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향어 자연 번식이 가능합니까???

제가 종종 옥내림 하러 가는 저수지가 있습니다.. 계곡지인데,,,요즘에 원래 옥수수 입질 잘 해주는 저수지였죠. 처음 옥내림을 시작했을 때 재미를 많이 봤던 저수지입니다. 그래서 종종 가보곤 했습니다.. 올해는 물을 전부 빼서 낚시도 못했네요.. 그런데 옥수수로 낚시를 하다보면 종종 네치나 다섯치 정도 되는 향어가 잡힙니다. 누군가 치어를 방류하는 것 같지는 않은데 큰거는 대략 25센티 정도 되는 것도 잡은 적이 있습니다. 한국 지형의 저수지에서 향어가 자연적으로 번식이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히~~~아시는 분 알려주시와용~~~

네 됩니다 들여올 당시에는 학자들얘기가 동절기 -5도 밑에서는 자연번식이 안된다 했으나 지금 제가아는 해남의 모수로 고흥의 모저수지에 대량으로 번식해 있네요
주말숙자님~~오호 가능한 거군요,,,그런데 제가 있는 지역의 저수지는 겨울에 꽁꽁 얼어붙는데,,,암튼 자연 번식을 되는 거였네요,,,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개체가 존재한다면... 방생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연번식이 그리 잘된다면~~
가두리 그 많던 청평댐,춘천댐.화천댐~등등 향어 다 어디 갔나요??
위쪽이 아니고 아래쪽 얘깁니다
해남 고흥
고흥하고도 남쪽 섬인데요
저같음 그리 멀리가서 방생 안하네요..ㅋ
경산 모 저수지 에 가면 잉어랑 향어 교잡종 아가야 들이 잡힙니다
흔히 보던 일 입니다
쉽게 생각하시면 답나옵니다.
블루길, 베스 우리나라 환경에서 동절기 못난다고들 했는데 잘 적응하고 번식도 잘하는거 보면 향어도 적응 할 수 있다는 결론 나오지 않을가요?
그리고 윗지방과 남도권 온도차 생각보다 많이 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후 점점 변해갑니다.
감귤, 배, 사과등 과일 작물재배도도 변해가잖아요.
결론은 충분한 가능성 있습니다.
새우망에 향어치어가 들어온적도 있었습니다.. .
공주 유구천에서 몇해전에 25리터 삐꾸로 4치짜리 반 채운적이 있습니다.

어분 섞은 글루텐에 붕애들이 향어 4치들 사이에 손님고기로 나오던게 생각납니다.

불가능 하다던게 환경에 적응하나 보네요.

베스도 여울에 적응 못할거라던 말이 떠오르네요.

금강수계 여울에 베스가 진을 치고 있죠.
전북입니다.
김제에 향어 양식하다 철수한 곳이 있는데 향어 새끼 손바닥 사이즈부터 50 아래로 둘이서 200여마리 잡은 적 있습니다.
또 완주군에 향어 새끼만 줄줄이 나오는 수로도 있습니다.
자연번식 아니면 말이 안되죠.
예 자연번식됩니다.
그러나 님의 말씀대로 물을 뺏었다면 그리고 혹 공사를 하지않았나요?
그렇다면 물을 빼고 공사가 완료된 후 치어를 풀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에 제가 다니던 산속 소류지에 무넘이 공사를 한 후부터 향어가 나오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거든요.
추운데 출조시 방한 단단히 하시고 498하세요.
1990년도 초반에 유료 낚시터하던 저수지에서 7-8년 전에 향어 10쎈티 조금넘는 20마리 정도 잡아서 방류 한적이 있습니다.
자연환경이 번식에 맞다면 확실하게 자연번식이 됩니다. 경북경산의 상대온천부근 입니다. 지금도 잉어 향어가 있습니다.
제가 해남에 같은 장소의 수로에 정기적으로갑니다
항상 고만 고만 붕어 입질을 보는데

올해는 유난히 전에 없던 향어가 계속 올라오고 붕어입질이 없네요

그것도 7~8치의 치어 향어나 월척급 향어도요
자연부화로 인한 개체수 증가로 보입니다
경기권도 자연번식하는 향어 잡히네요..
합니다
손가락만한거 몇마리잡아봤네요
애시당초 도입시기부터 학겨에서는 배스나 블루길같은 육식성어류에 의한 직접 피해가 아닌 왕성한 번식력에 추후 소양호 충주호등 가두리양식을 많이하던 호수엔 우점종이 되어 토종 생태게에 큰 피해를 줄것을 우려했었는데 향어가 인위적으로 개량되어진 매우 탕식성 양식어류라는것을 잘 올라서였습니다.향어는 그 이유로 댐에서도 보기 힘든어종이 되었던겁니다.다른곳에서도 일시적인 현상일뿐 몇년내 드물게나 낚이는 어종이 될겁니다.
화성에서 상추키우는것 하고 연관이 있을까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