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조문상식글

/ / Hit : 14479 본문+댓글추천 : 0

???? 조문 상식~~ * 조문 = 조상 + 문상 ° 고인과 인연이 있는 분은 조상. ° 상주와 친분이 있는 분은 문상. * 고인의 명복을 빌 때 사용하는 말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입니다. 돌아가신다는 것은 세상을 마감한다는 뜻이고, 명복이란 말은 저 세상에서 받는 복이란 뜻입니다. 즉,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것은 겸손하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다가올 저 세상에서 복을 받으세요 라는 뜻. 그러므로, 육신은 죽었지만 영혼은 아직 진행형으로 저세상으로 가야 한다고 믿는 마음에서 끝에 "마침표" 를 찍지 않는다고 합니다. (☆중요) 마침표란 마친다는 뜻이지요. 또,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할 때 띄워쓰기 안 된다고 하네요. (☆중요) 그리고 원래 명복을 빌어줄 때는 "고인의명복을빕니다"가 올바른 표현이라고 합니다. 앞에 "삼가"를 붙일려면, 누구의 명복을 비는지 앞에 고인의 이름을 써야 합니다. 예를들면, 홍길동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O) 점을 붙이면 그 가족 까지 전부 죽어라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 "부의금 봉투는 접는 것이 아니라고하네요". 하늘 나라 천국에 갈 때 노자돈으로 잘 꺼낼 수 있도록. (☆중요) "축의금 봉투는 접는 것이 예의입니다". 복 나가지 말라고 말입니다. 조문이나 축하들 많이가시죠.!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듯 하네요...!! 모르는 친구들을 위하여 ???? 조문 상식~~ 저도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 있어 공유하고자 삽니다 참고하세요. * 조문 = 조상 + 문상 ° 고인과 인연이 있는 분은 조상. ° 상주와 친분이 있는 분은 문상. * 고인의 명복을 빌 때 사용하는 말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입니다. 돌아가신다는 것은 세상을 마감한다는 뜻이고, 명복이란 말은 저 세상에서 받는 복이란 뜻입니다. 즉,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것은 겸손하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다가올 저 세상에서 복을 받으세요 라는 뜻. 그러므로, 육신은 죽었지만 영혼은 아직 진행형으로 저세상으로 가야 한다고 믿는 마음에서 끝에 "마침표" 를 찍지 않는다고 합니다. (☆중요) 마침표란 마친다는 뜻이지요. 또,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할 때 띄워쓰기 안 된다고 하네요. (☆중요) 그리고 원래 명복을 빌어줄 때는 "고인의명복을빕니다"가 올바른 표현이라고 합니다. 앞에 "삼가"를 붙일려면, 누구의 명복을 비는지 앞에 고인의 이름을 써야 합니다. 예를들면, 홍길동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O) 점을 붙이면 그 가족 까지 전부 죽어라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 "부의금 봉투는 접는 것이 아니라고하네요". 하늘 나라 천국에 갈 때 노자돈으로 잘 꺼낼 수 있도록. (☆중요) "축의금 봉투는 접는 것이 예의입니다". 복 나가지 말라고 말입니다. 조문이나 축하들 많이가시죠.!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듯 하네요...!!

좋은 취지에서 올리셨지만... 조의 문장은 띄어쓰기 및 맞침표 찍는게 올바른 표현이라고 합니다.
카톡이나 밴드에서 순식간에 퍼지는 교통법규 개정 소문, 조문 표현 등 가짜뉴스가 많으니 가급적 필터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전 월척에서 위에글이 논쟁?? 되었던적이 있습니다,,,
검색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뭐,,,제생각은 이렇든 저렇든 중요한건 마음 아닐까싶습니다만,,,
상대에게 자신의 맘을 정중히 전할수 있다면

문법이나 띄었기가

뭔 상관이 있으리요~~


조선 시대두 아니고~~헐~~~~~~~~~~
“산 사람을 알고 죽은 사람을 모를 경우에는 조문하되 애도하지 않고,
죽은 사람을 알고 산 사람을 모르는 경우에는 애도하되 조문하지 않는다
- 예기 곡례(曲禮)편 -

