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격방지기 오프시키시고 하시면 용접봉 달라 붙거나
스타트 잘안되는건 어느정도 해결 됩니다
전 용접기 설계 . 제작자이지만 용접하는건 생각보다 싶지않네요
홀더선이나 어스선도 기계용량에 비해 좀 작다는 생각이
들긴하지만 그런문제는 아닌같고....
목수가 연장 탓한다고 해야될듯 합니다
전격방지는 보통 인버트 MMA용접기의경우
무부하전압이 70~80볼트 정도인데
이는 감전사고등을 일으킬수 있기에
무부하전압을 10~ 15볼트정도로 낮게
설정하여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무부하전압이 낮기에 스타트가
잘안되고 달라붙고합니다
이를 해소코자 조금고급스런? 기종은 핫스타트란
기능을 탑재하는데 향수님 기기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전격방지 해제해도 기계에는 아무 이상없습니다
우선 정격방지기는 끄셔도 무관하고요... (감전은 주의하셔야 됩니다.)
용접면쓰시고 한번 반복하시고 홀더를 떼세요. 그리고 용접불 보면 약간 어두워 질라고 할때 다시 덧방으로 왕복해서 지지고,....
계속반복하시면 용접비드가 제대로 나올거 같네요..
조금 약하다 싶으시면 전부 용접한후에 용접똥 떼어네고 다시 덧방하시면 완벽해 짐니다.
구멍 크게 난곳은 주위에 철로된걸로 대충 막은다음 같이 때우면 됩니다.
전류는 용접봉 2.6파이면 볼륨에 쓰여있는 것보다 약간 약하게놓고 하세요..
건투를 빕니다.
선배님 전격방지 기계에는 이상이 없더라도...100만분의 1확률이라도 감전의 위험이 있을슈 있습니다 ^,.^조심하셔서 작업 하시구용 위에 분들이 정보를 많이 드렸네용 저는 아크랑 co2알곤 이 주종목이라 ㅎㅎ 일단 제 생각은 아시겟지만 모든 용접이 칠이 돼어 있는 철판은 용접똥이 많이 생기고 타고 용접도 잘 돼지 않아요 ... 아연판이나 용융도굼 분체 액체 모든 철판에 칠이 묻은건 위에 사진처럼 저런 현상이....선배님 댁이나 근처에 순수 철판기루빠씨 하나 주서서 다시 한번 해보셔요 저정도 철판 두께면 전압은 좀올리셔야 될꺼같아요...일단 도금돼지않은 철판에 함 찌져보세요 선배님 만약 잘않돼고 답답하시면 그냥 저희 회사로 들고 오셔요!!!! 마무리까지 깔끔하게 해드릴께욧^,.^
너무 오랜만인데다가 원래 후루꾸 용접이긴한데
아무리 그래도 너무 안돼서 내실력에 실망입니다 ㅠ.ㅠ
주주들 언능 모집 해야 하는디!
향수님 저거이가 뭡니까? ~~ㅎㅎㅎ
잘좀 해봐요`!!
더 엉터리 푼수팅이 뤼택쉬!!
전류를 조금더 쎄게 놓고 접땜으로 하시는것도 괜찮을듯 싶습니다.
접땜은 또 뭐래요?
ㅠㅠ
스타트 잘안되는건 어느정도 해결 됩니다
전 용접기 설계 . 제작자이지만 용접하는건 생각보다 싶지않네요
홀더선이나 어스선도 기계용량에 비해 좀 작다는 생각이
들긴하지만 그런문제는 아닌같고....
목수가 연장 탓한다고 해야될듯 합니다
배선은 문제가 없을듯요
접땜은 한번놓고 때고 한번놓고 때고를 반복해서놓는것
인버터용접은 쇳물과 피복을 구분해야 합니다
용접봉이 녹을때 용접면을 쓰고 보면은 처음에 흘러나오는 것이 쇳물
그위에 약간검은색으로 쇳물을 덮고나오는것이 피복입니다
글로 설명하기가 좀 애매합니다
그냥 용접기를 넘기시길바랍니다 ㅋㅋㅋㅋ
용접봉 서너개 풀파워로 지지시고난 후
전선 만져 보세요 마니 따땃하면 25mm제곱짜리로
바꾸시면 좋고요
용접봉도 잘 건조시켜 사용하시면 훨씬 효과적입니다
아마 그것이 문제가 맞는것 같습니다.
