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습니다.
그러나 최고에 근접한 대를 선별하는, 만들어 내는 방법은 있습니다.
인사를 필요이상으로(ㅋ) 공손하게 하고 낚시점에 들어가셔야 합니다.
첫인상이 매우 중요합니다.^^
진열된 여러 대를 쭉 펴서 그 중에서 뒤틀림이 없는(구불거리지 않는)
곧은 정도가 최상인 제품을 고릅니다.
거총자세로 손잡이 대에 눈을 대고(정조준) 돌려보아서 초리부분이 좌우,
상하로 그 위치가 수시로 바뀌면 뒤틀린 것입니다.
동시에 제원에 쓰여 있는 길이에 가장 가까운 대를 골라 듭니다.
이제 흔들어서 초리부분의 진폭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어는 순간
정확이 뚝 정지하는 대를 눈여겨봅니다.
한참동안 초리부분이 흐늘거리는 대는 불합격입니다.
또 흔들어서 덜거덕거리는 소리나, 느낌이라도 있으면 역시 좋은 대가 아닙니다.
손잡이 마개를 열고 각 절번의 살 두께가 균일한 가를 눈짐작으로 세밀히 관찰합니다.
외부 도장상태를 한 마디씩 살핍니다.
하이-엔드 급이면 위의 과정이 쉽습니다만 보급형이면 정말 머리가 아플 정도입니다.
위는 2대에 걸쳐 친분이 쌓인 저의 단골 낚시점에서나 통하는 경우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인사를 아무리 잘 했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주인에게 등을 떠밀려 뒤통수에 따가운 시선 받으면서 나오시게 될 것입니다.
“댁에겐 안 팔아요!” ~~
저의 경우는 그렇게 해서 주인이 모르는 대의 결함도 알려주고,
또 일행 낚싯대를 전부 구입해주는 우수한 고객(커다란 봉)이라서 가능했답니다.
기본적인 점검만도 이 정도 필요한데,
온-라인으로 실물을 보지도 않고, 만져보지도 않고, 하나도 아니고 세트로,
쌍대로 구입하시는 분들의 배짱(? 무신경)은 저의 입장으로서는 놀라 기절한 정도입니다.
최소한의 점검은 하셔야지요.~
아무튼 이제 구입은 했습니다.
일은 이미 저질렀지요. 2.0~2.5칸의 한 대만 꺼냅니다.
이제라도 늦지 않으니 상기의 점검을 해보세요.
완벽한 것은 없을 것입니다.
눈에 거슬릴 정도로 뒤틀림이 있다면, 과도하게 짧다면 재빨리 거래처에 교환을 요구하시고,
길이가 다소 짧다거나 미미한 정도의 덜거덕거림이 있다면 본인의
노력으로 해결이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통대나무를 기본적인 모델로 삼아 태어난 그라스롯드 시절에는
각 절번의 물리는 길이가 과학적으로 그런대로 잘 되어있었습니다.
말하자면 초리 쪽으로 갈수록 짧게 물려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통그라스롯드의 제작은 불가능하니까 여러 마디로 나누었는데 탄성을 잘 살려내기 위해서
마디가 겹치는 연결부위의 원만한 해결을 바로 그 물리는 길이의 차별화에 두었습니다.
맞물린 길이가 잘 조정된 낚싯대는 커다랗게 휘는 경우 보기에 퍽 자연스럽습니다.
무거운 부하가 걸렸을 때 무리 없이 휨으로서 줄의 연장선 역할을 함으로
웬만해선 줄도 터지지 않고, 부러지지도 않습니다.
카본시대가 되면서 장인의 꼼꼼한 손길을 떠나 자동화(?)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요즈음의 대가 오히려 이 규칙에 어긋나 있는 것 같습니다.
각 절번의 물리는 하단을 애초에 두툼하게 만들고, 다음에 적당히 갈아서 맞추는 것 같습니다.
대의 조정을 시도하시려는 분은 제 글 중에 <대의 길이 맞추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체 길이도 다소 늘어나면서 제원에 가까워지고, 덤으로 덜거덕거리는 느낌도 잡을 수 있습니다.
어느 종류의 대든지 가능한 한 최고의 성능을 이끌어 내서 사용하면 그 대가 바로 최고급대입니다.
그리고 그 대가 사용자의 손에 익숙해 진다면 더욱 바랄 것이 없는 좋은 대입니다.
얼만 전에 만난 한 낚시광은 거의 썩은(?) 카본 대를 지니고 있더군요.
기가 막혔습니다. 그래도 맨날 많이 잡은 얘기만 합니다
그래서 “카본대도 대나무 썩는 것처럼 되는구나!”를 처음 알았습니다.
대의 관리를 잘 하셔야지요.^^
최고의 낚싯대
-
- Hit : 520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
시방 배아프라고 허신 말씀 이시당가요... 아무도 안오쟎여유 몽주리 배가아파 없드러 있느라고 ㅋㅋ
누구나 소신을 가지고 대를 구입하시겠지만 이것도 확신이 없는 人間事라서.....
기왕에 소지하게 된 낚싯대를 최상의 조건으로 만들어 써보자는 취지였습니다.
추위 때문에 몸소 물가로 나서지는 못할망정 대를 만지작거리며 살펴보는 것도
낚시의 즐거움 중의 하나라는 사실도 想起시켜드리고 싶었답니다.
꾼의 정성이 깊게 스며든 대는 어딘가 분명히 다릅니다.^^
초보시절 한 때 산에 미쳐 지내던 친구와 가끔 낚시를 다녔는데
언젠가 돌아 오는 길에 제가 낚시대를 깨끗한 수건으로 닦는걸 보고
인제 네가 낚시를 좀 배워가나부다 하더군요.
철붕님의 조력과 깊이가 느껴집니다.
맨날 쇼핑몰에 중고장터에 고급대만 눈팅하느니 알려주신대로
시간나면 햇볓 좋은 베란다에 앉아 한번 점검해 보겠습니다.
생각만해도 즐거워 지는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