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5 임프차량 인데 멀쩡하던 차가 갑자기 시동이 안걸려서
긴급출동 불러서 시동걸고 한시간 정도 놔두라해서 그렇게 한시간 놔두고 다음날 운행할 일이 있어서 시동을 걸었더니 한방에 안걸리고 5번정도만에 걸리더군요..
낼아침에 다시 시동걸면 또 안걸릴듯 한데..교체가 답일까요?
배터리 교환한지 3년 넘었다먼 바꾸세요
3년에서 5년사이 배터리들은 추위와 블박 같은 부가장비들에 의해 쉽게 방전됩니다
세로모터 문제일수도 있는데 시동이 걸린다는거보니 충전은 된다는 소리네요 혹시 모르니 점검 받아보세요
세로모터는 재생 넣지 마세요 자칫 잘못하면 차량 화재의 원인이 됩니다
그리고 점화플러그도 점검해보세요
점검순서
1. 배터리 수명저하로 인하여 잦은방전의 원인은
->암전류 (차량에서 자연적인 전기누설) 및 수명이 노후예상됩니다
-> 배터리전압 12.60v 이상 나와야 하고 cca 값은 520 이하이면 교체하셔야할듯
2. 차량점검
-> 세루모타 (기준 : 10.50v이상 나와야 시동에 문제없읍니다)
- _ 세루모타 기준전압이 10.50v 이하이면 시동걸때 배터리수명을 저하시키고 cca값및 12.60v 전압을 소모시킵니다
-> 발전기 점검 : 기준전압 13.50v 이상이 되어야 됩니다
특히나 동절기 , 하절기 부하테스트 후 13.50v 이상이 않되면 자동차배터리의 충전이( 만충이않됩니다)
이때는 발전기. 밸트 등도 점검
상기와 같이 간단한 점검은 배터리교체 전문점에 차량을 무상으로 점검해드리는곳도 많이 있습니다
좋은 답변이 되셨는지
그리고 세루모타 , 발전기등도 재생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대부분 정상적인 공정을 거처서 품질관리를 해서 나옵니다 )
윗분어느분이 화재우려도 말씀하셨지만 걱정않하셔도 됩니다
대한민국 ㅔㄴ지니어 , 기술자들 그렇게 허술하지 않습니다
참조하세요
참고로 저는 배터리교체 전문점을 합니다
그러면 자동차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류가 교류인데 왜 AC전압이 아닌 DC 전압을 측정하며
어떻해서 직류를 이용하는 엘이디및 등화류를 사용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을 가질수도 있는데요,
이는 알터네이터에서 발전된 전기를 다이오드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공급합니다.
보통 알터네이터 고장은 발전기 브러쉬의 마모나 다이오드의 고장으로 발생됩니다.
출장기사님 말대로 새 밧데리로 바로갈았는데..담날아침 또 시동이 안걸려서..
견인을 하고 카센터 갔더니 브란자인지 뭔지가 사망해서그런다네요..
밧데리 멀쩡한걸 괜히갈고..ㅜㅜ
밧데리 외의 요인도 점검해달라고 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먹었지요~~~^.^
밧데리 방전 교환외에는 답 없음 ㅋ
블박이 받데리에 큰 영향을 줍니다.
받데리교환하고 블박용 보조 받데리 하나 장착 하세요.
2년에 교환할 받데리 3년 탑니다.
3년에서 5년사이 배터리들은 추위와 블박 같은 부가장비들에 의해 쉽게 방전됩니다
세로모터 문제일수도 있는데 시동이 걸린다는거보니 충전은 된다는 소리네요 혹시 모르니 점검 받아보세요
세로모터는 재생 넣지 마세요 자칫 잘못하면 차량 화재의 원인이 됩니다
그리고 점화플러그도 점검해보세요
한번에 다 하지말고
1차 배터리교체
2차 세로 점검
3차 플러그 점검
이런식으로 해보세요
첫월님 볼 기회가 없네유 ㅠㅠ
1. 배터리 수명저하로 인하여 잦은방전의 원인은
->암전류 (차량에서 자연적인 전기누설) 및 수명이 노후예상됩니다
-> 배터리전압 12.60v 이상 나와야 하고 cca 값은 520 이하이면 교체하셔야할듯
2. 차량점검
-> 세루모타 (기준 : 10.50v이상 나와야 시동에 문제없읍니다)
- _ 세루모타 기준전압이 10.50v 이하이면 시동걸때 배터리수명을 저하시키고 cca값및 12.60v 전압을 소모시킵니다
-> 발전기 점검 : 기준전압 13.50v 이상이 되어야 됩니다
특히나 동절기 , 하절기 부하테스트 후 13.50v 이상이 않되면 자동차배터리의 충전이( 만충이않됩니다)
이때는 발전기. 밸트 등도 점검
상기와 같이 간단한 점검은 배터리교체 전문점에 차량을 무상으로 점검해드리는곳도 많이 있습니다
좋은 답변이 되셨는지
그리고 세루모타 , 발전기등도 재생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대부분 정상적인 공정을 거처서 품질관리를 해서 나옵니다 )
윗분어느분이 화재우려도 말씀하셨지만 걱정않하셔도 됩니다
대한민국 ㅔㄴ지니어 , 기술자들 그렇게 허술하지 않습니다
참조하세요
참고로 저는 배터리교체 전문점을 합니다
배터리노화율 문제없다면 거의 100% 스타트모터 문제입니다.
제네레이터나 배터리 자체의 문제로 보이지 않습니다. 스타트 모터의 문제도 아닌듯 보여지기도 하는데요.
일단 센터가서 점검받으세요.
아마도 고압케이블과 점화플러그쪽이 아닐까 싶습니다.
2.제네레다(발전기)
센터가면 바로 확인가능합니다
하루빨리 점검받으세용
혹시라도 추후에 똑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센터가서 점검 받아 봐야죠ㅎ 댓글감사드립니다^^
새버터리 교체후 시동이 잘걸리는건 당연하나 제너레다가 문제가 잇을시 베터리 소모량을 제충전 해줘야하는데 그게 안된다면 늦으면3~4일 빠르면 2틀뒤에 또 시동이 않 걸릴꺼라 생각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하는 발전기는 교류용 전기를 생산하는 알터네이터라고 명칭하죠.
정상적 배터리는 시동을 끈후 전압을 측정하면 약13V이상 나오는데 이는 가전압(가짜 전압)이고 실전압은 보통 12~12.5V정도입니다.(시동끄고 30분 이상 경과시 실전압)
이 배터리로 시동을 걸어 스타트 모터를 돌리면 배터리의 전압 강하가 일어나는데 시동을 걸면서 전압 을 측정해보면 10~11V 정도가 나옵니다.
그래서 시동전 전압과 시동시 전압의 전압 강하가 3V이상 차이,
즉 10V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 수명이 다 되어 간다고 판단하죠.
어떻해서 직류를 이용하는 엘이디및 등화류를 사용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을 가질수도 있는데요,
이는 알터네이터에서 발전된 전기를 다이오드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공급합니다.
보통 알터네이터 고장은 발전기 브러쉬의 마모나 다이오드의 고장으로 발생됩니다.
세상 참 넓고도 좁네요^^;
많은 댓글이 달려있네요.
경산 중방동에서 제가 밧데리할인점을 하고있는데 마침 동네분이셔서 교체전 테스트기기로 밧데리,제네레다,세루모터까지 모두 점검후 밧데리노후로 새밧데리로 교체해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