조문은 상가에 가서 상주에게 인사하고 유족을 위로하는 것

조상은 죽은 이에게 예를 올리는 것

흔히 쓰는 '문상'은 조문과 조상의 뜻이 포함된 것



조문가서 예의범절 중요하죠
더 중요한건 "봉투속에 몇장들었느냐"가 갠적으로 젤 중요한거 같내유 ㅋㅋ
예의범절도중요하지만 띄어쓰기 마침표보다는 고인과 유족을대하는 지극한마음인것같네요
3장ㆍ5장ㆍ10장 선택이 가장 난제 아닐까요?
“산 사람을 알고 죽은 사람을 모를 경우에는 조문하되 애도하지 않고,
죽은 사람을 알고 산 사람을 모르는 경우에는 애도하되 조문하지 않는다
- 예기 곡례(曲禮)편 -

잘 배웠습니다.
ROSE님
좋은뜻으로 올리시는 글이시겠지만
잘못된 글은 많은분들에게 혼동을 줄수 있습니다
제가 알고있는 행하고 있는 조문방법과 차이가 있네요
제가 잘못 알고 있나요?
출처가 어딘지 궁금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렇게 배웠고 이제껏 쓰고 있습니다

제가 여태 잘못알고 결례를 범해왔던 걸까요?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참고하시기바랍니다.

- 문상시 옷차림:

남자:
검정색 양복이 원칙이지만 미처 준비 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와이셔츠는 흰색으로 하고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정색으로 한다.
사정상 정장을 하지 못하고 평상복을 입을 경우 단정한 옷차림으로 하며
화려한 무늬의 원색 옷차림을 피하고 치장을 삼가하며 점퍼등의 겉옷을 꼭입는다.

여자: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 차림이 가장 무난하다. 구두, 양말(스타킹)도 검정색이 좋다.
평상복일 경우 단색 계통이 무난하며 화려한 의상이나 몸에 꼭 맞는 옷은 삼간다.
화장도 연하게 하고 특히 핑크나 레드 색상의 짙은 입술화장은 하지 않는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액세서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 부고(訃告)를 받았을 때: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통지가 부고이다.
매우 바쁘게 살아가다 보면 부고를 접하고도 간혹 조문을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부고를 받았다면 평소 친밀하지 않은 관계라 해도 가급적 조문을 하는 것이 도리이다.
불가피하게 조문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조장(弔狀)이나 조전(弔電)
혹은 조의금이라도 보내는 것이 좋다.
물론 부고를 보내는 쪽에서도 조문객의 입장을 고려하여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

- 조문 시간:

아주 가까운 친구나 친지로부터 부고를 받을 경우 즉시 가서 도와주는 것이 좋다.
그외의 조문은 상가의 유족들이 성복을 끝내고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된 후에 가는 것이 예의이다.
일반적으로 임종일 다음날 조문을 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스럼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입관을 마친 때에도 괜찮다.
3일장이 보편화되면서 상가에서 미리 조문을 받는 경우도 흔히 있다.

- 조문 절차:

조문을 가서는 풍습이나 종교가 다르더라도 가급적 해당 상가의 상례에 따르는 것이
예의이며 간혹 망인이 장수하시고 돌아가셨을 때 호상(好喪)이라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옳지 않다.
①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든다.
② 상제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③ 분향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에 넣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치기도한다.
(삼상향이라 하여 조금씩 3번 집어 넣는다)
`선향(線香.막대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삼상향이라 하여 3개를 쓰기도한다) 집어
촛불에(혹은 라이터가 향 옆에 있으면 그 라이터로) 불을 붙인 다음
향이 타면 불꽃(화염)은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던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던가, 손바닥으로 바람을 일으켜 끈다.(입으로 불지 않는다)
다음은 공손히 향로에 꽃는다.(여러개일 경우에는 하나씩 꽂기도 한다)
④ 일어서서 뒤로 조금 물러나 영좌를 쳐다본 후 두 번 절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영좌앞에 꽃을 놓은후 정중히 고개 숙여 예를 표한다.
⑤ 상제들을 향하여 선 후 상제들과 맞절한다.
⑥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제에게 조문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 때에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 이것 저것 질문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⑦ 조문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 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좋다.

