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한문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중층대를 하나 업어왔는데 이름조차 모르네요.. 이낚시대에 대해 아시는분 계신가요? 낚시대 색깔은 붉은색입니다.
한문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검 무,,,,인듯 합니다..,,,아니면....다음분이 알려 주세요...^^
저도 방방님의 의견에 한 표입니다.
검무(劍舞)...
검은 무우??

본적없는 달랑무님 사촌인가?? ^^
:
:
:
칼의 춤?...
그렇다면 망나니가 사용하던 낚싯대입니다 ^^
'검무' 같아 보이는데....
좀 이상한 것은 섬과 무가 글자체가 좀 다른것 같네요.

검은 행서체처럼 보이는데 무는 초서체가 맞는것 같습니다.
'검무' 같아 보이는데....
좀 이상한 것은 검과 무가 글자체가 좀 다른것 같네요.

검은 행서체처럼 보이는데 무는 초서체가 맞는것 같습니다.
검무12척, 2칸 바닥낚시대와 같은 길이인데, 폐가수수에서 10여년 전에 출시한 중연질성의 손맛대로 충층 및 내림 입문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지요. 12척 자중은 65g..
회사가 문을 닫은 이유로 AS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연식도 있고 그리 많이 팔리지 않아 중고부품 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http://sample.antzmall.com/shop/goods/Goods_view.php?G_code=0927113558
'검'자와 '무'의 글자체를 다른 글자체로 표기한 것의 의미에 대하여 제 짧은 소견 올려보면....
'검무'란 검으로 춤을 춘다는 뜻인데...
한자가 어느민족이 만든 글자인가는 별론으로 하고
오랜동안 중국이 사용해 온 한자라는 것이 중국의 전통 무협 무공과 연관성 있고, 서예와도 연관 있는것 같습니다.
중국이 사용해 온 한자문화에서 전통적으로 그 연관성을 엿볼수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아시다시표 한문은 표의문자인데 그 기원은 상형문자인 갑골문자입니다. 그런 연유로 이해해보면 '무'자의 경우 초서가 그 뜻을 전달하는데 가장 적절하여 '무'자만 초서로 쓰고 검은 행서로 쓰는 것이 그 뜻을 전달하는데 적합하여 그렇게 서로 다른 글자체를 사용한 듯합니다.
'무자 초서체의 그림을 보면 외발을 딛고 가무를 하는 형상입니다.
그러니 '무자'의 뜻인 그 춤추고 있는 뜻을 초서체가 가장 잘 전달하는 글자체라고 보여집니다.
'검'자는 그 뜻을 전달하는데 오히려 행서체가 적절해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 봅니다.
답변주신 모든 선배 조사님들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드뎌 낚시대의 정체를 알았네요ㅋ 검무2 13척입니다. 중층낚시엔 전혀 문외한이라ㅋ 이낚시대로 짬낚시 외대펴놓고 바닥낚시용으로 쓸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어짜피 as도 불가하다니 부러질때까지 걍 쓸려고요ㅎ
물금님. 전층(중충 및 내림 포함) 낚시대는 바닦기법으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전층이라고 낚시 바늘이 바닥에 두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전층낚시대는 총알걸이도 없고 빼기식 로드(낚시대)이므로 큰 잉어가 걸리면 낚시대를 "상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늦은 가을철에 아산호(평택호) 잉어에게 걸려서 고생 했는데,,, 전층 로드가 바닦로드보다 경질이고 고기 제압이 유리한 이유는 낚시대를 손에 쥐고 하나의 찌(외대)를 주시하고 있기 때문이죠....

저도 바닦하다 답답하면 전층하기도 합니다. 몰론 동일장소에의 조과는 전층이 유리하고 재미있는데 눈이 매우 피곤하고 찌올림의 설레임은 없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