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조사님들의 경험이나 팁이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갑자기 막 궁금해서 글 올려 봅니다 ^^
목록 이전 다음 우천시 수심은 낮은쪽이 좋을까요? 깊은 쪽이 좋을까요? 경산말뚝찌아이디로 검색24-05-09Hit : 6144 본문+댓글추천 : 5댓글 16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커뮤니티/자유게시판/우천시-수심은-낮은쪽이-좋을까요-깊은-쪽이-좋을까요 URL 복사 여러 조사님들의 경험이나 팁이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갑자기 막 궁금해서 글 올려 봅니다 ^^ 추천 2 l장군l아이디로 검색 24-05-09 10:57 저는 수심 보다가는 수초를 선호합니다. 맹탕이라면 지형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을까 싶네요. 추천 0 신고 저는 수심 보다가는 수초를 선호합니다. 맹탕이라면 지형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을까 싶네요. 태빈이아빠아이디로 검색 24-05-09 11:38 비가 와서 흙탕물이면 수심이 낮아도 나올고기는 왠만해선 다 나옵니다.ㅎ 추천 0 신고 비가 와서 흙탕물이면 수심이 낮아도 나올고기는 왠만해선 다 나옵니다.ㅎ 지붕지기아이디로 검색 24-05-09 12:08 시기 및 지역,지대(수초)에 따라 다르다 봅니다. 수초대를 배제하면 중부권 산란 후 지금 시기(늦봄)는 중상류(수심1.5m 수준)~상류권(1m 수준), 초여름 장마 개시기(오름수위)는 중상류~최상류권 한여름 혹서기는 하류(수심 2~2.5m정도)~중상류권(수심 1.5~2m정도)으로 최상류권은 피함 가을철 중하류~상류권으로 대체로 저수지 전역 가능 이상이며, 저는 대체로 위 기준으로 합니다. 추천 0 신고 시기 및 지역,지대(수초)에 따라 다르다 봅니다. 수초대를 배제하면 중부권 산란 후 지금 시기(늦봄)는 중상류(수심1.5m 수준)~상류권(1m 수준), 초여름 장마 개시기(오름수위)는 중상류~최상류권 한여름 혹서기는 하류(수심 2~2.5m정도)~중상류권(수심 1.5~2m정도)으로 최상류권은 피함 가을철 중하류~상류권으로 대체로 저수지 전역 가능 이상이며, 저는 대체로 위 기준으로 합니다. 지붕지기아이디로 검색 24-05-09 12:13 추가로 위 기준은 낚시 가능한 적당한 비와는 큰 상관이 없다 입니다. 추천 0 신고 추가로 위 기준은 낚시 가능한 적당한 비와는 큰 상관이 없다 입니다. 하드락아이디로 검색 24-05-09 12:52 배수가 없다면 물가쪽으로.... 추천 0 신고 배수가 없다면 물가쪽으로.... 꿈붕아이디로 검색 24-05-09 13:51 비가 오면 산소 포화도가 높아져 수심 낮은 쪽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개인 생각임 추천 0 신고 비가 오면 산소 포화도가 높아져 수심 낮은 쪽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개인 생각임 부처핸섬아이디로 검색 24-05-09 19:19 오름수위 찬스 경험해보셨으면.. (요즘은 비 자주와서ㅡ.,ㅡ) 추천 0 신고 오름수위 찬스 경험해보셨으면.. (요즘은 비 자주와서ㅡ.,ㅡ) 머여어아이디로 검색 24-05-09 21:11 저는 수심이 좀 낮고요 수초가 자라는 곳을 선호 합니다. 특히 물골~~~~ 추천 0 신고 저는 수심이 좀 낮고요 수초가 자라는 곳을 선호 합니다. 특히 물골~~~~ 물라방아이디로 검색 24-05-10 02:19 딴지 거는걸로 보일지 모르겠습니다만... 방송이고, 보통 이야기 할때고 수심을 이야기 할때 왜 깊고, 낮고라고 그러는지... 들을때 마다 '옳은 표현이 아닌데...' 했습니다. 얕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깊고↔얕고, 높고↔낮고... 추천 2 신고 딴지 거는걸로 보일지 모르겠습니다만... 방송이고, 보통 이야기 할때고 수심을 이야기 할때 왜 깊고, 낮고라고 그러는지... 들을때 마다 '옳은 표현이 아닌데...' 했습니다. 얕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깊고↔얕고, 높고↔낮고... 가람과뫼아이디로 검색 24-05-10 06:16 낮은 곳이 유리하지 않을까요 추천 0 신고 낮은 곳이 유리하지 않을까요 붕어얼굴못보고아이디로 검색 24-05-10 09:16 비가 오더라도 시간별,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다를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는 낮 시간대에는 흙탕물이고 어느 정도 물 유입의 유속이 느껴지는 자리면은 낮은 수심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유속이 없고 물색 탁도가 약하다면 깊은 곳으로, 밤 시간대면 낮은 수심을 선호 하지만 깊은 곳에서도 2~3대 정도는 연안으로 바짝 붙이는 편입니다. 