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짧은 낚시대1칸에서17칸 미만

있을까요? 뽕치기 말고 앞치기하고 싶은데  봄철마다 짧은대가 절실하게 필요하네요. 반스윙도 구찬고요

자수정드림도 1.7칸부터 시작이던데 ㅜㅜ

정보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브랜드 낚시대 아니더라도 수릿대만 구할수 있음 암거나 괜찬습니다!
천류 대물초경 한번 보세요..
드림은 13부터 잇지요..
다이아플렉스 향어
1.2칸부터 시작 입니다
다이아플렉스 향어대
정말 잘~쓰고있는 1인입니다.
향어대로 보시면 짧은대많아요
중국산도 좋더라구요



이런것도 있네요~

성능은 몰겠어요~~
원다(중국 생산)의 알파 레드 향어 있습니다.

전설의 향어 크레인 찾다가 못 찾고 대신 선택했는데, 만족스럽습니다.

미터로 1.2, 1,7, 2.2, 2.7, 3.2, 3.6있습니다.

1.2미터면 칸으로는 0.67칸이죠.

1.2미터로 손맛터에서 잉어 60센티도 잡았습니다.

카본이 아닌 글라스대이며, 극히 저렴합니다. 1만원~2만원. 도색 등은 기대하지 마시고요.

글라스이지만 짧으니, 3.6미터만 카본 향어대 3칸대 무게가 나가고, 그 외는 무게 부담이 없습니다.

초릿대를 제외하고는 작대기처럼 휨새가 거의 없습니다. 즉 낚싯대의 휨새를 이용하기 어려우니 낚싯대가 휘었다 펴졌다 하면서 고기의 힘을 빼주지를

못 합니다.

따라서 원줄 자체가 강해야 합니다.

1.2미터~2.2미터는 최소한 5호(카본이든 모노든) 이상이어야 합니다. 루어에 쓰는 서픽스 XL 스트롱 6호, 7호 추천합니다.

저는 4호 썼었는데, 큰 고기 3마리 정도 잡고 나면 바로 원줄이 끊어지는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낚싯대가 휘었다 펴졌다 하면서 고기의 힘을 빼주지를 못 하고 힘으로 강제로 끌어내는 스타일의 낚싯대입니다.

따라서 원줄은 물론이고 목줄, 바늘도 강제집행에 알맞게 충분히 강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무리가 가서 끊어지고 펴질 겁니다.
구산동님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1. 짧은 대에 일반 전자케미 사용하면 눈이 매우 아픕니다.

예전에 1.2미터 대에 보통 전자케미 사용했다가 눈이 부셔서 죽는 줄 알았습니다.

집에서 밤에 미리 실험해 보시고, 안 되겠다 싶으면 꺾어 쓰는 화학케미를 쓰시든가 하세요~~

2. 향어대가 아닌, 중경질의 붕어대라도,
1.5칸 붕어대는 3칸 붕어대에 비해 대가 휘었다 펴졌다 하면서 고기의 힘을 부담해주는 능력이 적습니다.

그래서 1.5칸 붕어대는 원줄, 목줄, 바늘이 3칸 붕어대에 비해 강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1.5칸 향어대는 1.5칸 붕어대 보다 더 강해야 하고요.
1. 낚싯대가 길어질수록 원줄을 짧게 매듯이, 2칸 미만 낚싯대는 짧아질수록 원줄을 길게 매는 게 좋을 겁니다.
낚싯대 보다 1.5칸은 20센티 정도 길게, 1칸은 45센티 정도 길게.
그렇게 해도 낚싯대와 원줄이 긴 대에 비하면 원체 짧다 보니 캐스팅이나 고기 제압에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또 낚싯대와 원줄이 원체 짧으니, 의자에 앉아서 대를 세우기만 해도 고기 몸통 전체가 물 밖으로 튀어 나올 수 있고, 그러면 낚싯대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원줄이 낚싯대 보다 충분히 길면 그런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짧고 빳빳한 향어대는 원줄이 짧을 때 고기 몸통 전체가 물 밖으로 튀어 나올 가능성은 큰 반면, 원줄이 길어도 고기 제압이 쉬우니 원줄을 길게 매야 할 이유가 더 분명합니다.

좀 넉넉하게 길게 준비하여 가신 후에 낚시하면서 상황 봐서 줄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 짧은 대라서 원줄이 2~3미터도 안 되더라도, 원줄이 굵으면 저항을 많이 받아 물흐름에 많이 흔들릴 수 있고, 그것이 바닥낚시에 필수적인 봉돌의 안정적인 안착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짧은 대라도 원줄을 굵게 쓰면 저부력찌로 예민하게 찌맞춤하는 것은 피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짧은 대라도 5푼 이상의 찌를 사용합니다.



이상 호기심에 아주 짧은 향어대 길이별로 3~5개 씩 사서 향어, 잉어 잡다가, 원줄 많이 끊어 먹은 사람의 경험이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