 예신없이 찌를 끌고 들어가 안전장치 안 해 놓으시면 낚시대 잃어버리기 쉽습니다.

유투브에 붕어낚시tv에는 외통낚시 전문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참조해 보시면 좋겟습니다.
부처핸섬, 낚시와인생 님 답변감사드립니다.
자립찌를 만드는 이유가 붕어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서인가요? 저푼수 찌를 사용하면 예로 1그람 내외의 찌를 사용한다면 찌다리에 편납을 안감아도 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외통 낚시의 찌는 원투던져놓고 입질이 오는가 확인용으로 이해했거든요. 그래서 찌의 부력을 최대한 죽이기 위해서 자립찌를 쓰는걸로 생각하고 찌톱만 나오게 편납감았는데 이게 올바로 이해한게 맞는지.
유동찌에 편납을 감는 이유는 찌의 자립(찌가 스도록)을 위한 것 입니다.
올림이나 내림낚시에서는 추가 찌를 잡아당겨서 찌가 스지만, 외통은 찌를 잡아당기는 것이 없어요.
그래서 자립을 위해 편납을 감습니다.
봉돌은 바다추로 쓰는 물방울 모양의 추를 쓰면 좋고요, 4g 내외면 적당할 듯 합니다.
봉돌의 유동은 1M 정도면 적당하고, 찌는 초릿대에서 1M 내외에 유동폭을 2Cm 정도 주면 괜찮습니다.
멀리 투척하고, 몸쪽으로 30Cm 정도 낚싯대를 당겼다가 원위차 하면 찌가 올라와서 초릿대 앞에 습니다.
자립찌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선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일반 원봉돌은 투척한 찌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채비가 안착되야 하지만
외통낚시는 사선낚시 유형이므로 투척한 찌에서 채비까지 대각선으로 사선이 유지 되야 됩니다. 물론 저푼수 자립찌를 사용하여 입질의 민감도도 증가되겠지만 굳이 저푼찌를 사용 안 해도 됩니다. 저는 1g에서 2g 찌에 편납을 감아서 사용합니다.
그러나 고부력찌를 편납을 감아서 자립찌로 만들려면 편납을 찌에 많이 감아야 되고 그렇게 되면 찌무게에 3배정도의 유동추를 달아야 되는데
3g 자립찌를 사용하면 9g 정도의 유동추를 달아야 됩니다. 굳이 고부력찌를 사용 안해도 되는 둔감하게 사용할 필요도 없고요 찌에 편납을 많이 감으면 감을 수록 채비 투척이 어려울 것입니다.

일반 찌에 찌톱과 몸통이 만나는 부력에 맞게 편납을 감으시면 보통 큰 무리 없습니다. 찌톱과 몸통에 경계에 부력을 맞추면 줄무게, 도래무게 등등 채비의 종합 무게로 실전에서는 채비를 던지면 조금 더 가라 앉겠지요. 보다 민감한 채비를 원한다면 실전에 가서 유동봉돌을 제거한 후 채비를 투척해서 보통 4~5마디 찌톱이 나오면 예민한 낚시가 되고요. 이것저것 귀찮으시면 현장 찌맞춤 안 하셔도 됩니다.
다만 겨울 하우스 낚시 같은 곳에서 아주 민감할 때는 현장 찌맞춤을 더 예민하게 하시면 입질을 잘 받아 낼 수 있습니다만 고수온기에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처음에 찌톱과 봉돌이 맞는 곳에 부력을 맞추어 자립찌 만들어 사용하시다가 편납양을 가감하셔서 응용해 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저는 반드시 저부력찌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며 일반 올림찌 2g이하이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또한 내림찌를 사용 안 하셔도 됩니다.
저는 중국산 전자찌 개당 천오백원 정도하는 싸구려 찌 1g~2g사이를 사용하고 있으나 고가의 찌나 저가의 찌나 아무 상관없으면 내림찌든 올림찌든
큰 차이 못 느낍니다. 다만 찌의 시인성만 고려합니다.

외통은 올림이 아니라 내림 사선 낚시입니다. 일반 내림처럼 입질이 깔작하는 것도 아니고 고기가 확실히 미끼를 흡입할 때 찌가 쭉 빨려 드러가기때문에 항상 낚시대를 잡고 있을 필요도 없으므로 내림보다는 덜 피곤한 낚시입니다. 다만 예신이 거의 없이 붕어가 완전히 먹이를 흡입하고 나서 찌가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낚시대가 끌려 드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림이나 올림낚시는 채비 직각 낚시형태로 붕어가 입질하고 바늘을 완젼 흡입했더라도 채비와 찌가 직각을 이루므로 낚시대를 바로 끌고 들어가는 경우는 없지만 외통사선낚시는 낚시대와 채비가 거의 일직선을 유지하므로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고 돌아서서 뺄때 바로 낚시대를 끌고 들어갑니다.
그래서 외통 사선낚시는 찌없이도 초리대만 보고도 입질유무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외통낚시의 유래는 강계낚시와 같이 유속이 있는 곳에서 찌낚시가 불가능할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거운 봉돌에 끝보기 낚시를 하던 것을 찌낚시 방식으로 변형시킨 채비입니다. 유투브 검색해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단, 입질 시 일반 채비낚시와 같이 강하게 챔질하면 거의 목줄이 터집니다. 외통낚시는 입질이 오면 가볍게 들어주는 챔질을 하셔도 거의 후킹됩니다.
외통이나 중통낚시에서는 절대 강하게 챔질하시면 안 됩니다.
수우우님 낚시와인생님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성격이 예민해서 그런가 찌고르는데만 이틀이 소비됐는데도 아직 못찾고 있습니다 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