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케미무게가 같다고 부력이 같을까요??

어제 지인에게 도움청할 일이 있어 여러 지인을 만나던 중 케미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문제는 주간케미....전자케미... 저는 주간에도 전자케미를 사용합니다... 다쓴 건전지를 꽃아서 사용을 하지요...저녁엔 새 건전지로 교체해서 사용하구요.. 부력의 변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오래전 부터 이리 써왔으니까요//// 제 경우는 별로 중요하지 않으니 패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문제는 지인이 주간케미를 사용하다 저녁엔 전자캐미로 교체합니다... 이 기준이 주간케미의 무게와 전자캐미의 무게가 동일해서 부력의 변화가 없다라고 하더군요... 주간 케미 크기도 다르고 재질도 다르고 무게만 같다고 부력에 영향이 없다가 맞을까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풍덩채비야 안착만 된다면 케미의 부력따윈 신경안써도 된다를 제외하구염......

케미무게같으면 부력차이 없네요
케미의경우 찌를 누르는 힘의무겐데
크기가 다르면 부력의 차이가 없지만
무게의차이가 있다면 부력의 차이가 있네요
솜1kg 철 1kg 차이가 있는지요?
물에 접지하지 않고 떠있을때..즉 캐미가 완전히 물밖에 있을 경우는 상관이 없지만..

바닥낚시시 바닥이 고르지 않고 편차가 많아 조금 옆으로 갔을때 맞추어놓은 수심보다

다소 깊어 캐미가 수면에 닿을 경우나 약간 잠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까요?
예를 들면...

스치로폴 10g과 쇠 10g

스치로폴 10g 은 뜨지만 쇠 10g 은 가라 앉는정도로 저는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물에 접지한다는 조건에서염...수면에 접지 하지 않으면 똑같지만...
넹~^^
물을 흡수하냐 차이죠?
물을 흡수하지 않기에 차이엾네요!!!
넵...

목마와 숙녀님 감사합니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따라 물속에서의 부력은 부피에 영향을 받습니다. 같은 무게의 물체라도 부피가 클 수록 부력이 커지고 침력이 작아지죠. 따라서 깜돈님의 말씀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단, 이는 과학의 경우 일뿐, 낚시라면 얘기가 달라지죠. 바닥낚시에서 채비변화 없이 찌맞춤보다 마이너스 노출로 낚시하시는 분은 없을 겁니다. 지인께서도 수평맞춤 후 케미전부 노출 혹은 반노출 등으로 이미 감안하고 계실겁니다... 그나저나 한국의 전통낚시라는 건 정말 어마어마한 과학이 숨어있지 말입니다. 이럴줄 아시고 다들 수평맞춤 수평맞춤 하셨지 말입니다.
무게만 같고 부피는 다를때=침력이 같지 부력은 다릅니다.
무게도 같고 부피도 같지만 소재가 다를때 = 침력 부력 모두 다릅니다. 위에 말씀하셨듯이 스티로폼 10그람과 쇠 10그람은
뜨냐 안뜨냐이기 때문에 소재의 차이가 있으므로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부력은 무게와는 다릅니다.

물밖에서는 동물무게면 같겠지만 부력은 무게와 부피다 작용하지요.

그무거운 배가 떠있는 원인은 뭘까요.
주간케미 전자케미...무게 같다고 같이 쓰시길래...

물밖에선 몰라도 캐미가 물에 닿거나 수심이 좀 더 깊은곳에 투척되면 봉돌이 떠있다라고 말씀드리면서..

이러면 부력차이가 있다고 제가 말씀드렸는데..

극구 아니시라고 하셔서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 아닌지 해서염....ㅎ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