스타트가 너무 안되더군요 ㅠ.ㅠ
용접기 넘기라는분들 줄을 잘 서시기 바랍니다.
10년정도만 쓰고 넘기겠습니다 ㅎㅎ
무부하전압이 70~80볼트 정도인데
이는 감전사고등을 일으킬수 있기에
무부하전압을 10~ 15볼트정도로 낮게
설정하여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무부하전압이 낮기에 스타트가
잘안되고 달라붙고합니다
이를 해소코자 조금고급스런? 기종은 핫스타트란
기능을 탑재하는데 향수님 기기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전격방지 해제해도 기계에는 아무 이상없습니다
지 용접기를 언제 또......
허매나 우쩐지 하루죙이 찌짐좀 찌질라고 찾으이까 안보이드만 ..향수님이 ...험 ~~~ 쩝...
용접봉 파이싸이즈를 확인하시고 조기 저짜 돌리는거 있지유....^^
스타트 찍어서하지마시고 살살끌어서 해보세여..
저수소계 고장력봉은 조금 힘들고 일반 cr봉은 쉬워요
스타트가 잘안되는이유는 전압이 조금 낮은경우 아님 끝부분 피복이 벗겨져서..
성냥불켜듯이 살살끌면서 2~3mm정도 간격 유지하시면됩니다...
용접기 용량이 좀 작으면 2.6mm용접봉 사용하시면 됩니다..
Dc용접기는 요고이바뀌면 잘안됩니다 ㅎㅎ
행날님께서 말씀하신대로 2.6미리 CR봉에 살살끄는방식,
나름데로 비슷하게 했는데 너~ 어무 스타트가 안되던데요ㅠ.ㅠ
아마도 전압이 낮아서 그런게 맞는가봅니다.
왕돌초님께서 말씀하신 전격방지끄기에 굳게 믿음이 갑니다.
하지만, 오늘은 용접끝. 내일이나 다음기회에 그렇게 해봐야겠습니다.
대물찾아님도 똑같은 용접기를 쓰시는가 봅니다?
상세하게 설명좀 부탁 드려요 ~ 놀리지만 말구 ~
감각(요령)이 중요합니다.
물체가 도색이나 도금이 되어있으면 그림처럼 용접이 됩니다.
용접면은 꼭 쓰십시요.
감각(요령)이 중요합니다.
물체가 도색이나 도금이 되어있으면 그림처럼 용접이 됩니다.
용접면은 꼭 쓰십시요.
용접면쓰시고 한번 반복하시고 홀더를 떼세요. 그리고 용접불 보면 약간 어두워 질라고 할때 다시 덧방으로 왕복해서 지지고,....
계속반복하시면 용접비드가 제대로 나올거 같네요..
조금 약하다 싶으시면 전부 용접한후에 용접똥 떼어네고 다시 덧방하시면 완벽해 짐니다.
구멍 크게 난곳은 주위에 철로된걸로 대충 막은다음 같이 때우면 됩니다.
전류는 용접봉 2.6파이면 볼륨에 쓰여있는 것보다 약간 약하게놓고 하세요..
건투를 빕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음작품을 기대해주세요 ~
열혈붕어님 너무직설적으로 말씀하시면
곤란합니다 ㅠ.ㅠ
지지기전 딴곳에 한번 지지고 봉 빨간게됐을때
지지직~~한번씩 띄워서 하셔요^^
열붕도 용접은 야매라 ㅋㅋ
KI(일반봉)으로 한번 때우시고 그위에 KK용접봉으로 중간에 용접하실때의 전류보다 조금 높게
하시어 중간 용접하실때의 속도보다 늦게 하시면 되겠네요
사용하고 계는 용접봉이 CR용접봉이라면 얼마 안가 또 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