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중이라 함은 중력을 말하는 것으로
순수한 찌의 무게를 의미하고
부력은 일정한 수심에서 찌가 가지고 뜨려는 힘을 말합니다
즉 찌가 가라낮으려는 힘과 찌가 지니고 있는 뜨려는 힘의 값이
0일때의 상태가 찌 탑이 수면과 동일선 또는 임의 선을 기준으로 한 값이 그 수치라 생각이 됩니다
부력 3g이라고 한다면 3g 봉돌을 달고 찌탑이 수면과 동일선에 있다는 뜻이겠죠
자중은 부력이 아님니다.
찌 자체의 중력무게 입니다. 즉 내가 들었을때의 무게입니다.
이는 투척할때 영향을 줍니다. 투척시 무게는 봉돌무게+찌무게 입니다.
그런데 이게 서로 거리가 있다보니 찌가 무거우면 정상투척이 잘 안될때도 있습니다.
부력은 물에 뜨려는 힘 입니다.
이찌의 부력을 물에 가라안치기 위해 봉돌이 필요하죠
0점 맞춤 했을때의 무게를 부력으로 표현 합니다.
참고로 찌 다리와 찌탑을 반씩 자른다면 자중은 줄고 부력은 상승합니다.
찌의 자중이란 찌의 무게를 말합니다.
찌가 물에 들어가면, 당연히 침력(자중)과 부력이 동시에 발생하는데, 쉽게 산술적으로 자중이3g이면 부력이 6.5g이어야 봉돌3.5g을 달면 수면 수평맞춤이 됩니다.
찌에 표시된 부력은 자중을 고려한 순부력을 말합니다. 즉3.5g으로 표시하죠.
따라서 찌의 자중과 관계없이 부력이3.5g이라면 봉돌3.5g을 달아야 수평찌맞춤이 됩니다.
자중대비부력은 부력/자중의 의미로 이를 %로 표현하려면 곱하기100을 해줘야 합니다
위의 예에서 자중대비부력은 3.5/3*100=약116%가 되는데 이를 순부력이라고 잘못된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방송에 나온 누군가가 방송에서 자중대비부력이 250%이상이 되야 앞치기가 잘된다고 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런데 어느찌가 3그람이나 나가나요?
알아보고있는데 3그람 4그람 등등 많던되요
자중은 찌자체의 무게니까요.
다른것 무시하고
대충 깍아서 씁니다.
저도 대충 낚시합니다.
순수한 찌의 무게를 의미하고
부력은 일정한 수심에서 찌가 가지고 뜨려는 힘을 말합니다
즉 찌가 가라낮으려는 힘과 찌가 지니고 있는 뜨려는 힘의 값이
0일때의 상태가 찌 탑이 수면과 동일선 또는 임의 선을 기준으로 한 값이 그 수치라 생각이 됩니다
부력 3g이라고 한다면 3g 봉돌을 달고 찌탑이 수면과 동일선에 있다는 뜻이겠죠
가감하며 맞추시면 될듯합니다
하지만 노지에선 변수가 너무 많아서 또 미세한 차이가 생기죠.
글쓴님의 예시대로라면
찌의 자체 무게 자중부력 3g
봉돌의 무게 부력 3.5g이면
순부력은 105%가 됩니다.
순부력 수치가 낮을수록 별로 좋지않은 찌일 확률이 큰데 그렇다고 순부력 수치가 마냥 높다고 좋은 찌냐하면
또 그것도 아니거든요.
붕어가 아니라 기타 부유물이나 티끌이나 잎새나 수중에서 건드는 것에 예민하게 모조리 반응한다면 헛챔질은 물론이거니와 얼마나 피곤한 낚시가 될까요.
자중부력찌가 좋은 것은 앞치기 잘되고 사선 입수없이 수직으로 팡팡 꽂히는 맛일 겁니다.
자중부력 3 x100÷3.5= 대략 87프로로 수정합니다.
105%가 아니라요
그러니 자중부력 3g이란 찌라면 자체가 어마무시한 겁니다.
무시하시고
평소 찌마춤으로 마추시면 됩니다.
찌의 무게가
어떤 공식처럼 부력에 작용하지 않습니다.
물에 뜨는 물체는
그 무게와는 상관없이 물에 뜨지요.
그걸 가라 앉히는 것이 찌마춤입니다.
찌 자체의 중력무게 입니다. 즉 내가 들었을때의 무게입니다.
이는 투척할때 영향을 줍니다. 투척시 무게는 봉돌무게+찌무게 입니다.
그런데 이게 서로 거리가 있다보니 찌가 무거우면 정상투척이 잘 안될때도 있습니다.
부력은 물에 뜨려는 힘 입니다.
이찌의 부력을 물에 가라안치기 위해 봉돌이 필요하죠
0점 맞춤 했을때의 무게를 부력으로 표현 합니다.
참고로 찌 다리와 찌탑을 반씩 자른다면 자중은 줄고 부력은 상승합니다.
앞치기에 유리해집니다^^
찌가 물에 들어가면, 당연히 침력(자중)과 부력이 동시에 발생하는데, 쉽게 산술적으로 자중이3g이면 부력이 6.5g이어야 봉돌3.5g을 달면 수면 수평맞춤이 됩니다.
찌에 표시된 부력은 자중을 고려한 순부력을 말합니다. 즉3.5g으로 표시하죠.
따라서 찌의 자중과 관계없이 부력이3.5g이라면 봉돌3.5g을 달아야 수평찌맞춤이 됩니다.
자중대비부력은 부력/자중의 의미로 이를 %로 표현하려면 곱하기100을 해줘야 합니다
위의 예에서 자중대비부력은 3.5/3*100=약116%가 되는데 이를 순부력이라고 잘못된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방송에 나온 누군가가 방송에서 자중대비부력이 250%이상이 되야 앞치기가 잘된다고 했던 기억이 있네요
참고로
A대B=A/B 이고
A대비B는 B/A 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봉돌도 부력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