추천 0 신고 비가 오더라도 시간별,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다를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는 낮 시간대에는 흙탕물이고 어느 정도 물 유입의 유속이 느껴지는 자리면은 낮은 수심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유속이 없고 물색 탁도가 약하다면 깊은 곳으로, 밤 시간대면 낮은 수심을 선호 하지만 깊은 곳에서도 2~3대 정도는 연안으로 바짝 붙이는 편입니다. 춘강독조아이디로 검색 24-05-10 21:48 저는 낮은 쪽으로 한표요 추천 0 신고 저는 낮은 쪽으로 한표요 두만지아이디로 검색 24-05-15 10:00 물 흐름이 없고 수초가있는 얕은곳요. 추천 0 신고 물 흐름이 없고 수초가있는 얕은곳요. 장기판소아이디로 검색 24-05-15 10:02 깊은 수심으로 하다 계속 꽝~~ 1~2미터 수심에서 두마리 햇네요 추천 0 신고 깊은 수심으로 하다 계속 꽝~~ 1~2미터 수심에서 두마리 햇네요 자락길아이디로 검색 24-05-15 13:49 비가오면 짧은대가 유리하다고 들었습니다 벌레나 먹이들이 비에 쓸려 가장자리에 먹이가 많아져서일까요?? 이유는 모릅니다 ㅋ 추천 1 신고 비가오면 짧은대가 유리하다고 들었습니다 벌레나 먹이들이 비에 쓸려 가장자리에 먹이가 많아져서일까요?? 이유는 모릅니다 ㅋ 전주맨발아이디로 검색 24-05-15 16:52 반땅 하시면 될듯요 추천 0 신고 반땅 하시면 될듯요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지붕지기아이디로 검색 24-05-09 12:08 시기 및 지역,지대(수초)에 따라 다르다 봅니다. 수초대를 배제하면 중부권 산란 후 지금 시기(늦봄)는 중상류(수심1.5m 수준)~상류권(1m 수준), 초여름 장마 개시기(오름수위)는 중상류~최상류권 한여름 혹서기는 하류(수심 2~2.5m정도)~중상류권(수심 1.5~2m정도)으로 최상류권은 피함 가을철 중하류~상류권으로 대체로 저수지 전역 가능 이상이며, 저는 대체로 위 기준으로 합니다.
물라방아이디로 검색 24-05-10 02:19 딴지 거는걸로 보일지 모르겠습니다만... 방송이고, 보통 이야기 할때고 수심을 이야기 할때 왜 깊고, 낮고라고 그러는지... 들을때 마다 '옳은 표현이 아닌데...' 했습니다. 얕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깊고↔얕고, 높고↔낮고...
붕어얼굴못보고아이디로 검색 24-05-10 09:16 비가 오더라도 시간별,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다를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는 낮 시간대에는 흙탕물이고 어느 정도 물 유입의 유속이 느껴지는 자리면은 낮은 수심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유속이 없고 물색 탁도가 약하다면 깊은 곳으로, 밤 시간대면 낮은 수심을 선호 하지만 깊은 곳에서도 2~3대 정도는 연안으로 바짝 붙이는 편입니다.
맹탕이라면 지형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을까 싶네요.
수초대를 배제하면
중부권 산란 후 지금 시기(늦봄)는
중상류(수심1.5m 수준)~상류권(1m 수준),
초여름 장마 개시기(오름수위)는
중상류~최상류권
한여름 혹서기는
하류(수심 2~2.5m정도)~중상류권(수심 1.5~2m정도)으로 최상류권은 피함
가을철
중하류~상류권으로 대체로 저수지 전역 가능
이상이며, 저는 대체로 위 기준으로 합니다.
큰 상관이 없다 입니다.
물가쪽으로....
(요즘은 비 자주와서ㅡ.,ㅡ)
수심이 좀 낮고요
수초가 자라는 곳을 선호 합니다.
특히 물골~~~~
들을때 마다 '옳은 표현이 아닌데...' 했습니다.
얕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깊고↔얕고, 높고↔낮고...
저 같은 경우는 낮 시간대에는 흙탕물이고 어느 정도 물 유입의 유속이 느껴지는
자리면은 낮은 수심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유속이 없고 물색 탁도가 약하다면 깊은 곳으로,
밤 시간대면 낮은 수심을 선호 하지만 깊은 곳에서도 2~3대 정도는 연안으로 바짝 붙이는
편입니다.
1~2미터 수심에서 두마리 햇네요
벌레나 먹이들이 비에 쓸려 가장자리에 먹이가
많아져서일까요??
이유는 모릅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