- 조문시 인사말:

많은 사람들이 문상을 가서 어떤 인사말을 해야 할 지 머뭇거린다.
문상(問喪)이란 말은 상가에 가서 죽은 이에게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것으로
요즘에는 조상(弔喪:죽은 이에게 예를 표함), 조문(弔問:상주에게 인사를 함) 등과
구분없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문상시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제들과 맞절한 후 아무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와도 된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는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아도 되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그러나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 조의금(부의금.賻儀金):

조의금은 문상을 마친 후 물러나와 호상소에 접수시키거나 부의함에 직접 넣는다.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결례이다.
부의(賻儀)는 상부상조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미풍양속으로 형편에 맞게
성의를 표하되, 혹 여유가 있다 하여 과도한 금액의 부조를 하는 것도 옳지않다.
봉투 앞면에는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전의(奠儀) 등을 쓴다.

- 조문시 삼갈 할일:

유족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쳐있는 상황이므로
말을 많이 시키거나 고인에 대해 상세하게 묻지 않도록 한다.
상가에서 반가운 친구나 지인 등을 만났을 때 큰소리를 내지말고 조용히 밖에서 대화한다.
궂은 일 등을 돕되 상례절차 등에 대해서는 간섭하지 않는다.
종교나 풍습의 차이가 있더라도 가급적 상가의 예에 따른다.

- 잔치집 가는 것보다 초상집 가는 것을 즐겨 하라는 말도 있다.
(검색 발췌 정리)

수고하세요..
아직도 이런 루머가 돌아다니나 보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 표현이 맞는 표현이고요 삼가 앞에 이름을 쓸 필요도 없습니다.

국립국어원에 아래와 같은 질문이 올라온적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라는 말을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라고 써야지 맞다고 하는데, 틀린 거 아닌가요?
띄어쓰기도 하면 안되고, 온점을 써도 안되나요? 제대로 맞는 맞춤법이 뭔가요?

국립국어원 답변.
안녕하십니까?

1.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는 완결된 문장 형태를 갖추었으므로 끝에 온점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한글맞춤법의 문장 부호 규정에는 표어(꺼진 불도 다시 보자)나 표제어(압록강은 흐른다)의 경우에는 온점을 쓰지 않는 것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조의금 봉투나 근조 화환에 해당 문구를 쓰는 경우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이 온점을 쓰지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한글 맞춤법 문장 부호 규정의 일부를 붙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Ⅰ. 마침표[終止符]
1. 온점(.), 고리점(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집으로 돌아가자.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압록강은 흐른다(표제어)
꺼진 불도 다시 보자(표어)

2. 한글맞춤법 제2 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에 따라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로 띄어 써야 합니다.

출처: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61&qna_seq=59044
향 안피우기 ,, 상주와 맞절 안하고 간단히 목례만하기 ..힘내시라는 위로의 한마디 건네고오면 됩니다

인생은 ~
벌거숭이 빈손으로~ 왔다가
빈 손으로 ~가는거
윗글은 조문상식이 없는분이 쓰신것입니다
핵심은 망자와 생전에 안면을 익힌분이라면 분향하고 재배를하며
망자는 안면이 없고 상주와 인연이 있다면 상주와 맞절을하고 분향재배는 하지않습니다
한자전용시대에 만들어진 상례의식이 한글전용 시대에 이르니 뛰워쓰기나 맞춤법운운합니다
향을 피우지말고 .. 상주와 맞절을 하지말자 라는 말은 ..
이제 장례문화도 옛것만 고집하지말고 죽은자 위주에서 산자들 위주로 바뀔때가 되었다는 뜻으로 이해해주십시요
식장안에 빼곡한 향연기는 건강에 치명적입니다
잠깐 있다가 가는사람은 몰라도 3일간 그안에서 그냄새를 맞아야하는 상주분들을 생각하자는 뜻입니다
오는 조문객마다 상주와 맞절을하면 상주는 무릎이 안 남아나겠죠?
건강한 장례문화는 우리가 주체적으로 만들어 나가야하겠습니다
상주에게 먼저 악수를 청하지 않는 것도 예의라고 하네요. 악수는 보통 반가움의 표현이라서요.
이래서 글을 퍼오실때 출처를 남기는겁니다.
카더라통신, 틀린정보, 거짓뉴스가 판을 칩니다.
조의금 액수만맞으면......
상 치러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정신없이 3일 지나갑니다! 물론 이론도 중요하겠지만 상주분들은 옷차림이나 다른무엇보다도찾아주신것에 넘 감사드리죠!
아무든 저는 많이 배웁니다 ^^
많이 배운 사람은 조문와서 성추행도 한다던데...
그런건 배우지 마십시요 들...^^.
유용한 정보 잘 배우고 갑니다 ~^_^좋은하루 되세요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