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 표현하긴 힘들지만
하수오는 모양자체가 비슷하나 확연히 틀리며, 잎은 엇가지로 하트모양을 뜁니다.
망개나무(맹감)뿌리는 중간중간 울퉁불퉁하고 상당히 단단합며, 잎이 5개로 나지 않고
둥글레 뿌리도 얇고 마디마디가 확실히 표현됩니다(대나무같이),잎이 아카시아 잎처름 양쪽으로 있습니다.
한약명으로는 백창이라고하는 창포의 뿌리입니다
약효로는 창포를 오래 먹으면 귀와 눈이 밝아지고 목소리가 고와지며 몸이 따뜻하게 되어 오래 살고 창포를
책상 위에 두고 밤새 책을 읽어도 눈이 피로해지지 않고 화분을 볕이 잘 드는 곳에 두었다가 아침에 잎 끝에 맺힌 이슬로 눈을 씻으면 눈동자가 커져서 눈이 밝아진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전해져온 풍습으로 단옷날 창포로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양(陽)의 기운이
강한 5월 5일에 창포물로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하면 귀신을 쫓고 병마를 막아준다는 믿음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창포는 맵고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감각을 각성시키고 담을 삭이며,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혈액을 순환시키는 작용이 있어 풍을 없애주고 습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는 간질, 질환의 의식장애와 정신신경증이 경감되고 호전되며, 피부질환에도 유효하고, 건망, 심흉번민(心胸煩悶), 위통, 복통, 타박상 등에도 쓰입니다.
또한 청량, 건위제로도 쓰이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장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며, 어린이의 지력(知力)을 높여서 사유 및 분석능력을 돕고, 기가 막혀서 소통되지 않는 부분을 해결해 주는 작용이 있어 심화(心火)나 담(痰)으로 경락이 막혀서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답답한 증상을 풀어주어 옛날 선비들이 복용했던 총명탕에 사용했습니다.
갈챠주세요~~~~눼~~^^
근데 고기를 엄청 잡으셨어요~~부럽 부럽 ㅎ
그물쳐서 잡으신건 아니시죠? ㅎㅎ
그물은 저기 이박사님 전문이라 ㅎㅎ
뭔지 모르겠네요
잎이나 꽃 사진도 같이 올려주시면 ㅠ
잎이 있었는데 찍어논다는게 못 찍었습니다
먹을수있는건 맞는거 같은데
어찌 먹어야하는지를 몰라서요^^
청미래덩굴이라고도 하는데 잎이 둥근하트 모양에 동글동글한 열매가 달려 있지 않았나요?
망개나무가 맞다면 약용 식용 모두 가능합니다.
망개나무나 청미래덩쿨 뿌리도 아닙니다
줄기와잎이 다르네요~~^^
택란도 아닌듯합니다~~~
http://blogfiles5.naver.net/data35/2008/9/2/130/img_3301080_1308_1_dangun47.jpg
둥글레도 아닙니다
외대 줄기에 잎이 넙적넙적한것이
다섯개정도 있었습니다
저거 줄기랑 잎은 넝쿨이 아니였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
말로 표현하긴 힘들지만
하수오는 모양자체가 비슷하나 확연히 틀리며, 잎은 엇가지로 하트모양을 뜁니다.
망개나무(맹감)뿌리는 중간중간 울퉁불퉁하고 상당히 단단합며, 잎이 5개로 나지 않고
둥글레 뿌리도 얇고 마디마디가 확실히 표현됩니다(대나무같이),잎이 아카시아 잎처름 양쪽으로 있습니다.
한곳에서 5개의 잎이난건지... 외줄기 전체 잎이 5개인지 궁금합니다..
아... 궁금합니다...
조심하세요.
잎 줄기 사진을 찍어올껄 후회중입니다
개업하신 대빨방 잘되시지요?
대박 나시면 소고기 사주세요~~~^
뭔지 모르고 가져온거유?
능이는 우찌 된규??
내가 아는 약쵸는 아니군여...
근디 송이는 우찌 된규??
좋은산, 맑은물
우리 모두 스스로가 지켜나가야겠습니다 ..
능이 송이는 꽝쳤습니다~~메롱입니다 ㅎㅎ
비슷한 약초가 많으니, 오판하기 쉽습니다.
독버섯과 함께 조심해야 할것이
독초입니다.
잡어도 아니니까 드시지 마세요 ... ㅎㅎㅎ
약효로는 창포를 오래 먹으면 귀와 눈이 밝아지고 목소리가 고와지며 몸이 따뜻하게 되어 오래 살고 창포를
책상 위에 두고 밤새 책을 읽어도 눈이 피로해지지 않고 화분을 볕이 잘 드는 곳에 두었다가 아침에 잎 끝에 맺힌 이슬로 눈을 씻으면 눈동자가 커져서 눈이 밝아진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전해져온 풍습으로 단옷날 창포로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양(陽)의 기운이
강한 5월 5일에 창포물로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하면 귀신을 쫓고 병마를 막아준다는 믿음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창포는 맵고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감각을 각성시키고 담을 삭이며,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혈액을 순환시키는 작용이 있어 풍을 없애주고 습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는 간질, 질환의 의식장애와 정신신경증이 경감되고 호전되며, 피부질환에도 유효하고, 건망, 심흉번민(心胸煩悶), 위통, 복통, 타박상 등에도 쓰입니다.
또한 청량, 건위제로도 쓰이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장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며, 어린이의 지력(知力)을 높여서 사유 및 분석능력을 돕고, 기가 막혀서 소통되지 않는 부분을 해결해 주는 작용이 있어 심화(心火)나 담(痰)으로 경락이 막혀서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답답한 증상을 풀어주어 옛날 선비들이 복용했던 총명탕에 사용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