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용도로도 사용 가능해 보이고, 외통, 중통 낚시에서 찌의 부력을 감소시기키 위해 찌다리에 편납 감는 대신 본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찌다리에 사용하기에는 좀 투박해 보이네요;;
저라면 위의 제품은 찌에 장착하지 않고 봉돌의 유동이 필요한 낚시에서 관통형 구슬과 함께 유동봉돌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
결과적으로 자립채비 형태를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찌다리에 부착하는 봉돌의 형태만 다를뿐 시중에 몇가지 제품 출시되어 있어요
유튜브에도 두칸반에서 운영하는 * *낚시몰에서도 구매가능하구요
낚시점에 가시면 비슷한 상품 있으니 찾아보시길
유튜브에 찌자립 검색하시면 비슷한 형태로 운영하느 유튜브내용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바꾸기 위한
채비 같은데요.
제 생각에는 불용.
찌가 떠오르는데는 오히려 방해가 되지 않을까....
싶은 짧은 생각이 듭니다.
음....... 효과는 그다지.....ㅎㅎㅎ
중통채비 , 중통낚시 검색해 보세요
중통,외통낚시에서 찌의 부력을 낮추려고 동편납을 감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사진처럼 찌에 여러 개의 부속을 달아놓으면 찌 표현이 좋아질지는 의문입니다
요즘 나노소재의 찌가 대세인지라, 저의 짧은 생각으로는 조금 튀고 방정맞은, 높은 순부력을 조금 낮추어주면 좀 안정적인 찌놀림을 볼수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자문을 구했습니다.
별 도움이 안될것같은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찌다리에 사용하기에는 좀 투박해 보이네요;;
저라면 위의 제품은 찌에 장착하지 않고 봉돌의 유동이 필요한 낚시에서 관통형 구슬과 함께 유동봉돌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
찌의 자중이 높은만큼 봉돌 무게가 낮아지니 예민한 입질을 받아내기 좋습니다, 또 무거운 만큼 앞치기가 아닌 돌려치기에 아주 유리합니다. 60대 같은 장대 채비에 자작으로 만들어 쓰고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질문 내용의 답입니다.
보통의 분납 채비 형태로 바꾸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찌에 저런 작업을 하는 것도 분납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지만,
아래의 봉돌 무게가 줄고 찌에 무게가 늘어나면, 채비 캐스팅 할 때 무게추가 분산되어 캐스팅 쾌적도만 떨어집니다.
그래서 공부는 죽을 때까지 해도 다 못 배우는 것인가 봅니다 ㅎㅎㅎ
찌다리에 부착하는 봉돌의 형태만 다를뿐 시중에 몇가지 제품 출시되어 있어요
유튜브에도 두칸반에서 운영하는 * *낚시몰에서도 구매가능하구요
낚시점에 가시면 비슷한 상품 있으니 찾아보시길
유튜브에 찌자립 검색하시면 비슷한 형태로 운영하느 유튜브내용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