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선배님들의 소중한 의견듣고싶어서 이렇게 사진한장 올려봅니다
나름 저의 인생붕어 인데 모 계곡지에서 잡았습니다.
그런데 사진은 안올렸지만 첫번째 붕어..약간 찝집함.. 두번째도 약간 찝찝함.. 근데 세번째 이 위풍당당한 녀석은 제가보기엔 완전 토종 같은데
선배님들이 보시기엔 어떠신가요? 제 개인기록으로 해도 무탈한지 의견이 듣고싶습니다^^;
더운날에 항상 안전출조하시고요 어복 충만하십시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의 소중한 의견듣고싶어서 이렇게 사진한장 올려봅니다
나름 저의 인생붕어 인데 모 계곡지에서 잡았습니다.
그런데 사진은 안올렸지만 첫번째 붕어..약간 찝집함.. 두번째도 약간 찝찝함.. 근데 세번째 이 위풍당당한 녀석은 제가보기엔 완전 토종 같은데
선배님들이 보시기엔 어떠신가요? 제 개인기록으로 해도 무탈한지 의견이 듣고싶습니다^^;
더운날에 항상 안전출조하시고요 어복 충만하십시요^^
이쁜 토종입니다
때깔이 예술입니다.
세마리..씩이나..@,.@
축하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
배아푸지만 인정합니다
걍 토종입니다.
살짝 꼬리쪽을 보고 잠시 의심했지만
멋진 우리 붕어로 보입니다
체색도 그렇고 머리 모양, 비늘모양, 측선위치..
토종은 아닌 것으로 생각됩니다.
멋지네요. 인생고기 축하드립니다
멋집니다
축하드립니다
의성권 강계가믄
건지믄 아리까리하든데
사진붕어는 토종같습니다
제 눈에는
색깔과 모양이 향붕어로 보입니다만...
대단한 사이즈 축하 드립니다.
넘이잡은건 다 떡입니더.
배가 아파서 투정부리봅니더
축하는드리고 화장실로 ㅠ
축하 드립니다요~^^
볼것도 없네요^^
축하드립니다!!
이말이 안나오네요
향붕어 같기도 하고
대물 축하드립니다
토종은 비늘의 검정 점선 위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뚜렷하게 이동 됩니다.
측선수는 사진이 흐릿하지만 초소 30 이고 체형도 강계 보이는 떡붕어 체형이 보이네요 대물 축하합니다
이거보구 떡붕어라는 사람은 낚시꾼 아닙니다....
남이 잡으면 떡(희나리)
축하합니다
조심스레 잉붕어로 추정됩니다.
측선수도
잉붕어면 어떤가요..잘생긴녀석 손맛보셨으면
그만이지요 대물 축하드립니다.
F 1 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잉붕어 100% 입니다
맨 마지막 사진 은 우리 붕어 (토종) 입니다
아쉽겠지만 기럭지 에 연연 하시지 말고 낚시 의 연장선 즐기세요
잉붕어 2세대로 보입니다
그래도 손맛 보심에 축하드립니다~~~
축하드려요^^
축하드립니다.
그러나 사진상의 붕어는 안타깝게도 잉붕어 교잡종 으로 보입니다.
잉붕어, 향붕어 이런 중국 교배종은 한눈에 보기에도 토종 붕어랑 다르게 생긴녀석들도 있지만
매우 유사하게 생긴녀석들도 있습니다.
많이 접해보시지 않으면 일견하기에 토종이랑 매우 유사하여 판별이 쉽지 않습니다.
윗글 S모그님 께서 언급 하신것과 같이 일단 붕어의 비늘 형태가 다릅니다.
또한 머리 모양이 더 선명하게 나왔다면 토종붕어랑 많이 다르다는것을 알게 될터인데요
사진으로 머리가 많이 가려져 있어서 판별이 더 어려운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조금 쉬우실 것 같습니다.
요녀석이 잡으신 붕어랑 유사종인 잉붕어 교배종입니다.
비늘을 보시면 테두리가 반원 보양이 아니고 약간 돌출 된형태를 보입니다.
요녀석이 토종붕어 비늘을 보시면 테두리가 특출나게 돌출되지 않고 둥그런 반원 모양의 형태를 보입니다.
잉붕어라도 자연지 에서 저정도 싸이즈로 크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다시한번 축하를 드리지만, 정확한 판단을 원하시는것 같아 댓글 남깁니다.
별빛소류지님 정답
추천 꾹~~~
제 생각을 첨먼 하자면
비늘 모양
색깔
그리고
비늘의 뿌리 방향이 토종들 보셨을 때와 다르게
진한 부분이 넓게 분포 되어 보인다는 점 입니다.
(뿌리 방향 : 앞 비늘과 뒷 비늘이 겹치는 부분 주위뒷 비늘이 앞으로 향한 부분 입니다.)
제가 느낀 다른 특징 중 하나는
토종들은 잡았을 때와 살림망에 넣어 두고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보호색으로 변하는데
교잡(향,잉붕어)들은 거의 비슷하게 변화가 안생기고 노란색 계열로 유지가 되는 듯 했습니다.
제 경험상의 생각 입니다.
제가보기에도 잉붕어로 보입니다..
안타깝네요.
아무튼 인생대물 축하드립니다!
색깔은 굳~이네요
황금붕어
손맛 좋았겠네요 축하드립니다!!
1. 비늘 형태 : 별빛소류지님 댓글 참조 - 구체적으로 표현
2. 측선위치 : 첫 비늘부터 대략 7~10개 비늘 안 측선이 머리쪽으로 쏠림 - 덜한 F1
또는 첫 비늘부터 후반부(20 비늘 이상)까지도 머리쪽으로 쏠림 - 심한 F1
토종은 첫 비늘부터 3~6개 비늘 측선만 머리쪽이고 뒤로 갈수록 중앙에 위치함
3. 체형 : 가운데 배 부위가 불룩한 편(약한 올챙이 형)으로
빵이 좋다라고 표현할 때보다 더 둥근 형
-> 물론 저수지 등 현장에 따른 차이 있다고 봄.
4. 기타 : 측선수, 체색 등은 현장 상황에 따른 차이로 정확한 판별 어려움 .
이상 전문가 의견 참조한 개인적 소견입니다.
제의견은 비늘로보아 토종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교잡종으로 보입니다
인생대물 손맛 보셨네요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아무래도 이상해서 주위에 조사님들께 판별하라 햇더니 토종이다 잉붕어다 의견이 분분합디다
하지만 조금 이상하다 싶으면 이붕어 입니다
확실히 토종은 아닙니다
잉붕으로 보입니다만..
그래도 손맛보심 축하드립니다
본이 틀리고 파가 틀립니다.
그래도 부럽습니다^^
국내산입니다 -ㅎㅎ
축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