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초릿대 원줄 연결하기

월척님들 안녕 하십니까 요즘 손맛들 마니 보고 계시겠지요, 초릿대 릴리안사에 원줄을 연결할때 끝부위에 연결하면 아무래도 앞치기할때 탄력이 떨어져 투척을하는데 지장을 준다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안쪽으로 바짝 붙여서 줄을연결 합니다 이러면 아무래도 탄력을더받아 더 멀리투척이 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너무 바짝매면 릴리안사의 초릿대부분 릴리안사가 빨리 마모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초릿대끝 나는부분) 이조그만한 놓치기쉬운 미세한 부분이지만 조금만 신경을써면 낚시기술이 업그레이드 된다고 봅니다 월척님들은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 오늘도 즐거운 하루가 되시길....-꾸뻑- --

초릿대 초리실
초리실을 때어내고 초릿대 상단부분 2cm가량 코팅 되어있는 부분을 칼로 코팅을 글거냅니다.
초리실 한봉에 2.000원짜리 초리실을 새로 달아줍니다.
2cm가량 순간 접작제를 바르고 초리실 5cm정도 남겨두었다가 원줄 매듭질대 사용합니다.
5cm가량 초리실이 여유가 있으면 원줄 매듭질대 그만큼 편리합니다.
쉽고.편리하고 편하게 채비 셋팅합니다.
실리콘이나 우레탄 찌고무를 릴리안사에 끼워 원줄을 찌고무에 매듭지으면 어떻겠는지요?

시험 삼아 한번 해보시길 권유합니다..^^

(초리실 새로 연결시 2cm 미만으로 끼운 다음 초리 끝나는 지점에 침,물을 묻혀 순접액이 번져 나가지 않게 한다음

라이터로 살짝 가열한다음 손가락으로 말아서 초리와 릴리안사가 완전하게 접착하게 한 다음 순접을 하시고 찌고무 끼워보시죠)
앞치기가 걱정되신다면 줄을 짧게매면 되지않을까요?
저는 초릿대 끝 릴리안사에서도 맨 끝에 매듭을 짓고 원줄을 연결합니다.
고기를 잡았다 터트렸을때 봉돌이랑 찌가 위로 팅겼다가 떨어질때,
끝에 릴리안사가 많이 남으면 그것때문에 더 잘 엉키는거 같더라구요.
초릿대실은 길어야 5센티 이내인데
그정도로는 탄력이 떨어져서 앞치지기 잘 안되고 이런건 못느끼겠던데요
전층낚시 몾지않은 예민한 채비의 바닦낚시를 구사하는 저 역시도 한동안 고민해보았던 부분이라 공감이갑니다.

초리실을 1센치만 남기고 매듭을 극단적으로 짧게맨다해도 한계는 있으며 말씀하셨듯이 강도나 마모에 역작용이 생기게됩니다.


보통 전층낚시용 낚시대에는 초릿실(릴리안사가)없이 회전도래나 실패모양의 쇠부분으로 장착된 제품들이 있는데,

예민하고 순발력이 요구되는 경기낚시나 전층낚시 스타일의 낚시를 구사하는 분들에게 도움이됩니다.


맹탕위주의 떡밥낚시를 주로 구사하신다면,

차라리 초리실을 제거한 후 중층용 도구(회전도래 및 원줄연결 회전촉)등을 초리실대신 장착하시는 편이 나을듯 싶습니다.


원줄 꼬임이나 엉킴현상도 줄고 무엇보다 팽팽한 긴장감을 느낄수 있으므로

예민하고 섬세한 낚시를 구사하는 꾼들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변덕조사님 의견 감사합니다, 물론 회전 도래를 사용을 해봤습니다 문제는 낚시대를 구입할때 것은 문제가 없는데

릴리안사를 떼어네고 새로달면은 강도가 약해서 떨어져서 줄과 찌까지 날아갔습니다
아~ 그런 단점이 있겠군요?

각기다른 초리대 굵기와 회전도래의 원경지름이 타이트하게 맞을 수 있도록 사이즈를 선택하거나

초리대 절단이나, 초리실이 있는 채로 라이터로 녹여 그위에 회전도래등을 끼워 조정하는 것을 연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강력한 본드 역시도 필요하겠구요~

아예 회전도래가 장착된 초리대를 별도 구입하는 것도 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않된다면 초리실이 마모가 되면 귀찮더라도 자주 갈아 주어야겠지요~



2025 Mobile Wolchuck